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46057227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4-09-10
책 소개
목차
개정판 서문
초판 서문
|제1장|특성과 영향력
1. 방송이란.2. 방송 기술의 특성.3. 방송의 영향력.4. 방송의 특성.5. 방송의 공익성과 공공성
|제2장|방송 규제
1. 방송 규제 법제의 변화.2. 방송 규제 기구의 변화.3. 방송 규제에 대한 논의.4. 방송의 진입 규제.5. 방송의 내용 규제.6. 방송의 소유 규제.7. 유료방송사업자에 대한 동일 규제 적용으로의 변화.8. 방송법 개정의 경과와 주요 내용
|제3장|방송사 현황
1. 지상파 방송 현황.2. 케이블 방송 현황.3. 위성 방송 현황.4. DMB 현황.5. IPTV 현황
|제4장|방송 편성의 이해
1. 편성의 정의.2. 편성의 이념과 목표.3. 편성의 기본 원칙.4. 편성의 결정 요인.5. 편성 원칙과 편성 기준.6. 지상파 방송의 편성 전략.7. 케이블 방송과 위성 방송의 편성 전략
|제5장|방송광고의 현황
1. 방송광고의 기능.2. 방송광고의 유형.3. 방송 매체별 허용 기준.4. 한국 방송광고의 판매 제도.5. 방송광고의 판매 방식.6. 방송광고의 시급.7. 방송광고의 방영 순서.8. 광고 심의 제도.9. 방송광고 관련 쟁점
|제6장|방송 역사
1. 한국 라디오 방송의 역사.2. 한국 텔레비전 방송의 역사
|제7장|방송의 공정성
1. 방송의 공정성을 둘러싼 논의.2. 방송의 공정성 관련 규정 적용 사례 분석.3. 공정성 관련 방송 심의 사례
|제8장|재송신
1. 재송신의 유형.2. 재송신 정책의 목표
|제9장|역사 드라마의 사실성과 허구성 논란
1. 역사 드라마, 역사와 드라마의 합(合).2. 역사 드라마를 보는 두 가지 시각.3. 사실성에 기초한 허구성과의 조화
|제10장|외주 정책
1. 외주 정책 도입의 의미.2. 외주 정책의 변천 과정.3. 외주 정책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4. 외주 정책에 대한 부정적 평가.5. 외주 정책에 대한 이해 당사자의 입장.6. 외주 정책을 위한 제언
|제11장|방송 저널리즘의 이해
1. 저널리즘에 대한 이해.2. PD 저널리즘에 대한 논의
|제12장|스포츠 중계와 보편적 시청권
1. 스포츠 중계권을 둘러싼 갈등.2. 스포츠 중계방송 파행의 역사.3. 보편적 시청권.4. 한국 방송법상의 ‘보편적 시청권’에 대한 이해
저자소개
책속에서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매체가 등장했지만 방송의 영향력은 좀처럼 줄어들 것 같지 않다. 방송의 영향은 방송과 수용자 양자 관계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방송은 사회적 총체성 속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텔레비전이 시청자에게 행사하는 힘을 이해하려면 경험의 해석과 관련 있는 필요, 동기, 의도, 가치관, 이해관계 등의 상호 침투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_본문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