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37425905
· 쪽수 : 604쪽
· 출판일 : 2007-12-14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서론: 객관주의 역사학의 정당화를 위한 새로운 시도
1부 반실재론적 역사인식론: 역사는 만들어 낸 이야기이다
1장 실재론적 역사인식론과 반실재론적 역사인식론은 서로 대립한다
2장 현재주의: 모든 역사는 현재의 역사다
3장 실용주의: 역사는 필요에 따라 쓰여진다
4장 인문주의: 역사는 문학의 한 장르이다
2부 실재론적 역사인식론: 역사는 과거의 재현이다
1장 관점의 다양성과 객관적 역사인식은 양립가능하다
2장 실재론적 이야기는 과거를 재현할 수 있다
3장 언어적 전회에 대한 비판적 검토가 필요하다
4장 역사인식의 객관성을 어떻게 확립할 것인가
3부 역사의 이해와 설명: 이해와 설명의 통합이 필요하다
1장 역사의 세계는 문화 세계이다.
2장 해석학적 이해와 과학적 설명은 서로 대립해 온 역사인식의 두 방법이다
3장 행위는 합리성의 원리에 의해 가장 잘 설명된다
4장 사회 구조와 거시적 역사 법칙은 수반 이론에 기초하여 설명될 수 있다
4부 과학적 연구 프로그램으로서의 역사관: 역사관은 역사 세계에 대한 탐구의 중심 틀이다
1장 역사관 없는 역사 서술은 맹목이고 객관적 역사 서술 없는 역사관은 공허하다
2장 역사관은 과학적 연구 프로그램으로 정식화될 수 있다
3장 계몽주의의 보편적 진보 사관과 역사주의의 개성적 발전 사관은 근대 역사관의 두 원형이다
5부 역사관의 유형과 타당성: 역사관은 다양한 현상에 대한 설명력의 정도에 따라 평가된다
1장 역사는 이성의 실현 과정이다: 이성사관
2장 역사는 자유 의식의 진보이다: 유심사관
3장 역사는 생산력의 발달 과정이다: 유물사관
4장 역사는 문명들의 생성소멸의 총합이다: 문명사관
결론: 객관주의 역사학의 전망: 인식 지평이 넓어짐에 따라 과거의 재현 가능성은 더욱 커진다
주
중요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관점의 다양성을 용인하면서도 인식의 객관성을 추구하려고 할 때, 우리는 관점들을 전환시키고 통합시키는 기제들을 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관점을 바꾸어 봄으로써 우리는 자신의 관점이 갖는 한계와 다른 사람의 관점이 갖는 장점을 이해할 수 있다.-p121 중에서
...역사 서술에서 역사관과 역사적 사실은 정합적 평형 상태에 있어야 한다. 역사관 없는 역사 서술은 역사 세계를 체계적이고 통일적으로 그려 내지 못한다. 반면에 역사적 사실을 제대로 드러내지 못하는 역사관은 폐기될 수밖에 없다.-p345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