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세계사 일반
· ISBN : 9788937831485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06-09-11
책 소개
목차
편집자의 글
제1장 제국의 최후
제2장 허약한 헌법
제3장 옛것은 가고
제4장 동맹과 숙청
제5장 국민당의 통치
제6장 대일 전쟁
제7장 세계대전과 내전
제8장 공산주의 국가
제9장 대약진, 대기근
제10장 문화대혁명
제11장 마오쩌둥 이후의 세계
제12장 새로운 것의 압력
역자후기 / 용어풀이 및 인명사전 / 연대기 / 사진출처 및 참고문헌 /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여자는 서너 살이 되면 발가락을 발바닥 쪽으로 꺾어 밀어 넣어 끈으로 감아 단단히 고정시켰다. 발이 자라는 것을 막고 둥글게 구부러지도록 만들기 위해서다. 이러한 고통은 발이 작은 아내를 원하는 괜찮은 남편을 얻기 위한 과정이었다. 정상적으로 걷는 것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내리막길을 걷는 여인들의 걸음걸이는 느렸고 통증을 수반했다.
외부 관찰자들은 이러한 모습들을 중국인들의 생활을 정의하는 주요 특징으로 생각하지만 사실 역사가 그리 오래되지 않은 것들이다. 민 이마와 변발은 1644년 중국을 정복하고 청나라를 세운 만주족 스타일이다. 만주족이 중국인에게 복종의 표시로 변발을 따르도록 강요했는데, 200년 후에는 길게 땋아 내린 빛나는 머리가 남자다움과 우아함의 상징이 되었다.
전족 역시 비슷한 방식으로 모든 계층의 여인들에게 천천히, 그러나 꾸준하게 확산되었다. 전족한 발을 위한 작고 수가 놓인 신발을 제작하는 기술이 어머니에게서 딸에게로 대물림되었으며, 이는 남녀 모두에게 자부심과 미학적인 기쁨을 안겨준 듯하다. 터무니없이 길게 기른 손톱과 그 손톱이 부러지는 것을 막기 위해 대나무나 여러 다른 재질로 공들여 만든 덮개 장식들은 상층계급의 표시였고, 자신이 육체노동자가 아니며 학자이거나 여유로운 삶을 영위하고 있다는 증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