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미디어문화와 사회

미디어문화와 사회

강준만, 권혁남, 김승수, 김선남 (지은이)
일진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미디어문화와 사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디어문화와 사회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언론정보학
· ISBN : 9788942910953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09-03-10

책 소개

소통은 인간의 원초적 욕구이다. 그 욕구 충족을 위해 무한한 상상력을 동원하여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발전시켰다. 이 책은 그 족적을 살피고 현상을 이해하고 실사회에 적용하기 좋은 간단하고 쉬운 책으로 집필하였다.

목차

책 머리에 3

Ⅰ. 개별 미디어의 이해

제1장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진화 16
1. 언어 16
2. 쓰기 17
3. 인쇄 21
4. 전신과 전화 24
5. 사진과 활동사진 27
6. 라디오와 텔레비전 31
7. 디지털 혁명-컴퓨터와 인터넷 34
참고 문헌 35

제2장 신문과 사회 36
1. 신문의 이해 36
2. 신문의 자취 41
3. 신문의 진화 : E-P-S 모델 44
4. 신문과 사회 체제 48
5. 신문의 사회적 기능 50
6. 저널리즘의 의무 53
7. 미디어와 사회 변화 55
참고 문헌 56

제3장 광고와 사회 57
1. 광고의 종류 58
2. 광고의 기능 61
3. 인터넷 시대의 광고 70
참고 문헌 71

제4장 뉴미디어와 사회 74
1. 서론 74
2. 모바일 미디어와 콘텐츠 76
3. 웹 2.0과 동영상 UCC 80
4. 모바일 콘텐츠로의 UCC 활용 가능성 85
5. 킬러 콘텐츠로의 모바일 UCC 90
6. 맺는말 93
참고 문헌 95

Ⅱ. 현대 사회와 미디어

제5장 정치와 미디어 100
1. 텔레비전과 정치 101
2. 한국 언론의 선거보도 경향 105
3. TV 토론 111
4. 정치 광고 117
5. 선거 여론조사 121
참고 문헌 124

제6장 소통의 정치 경제학 125
1. 승자독식주의 127
2. 연고주의 130
3. 초강력 중앙집권주의 132
4. 서열주의 134
5. 지도자 추종주의 137
6. 극단주의 139
7. 이념의 사유화 142
8. 각개 약진 145
9. 압축 성장 147
10. 높은 대외 의존도 150
11. ‘소통 대한민국’으로 가자 152
참고 문헌 155

제7장 알권리와 정보 공개 제도 157
1. 알권리의 의의와 기능 157
2. 정보 공개 제도의 의의와 기능 159
3. 외국의 정보 공개 제도 161
4. 우리나라 정보 공개 제도 164
5. 정보 공개 제도의 성과와 문제점 170
참고 문헌 171

제8장 지역 분권 시대의 지역 신문의 역할과 전망 172
1. 지역 신문의 현실 172
2. 지역 신문 지원법의 내용과 쟁점들 188
3. 지원 제도 시행 이후의 기대 효과와 전망 191
4. 지역 신문 지원 사업의 성과 193
5. 지역 주민과 지역 신문 204
참고 문헌 205

제9장 지역 미디어와 공공성 207
1. 서론 207
2. 공공성의 개념과 차원 209
3. 디지털 융합 시대와 미디어 공공성 215
4. 미디어 공공성과 지역성 222
5. 맺는말 226
참고 문헌 227

Ⅲ. 미디어 문화 콘텐츠 비평

제10장 미디어 산업의 구조 연구 230
1. 서론 230
2. 시장을 향한 미디어 산업의 구조 분화 235
3. 맺는말 248
참고 문헌 249

제11장 미디어 수용자와 질적 연구 251
1. 서론 251
2. 수용자 연구와 민속지학적 접근 253
3. 분석 대상 및 분석 절차 264
4. 국내 민속지학적 수용 연구의 적용 사례와 동향 266
5. 맺는말 277
참고 문헌 284

제12장 TV 드라마와 여성 문화 288
1. 서론 288
2. 드라마 수용자의 특성 및 수용 과정 291
3. 드라마 비중의 확대 배경 293
4. 드라마의 성 역할 묘사 296
5. 성 역할 고정관념의 재생산 이유 301
6. 맺는말 303
참고 문헌 305

제13장 미디어 폭력과 청소년 307
1. 청소년들의 폭력 영상물 노출 실태 310
2. 청소년 범죄 실태 및 사례 316
3. 폭력 영상물 관련 청소년 보호 정책의 문제점 319
4. 청소년 보호 정책 개선 방안 325
참고 문헌 332

제14장 대중문화와 광고의 활용 334
1. 광고는 더 이상 광고가 아니다 334
2. 광고는 교육이다 335
3. 광고는 스토리이다 346
4. 광고는 창의력이다 349
참고 문헌 350

저자소개

강준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명예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강준만은 탁월한 인물 비평과 정교한 한국학 연구로 우리 사회에 의미 있는 반향을 일으켜온 대한민국 대표 지식인이다. 전공인 커뮤니케이션학을 토대로 정치, 사회, 언론, 역사, 문화 등 분야와 경계를 뛰어넘는 전방위적인 저술 활동을 해왔으며, 사회를 꿰뚫어보는 안목과 통찰을 바탕으로 숱한 의제를 공론화해왔다. 2005년에 제4회 송건호언론상을 수상하고, 2011년에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한국의 저자 300인’, 2014년에 『경향신문』 ‘올해의 저자’에 선정되었다. 저널룩 『인물과사상』(전33권)이 2007년 『한국일보』 ‘우리 시대의 명저 50권’에 선정되었고, 『미국사 산책』(전17권)이 2012년 한국출판인회의 ‘백책백강(百冊百講)’ 도서에 선정되었다. 그동안 쓴 책으로는 『MBC의 흑역사』, 『공감의 비극』, 『정치 무당 김어준』, 『퇴마 정치』, 『반지성주의』, 『정치적 올바름』, 『엄마도 페미야?』, 『정치 전쟁』, 『좀비 정치』, 『발칙한 이준석』, 『단독자 김종인의 명암』, 『부족국가 대한민국』, 『싸가지 없는 정치』, 『권력은 사람의 뇌를 바꾼다』, 『부동산 약탈 국가』, 『한류의 역사』, 『쇼핑은 투표보다 중요하다』, 『강남 좌파 2』, 『바벨탑 공화국』, 『오빠가 허락한 페미니즘』, 『평온의 기술』, 『약탈 정치』(공저), 『손석희 현상』, 『박근혜의 권력 중독』, 『힐러리 클린턴』, 『도널드 트럼프』, 『전쟁이 만든 나라, 미국』, 『정치를 종교로 만든 사람들』, 『지방 식민지 독립선언』, 『개천에서 용 나면 안 된다』, 『싸가지 없는 진보』, 『감정 독재』, 『미국은 세계를 어떻게 훔쳤는가』, 『갑과 을의 나라』, 『증오 상업주의』, 『강남 좌파』, 『한국 현대사 산책』(전28권), 『한국 근대사 산책』(전10권), 『미국사 산책』(전17권)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권혁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다.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언론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치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방법론 등을 가르치고 있다. 한국언론학회장, 한국언론정보학회장, 선거방송심의위원장, 언론중재위원, KBS·MBC·EBS 경영평가위원, KBS시청자위원, 전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및 전국사회대학장협의회장,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와 플로리다 주립대학교 방문교수를 지냈다. 언론학 저술로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실제>(2017), <사회조사방법의 이해>(2015), <미디어 정치 캠페인>(2014), <미디어 선거의 이론과 실제(개정판)>(2006), <현대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2006, 공저), <미디어와 유권자>(2005, 공저), <정치커뮤니케이션의 이해>(2004, 공저), <대중매체와 사회>(1998, 공저), <한국 언론과 선거 보도>(1997) 등이 있다.
펼치기
김승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University of Leicester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1995년부터 전북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평생 언론경제학에 근거해 미디어산업의 소유구조와 독과점 시장의 흐름을 연구한 그는 자신의 저서를 통해 이윤지상주의에 빠진 채 문어발식으로 확장하는 소유집중 현상을 지적하면서 특히 신문매체의 사유화와 독점화로 인한 국민적 폐해를 우려했다. 2010~2011년 미디어공공성포럼 운영위원장 및 공동대표를 맡는 등 언론개혁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2012년 한국인터넷기자협회가 주는 ‘참언론상’을 수상했다. 주요 저서로 《매체경제분석》(1997), 《정보자본주의와 대중문화산업》(2007), 《미디어시장과 공공성》(2010), 《저널리즘의 몰락과 정보 공유 혁명》(2014)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