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과학기술 문명에 대한 성찰

과학기술 문명에 대한 성찰

이한구, 강학순, 김수정, 김승환, 김영식, 김재희, 박찬국, 손화철, 신상규, 윤병렬, 이남인 (지은이)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경희대학교출판부)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000원 -0% 0원
0원
22,000원 >
22,000원 -0% 0원
0원
22,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과학기술 문명에 대한 성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과학기술 문명에 대한 성찰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88982227202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2-06-25

책 소개

변화하는 과학기술과 인류 문명의 관계를 성찰한 문명연구 총서 제3권이다. 과학기술 거버넌스, 포스트휴먼 주체, 인공지능의 윤리적 가능성 등 과학기술 문명 속 다양한 주제를 논하고 긍정론, 비판론, 중립론의 입장을 균형 있게 다룬다.

목차

발간사
서문

제1부 과학기술 긍정론
과학기술과 인간의 미래/ 김승환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 주체가 될 수 있는가?/ 김재희
과학기술과 인문학의 연결/ 김영식

제2부 과학기술 중립론
정보사회, 새로운 유토피아냐 혹은 암울한 디스토피아냐/ 윤병렬
제4차 산업혁명과 과학기술 거버넌스/ 손화철
자율적 도덕 행위자로서의 인공지능/ 신상규
섹스로봇의 현황과 그 규제에 대한 세 가지 입장/ 김수정

제3부 과학기술 비판론
하이데거의 과학기술 문명 비판/ 강학순
과학기술 문명 시대 학문의 위기/ 이남인
제4차 산업혁명과 인간의 행복/ 박찬국

참고문헌

저자소개

김재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을지대학교 교양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베르그손의 무의식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선임연구원을 지냈다. 지은 책으로 『생명은 소중한가?』(공저, 2025), 『인공지능 시대의 철학자들』(공저, 2024), 『디지털 포스터휴먼의 조건』(공저, 2021), 『포스트휴먼이 몰려온다』(공저, 2020), 『시몽동의 기술철학』(2017), 『베르그손의 잠재적 무의식』(2010)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포스트휴먼 지식』(공역, 2022), 『기술적 대상들의 존재양식에 대하여』(2011),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2009), 『에코그라피』(공저, 2002) 등이 있다.
펼치기
박찬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독일 뷔르츠부르크 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니체와 하이데거의 철학을 비롯한 실존철학이 주요 연구 분야이며 최근에는 불교와 서양철학 비교를 중요한 연구과제 중 하나로 삼고 있다. 2011년에 『원효와 하이데거의 비교연구』로 제5회 청송학술상, 2014년에 『니체와 불교』로 제5회 원효학술상, 2015년에 『내재적 목적론』으로 제6회 운제철학상, 2016년에 논문 「유식불교의 삼성설과 하이데거의 실존방식 분석의 비교」로 제6회 반야학술상을 받았다. 그 외의 저서로 『들길의 사상가, 하이데거』, 『하이데거는 나치였는가』,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 강독』, 『니체와 하이데거』 등이 있고, 주요 역서로는 『니체 I, II』, 『근본개념들』, 『아침놀』, 『비극의 탄생』, 『안티크리스트』, 『우상의 황혼』, 『선악의 저편』, 『도덕의 계보』, 『상징형식의 철학I, II, III』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강학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마인츠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안양대학교 기독교문화학과 철학교수, 독일 쾰른대학교 객원교수를 역임했으며 국제하이데거학회 정회원, 한국해석학회 이사, 한국철학회 감사, 한국하이데거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현재 안양대학교 명예교수, 경희대학교 미래문명연구원/인류사회재건연구원 특임연구원이다. 저서로는 Die Bedeutung von Heideggers Nietzsche-Deutung im Zuge der Verwindung der Metaphysik(하이데거의 형이상학 극복에 있어서 니체-해석의 의미), 『존재와 공간–하이데거 존재의 토폴로지와 사상의 흐름』(문광부 우수학술도서, 열암학술상 수상도서), 『하이데거의 숙고적 사유–계산적 사고를 넘어서』(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학문 연구의 동향과 쟁점』(대한민국학술원 제12집, 공저) 등이, 역서로는 『해석학의 이해』(E. 후프나겔), 『현대의 철학적 인간학』(K. 로렌츠) 등이 있다.
펼치기
윤병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의 본(Bonn)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하이데거학회 회장을 지냈으며, 홍익대학교 교양과 교수 역임. 주요 저서로는 『철학의 센세이션』(2002년 문화관광부 우수도서), 『정보해석학의 전망』, 『고구려의 고분벽화에 그려진 한국의 고대철학』, 『노자에서 데리다까지』(공저), 『감동철학 우리 이야기 속에 숨다』, 『산책로에서 만난 철학』, 『한국 해학의 예술과 철학』(2014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철학적 인문학의 길』, 『배낭 속에 담아온 철학자의 사유 여행』, 『선사시대 고인돌의 성좌에 새겨진 한국의 고대철학-한국고대철학의 재발견』(2019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고구려의 고분벽화에 담긴 철학적 세계관』, 『하이데거와 도가의 철학』(2022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플라톤 철학과 형이상학 논쟁」, 「존재에서 존재자로-E. 레비나스의 존재이해와 존재오해」, 「하이데거의 존재사유에서 고향상실과 귀향의 의미」, 「하이데거와 도가철학의 근친적 사유세계」(한국학중앙연구원), 「수막새에 새겨진 선악의 철학」(『文化財』), 「‘말하는 돌’과 ‘돌의 세계’ 및 고인돌에 새겨진 성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자와 플라톤의 위상학적 인식론을 통한 근대 인식론의 딜레마 극복」(한국학중앙연구원), “Rediscovery of Ancient Korean Philosophy : Focusing on Star Hole Dolmens, Bronze Mirrors, and Star Charts Carved in Tomb Murals(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SCIENCE HUMANITY & MANAGEMENT RESEARCH, 2023.1), 「하이데거와 도가(道家)의 해체적 사유」(한국학중앙연구원) 등 총 60여 편이 있다.
펼치기
신상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대 이화인문과학원 교수. 포스트휴먼 융합인문학 협동과정 주임교수. 서강대에서 경영학과 철학을 전공하고 미국 텍사스대학교(오스틴)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관심 분야는 심리철학, 인공지능의 철학, 정보철학, 트랜스휴머니즘, 포스트휴머니즘 등이다. 저서로 『호모사피엔스의 미래: 포스트휴먼과 트랜스휴머니즘』 『푸른 요정을 찾아서: 인공지능과 미래 인간의 조건』 『포스트휴먼이 몰려온다』(공저) 『포스트휴먼으로 살아가기』(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남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독일 부퍼탈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5년부터 지금까지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현상학회 회장, 한국철학회 편집위원장을 역임했으며, 2008년 국제철학원(IIP) 정회원으로 선출되었다. 독일 부퍼탈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상(1992), 철학연구회 논문상(1994), 대한민국학술원상(2005), 서울대학교 학술연구상(2016) 등을 수상했다. <철학과 현상학 연구>, <철학>을 비롯해 다수의 국내 학술지 편집위원을 역임했고, <Continental Philosophy Review>, <Phenomenology and Cognitive Sciences> 등 다수의 국제 학술지 및 학술총서의 편집위원과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Edmund Husserls Phanomenologie der Instinkte(1993), <현상학과 해석학>(2004), <후설의 현상학과 현대철학>(2006), <후설과 메를로-퐁티>(2013), <현상학과 질적 연구>(2014), <통섭을 넘어서>(2015) 등이 있으며, 「현상학적 사회학」, 「Experience and Evidence」, 「Problems of Intersubjectivity in Husserl and Buber」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김영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7년에 태어나 서울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화학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프린스턴대학교에서 역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7년부터 2001년까지 서울대학교 화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2001년부터는 동양사학과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또한 1984년부터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 겸임교수로 있으며, 2006년부터는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원장으로 있다. 저서로 『정약용 사상 속의 과학기술: 유가 전통, 실용성, 과학기술』, 『과학혁명: 전통적 관점과 새로운 관점』, 『역사와 사회 속의 과학』, 『주희의 자연철학』, 『과학, 역사 그리고 과학사』, 『과학, 인문학 그리고 대학』 등이 있으며, 편집한 책으로는 『프리즘: 역사로 과학 읽기』, 『한국의 과학문화: 그 현재와 미래』, 『근현대 한국 사회의 과학』 등이 있다.
펼치기
손화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동대학교 글로벌리더십학부 교수. 서울대에서 철학을 전공했으며, 벨기에 루벤대학교 철학과에서 〈현대 기술과 민주주의〉라는 주제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기술철학의 고전이론, 기술과 민주주의, 포스트휴머니즘,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의 철학, 미디어 이론, 공학윤리, 연구윤리 등이다. 저서로는 《AI의 세상에서 인간을 찾다》(2024, 공저), 《과학과 가치》(2023, 공저), 《미래와 만날 준비》(2021), 《호모 파베르의 미래》(2020) 등이 있다.
펼치기
손화철의 다른 책 >
김수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과 조교수이며, 미국가톨릭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논문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와 생명윤리에의 적용”, “맥킨타이어의 자유주의적 개인주의비판” 등이 있고 역서로 『토미즘의 원리와 생명윤리학』과 『생의 마지막에서의 의료적 보살핌』(공역)이 있다.
펼치기
김승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포항공과대학교(포스텍) 물리학과 교수, 전 한국 물리학회 회장, 아시아 태평양 물리학 연합회 회장, 한국뇌연구협회 회장,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 저서로 《과학 수다》(공저) 《이론물리의 수학적 접근》(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과학기술과 인간의 미래_인류는 현 위기 앞에서, 그리고 앞으로 다가올 수많은 위기에 앞서 공동의 책무의식을 가지고 행동에 나서야 한다. 모든 나라가 개인, 민간, 공공 차원의 협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위기의 시작부터 함께 가져가야 한다. 혼자서, 지역적으로, 한 국가가 전지구적 위기의 규모나 복잡성에 대처할 순 없다. 팬데믹의 또 하나의 교훈은 가장 큰 위험에 처해 있고 더 큰 타격을 받은 사람과 계층, 국가들을 도와야 한다는 것이다. 복잡계 과학에 의하면 ‘우리는 가장 약한 고리만큼 강한 것’이다.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 주체가 될 수 있는가?_휴먼의 포스트휴먼화에 대한 사유는, 첨단기술과학에 의한 인간종의 변화나 인간 개체의 심-신 변형을 둘러싼 사이보그화 문제로부터 좀 더 확장될 필요가 있다. 휴먼의 잠재력을 기술적 변환을 통해 향상시키고자 한 트랜스휴머니즘의 열망은, 인간과 비-인간의 네트워킹으로 체현되고 분산된 네오사이버네틱스적 포스트휴먼의 조건을 기반으로, 더 높고 큰 차원에서 인간 이외의 타자들과도 공존-공생-공진화를 모색할 수 있도록, 휴먼의 문턱을 넘어서는 양자적 도약으로 증폭될 수 있어야 한다.


과학기술과 인문학의 연결_문제는 모든 정신 과정이 궁극적으로 물리적 기초를 지니고 있다고 믿는 윌슨은 인문학과 자연과학 사이의 ‘통섭’은 결국은 인문학을-그리고 모든 학문을-자연과학으로 환원하는 방식으로 일어나야 한다고 주장한다는 것이다. “모든 현상-예컨대, 별의 탄생에서 사회조직의 작동에 이르기까지-들이 비록 길게 꼬인 연쇄이기는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물리 법칙들로 환원될 수 있다는 생각”인 것이다.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