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분당에서 세종까지

분당에서 세종까지 (반양장)

(대한민국 도시설계의 역사를 쓰다)

안건혁 (지은이)
한울(한울아카데미)
4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9,000원 -0% 0원
490원
48,5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분당에서 세종까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분당에서 세종까지 (반양장) (대한민국 도시설계의 역사를 쓰다)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공학 > 토목/건축공학
· ISBN : 9788946069145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20-10-23

책 소개

일산, 분당, 동탄, 세종시 등 굵직한 신도시부터 창원, 안산, 평택 등 국내 신도시와 베트남과 미얀마 등 해외 신도시를 망라하며 입지 선정, 도시설계 과정과 같은 도시설계에 관련된 뒷이야기를 알기 쉽게 풀어낸다.

목차

1장 창원신도시 중심지구 도시설계
도시개발의 배경 | 현장 방문과 문제의 발견 | 대안 | 평가와 교훈

2장 특정지역 제주도 종합개발계획: 관광부문
배경 | 연구진 구성과 진행 | 현장 답사와 대상지 지정 | 연구의 진행 | 관광단지와 관광지구의 계획 | 평가

3장 반월특수지역 도시계획 재정비
도시개발의 배경 | 현장답사와 문제의 발견 | 도시 구조의 변경 | 인구지표와 도시계획시설 | 도시계획 결정고시 | 평가와 교훈

4장 안산시 도시설계
배경 | 신도시 개발의 과제 | 도시설계의 목표 | 경관계획 | 상업지역의 도시설계 | 도심상업지역 상가 부지 개발 방식 | 주거지역의 도시설계 | 기타 계획 | 간판 규제 | 간선도로의 기본설계 | 평가와 교훈

5장 목동 신시가지 개발 기본설계 현상
대상지 여건 | 기본구상 | 당선안과의 비교

6장 서울시 주요 도로 노선번호 부여 및 표지판 설치 계획
배경과 문제점 | 주요 도로 판정 | 노선 결정 | 노선 번호 부여 원칙 | 도로 표지판 개선 방안

7장 안양·평촌지구 택지개발
배경 | 평촌신도시의 입지 | 인구 규모의 결정 | 지하철 4호선 노선 대안 | 간선도로망 패턴 | 토지 이용 | 도시계획시설 | 지하철역사 주변 지구 | 평가와 교훈

8장 안양·평촌지구 도시설계
용적률 조정 | 도심부 보행자 네트워크 | 국토연구원 부지 | 쇼핑센터 부지의 독점 | 평가와 교훈

9장 분당 택지개발
배경 | 신도시 개발사업자 결정 | 신도시 개발에 대한 전문가들의 반응 | 연구팀 구성 | 도시의 성격과 개발 목표 | 개발 일정 | 신도시의 입지 | 신도시 경계 설정 | 인구와 세대수 조정 | 용적률과 지가연동제 등장 | 원주민과 지장물 | 현장 조건 | 건설업체의 대안 | 도시 골격의 구상 | 가로망 계획 | 토지이용계획 | 서비스축 | 전철 노선 | 자족도시 | 공원·녹지계획 | 보행자전용도로와 생태통로 | 시범단지 | 단계별 개발계획 | 광역교통망 구성

10장 분당 도시설계
택지개발계획 변경과 도시설계 착수 | 도시설계의 목표 | 필지 규모 | 오토캐드의 등장과 컴퓨터의 사용 | 보행몰과 복합역사 | 초고층 아파트 등장 | 아파트의 높이와 길이 규제 | 고속도로변 주상복합건물의 등장 | 쇼핑몰 현상과 파크뷰 아파트 단지 | 마을 명칭 부여 | 마을별·단지별 색채 조정 | 하우징 페어 | 가로시설물 | 사업의 진행과 문제점 | 정책 결정자와 시행자 | 평가와 교훈 | 판교의 개발

11장 일산 택지개발
계획의 배경과 목표 | 연구 인력 구성 | 입지와 구역 경계 | 인구와 세대수 조정 | 지역 여건 | 원주민의 반발 | 방어선 변경과 육군 부대 이전 | 광역교통 여건 | 도시 구조 | 가로망 패턴 | 지하철 노선 결정 | 도심부 설정 | 토지이용계획 | 주거지 계획 | 공원과 녹지축 | 호수공원 | 보행자몰 | 일산의 도시 특화를 위한 노력 | 출판단지 | 일산 도시설계 | 평가와 교훈

12장 부천 중동신도시 택지개발 현상
현상 참여 | 대상지 여건 | 가로망 골격 | 토지 이용 | 현상 당선안과의 비교 | 실패와 교훈

13장 용인 동백지구
배경 | 현장 조사 | 도시 골격 구상 | 토지이용계획 | 실개천과 함양지 | 계획의 변화

14장 아산신도시와 탕정산업단지
고속철도 역사 설계 | 천안과 아산의 경쟁 | 아산신도시 계획

15장 평택 고덕신도시
개발의 배경 | 입지 여건 | 개발 방향 | 계획의 아이디어 | 토지이용계획

16장 송산그린시티
배경 | 환경단체들의 반발 | 개발 구상 | 도시의 구조 | 운하도시 아이디어 | 계획의 변경 | 동부 지역 계획

17장 화성 동탄1신도시
개발 배경 | 입지 여건 | 도시 구조 | 상업지역 배치 | 주거지역 배치 | 녹지 체계 | 계획의 변화 | 시범단지 현상

18장 화성 동탄2신도시
배경 | 고속철도, 철도, BRT 등 모든 교통수단을 동원하다 | 동탄1과의 관계 | 입지 특성 | 도시 골격 | 광역 비즈니스 콤플렉스의 창출 | 복합환승센터 | 공장들의 존치와 이전 | 시범단지 현상

19장 기타 프로젝트
새만금 계획 | 김포 매립지와 청라신도시 | 송도신도시 | 송파신도시(현 위례신도시) | 시흥시 장현지구 | 시흥시 목감지구 | 마곡에서의 다양한 실험

20장 세종시 개발계획 1부: 행정수도 건설의 진행 과정
배경 | 인구 규모 | 행정중심복합도시를 위한 조직 구성 | 도시 기본구상 연구 수행 | 입지 선정 | ‘신행정수도의 건설을 위한 특별 조치법’ 제정과 조직의 편성 | 국제 현상 공모를 위한 연구용역 | 국제 현상 공모 TF와 국제 현상 공모 소위원회 | 헌법소원과 위헌 판결 | 행정수도의 위헌 판결과 행정중심복합도시로의 변경 추진: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추진위원회 발족과 참여

21장 세종시 개발계획 2부: 아이디어 공모전부터 개발계획까지
개발계획의 준비: 용역 발주 | 현상 공모 방식 결정 | 아이디어 공모 현상 | 심사의 진행 | 당선작과 장려상 | 기본계획과 개발계획

22장 세종시 개발계획 3부: 첫마을 현상 공모부터 제2행정타운까지
첫마을 현상 공모 | 행정타운 현상 공모 | 중앙녹지 현상 공모 | 생활권별 현상 공모 | 기공식 | 총괄기획가 | 세종시에 대한 불만과 문제점 | 제2행정타운 공모 | 회고

23장 베트남 신도시 개발계획
하노이 신도시 개발계획 | 호찌민시 나베신도시 개발계획 | 하이퐁 신도시 개발

24장 미얀마 양곤 신도시 계획
배경 | ‘Y’축 개발 방향 제시 | 서남부 신도시 개발 | 양곤의 항구 | 우정의 다리 | 신도시 구상 | 단계별 개발계획 | 계획의 미래와 전망

25장 제3기 신도시 고양 창릉지구 현상 공모
제3기 신도시의 배경 | 계획 여건의 변화 | 새로운 시대와 변화의 요구 | 도시계획 패러다임의 전환 | 디자인의 논리 | 대상지 여건 | 도시 구조의 결정 | 기본 생활권 모듈 | 토지이용계획 | 평가와 교훈

저자소개

안건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48년생 서울 교동초등학교 경기중/고등학교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학사 해군 53차 특교대, 예비역 중위 미국 Ohio State University 건축학과 석사 미국 Harvard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sign 도시설계학 전문석사 경원대학교 도시계획학 박사 주요 경력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명지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과 조교수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한아도시연구소 대표이사 저서 및 역서 〈뉴어바니즘〉(공역, 한울아카데미 2003. 4) 〈내일의 도시〉(공역, 한울아카데미 2005. 7) 〈건축·도시 공간디자인의 사조〉(공역, 기문당 2010. 2) 〈분당에서 세종까지〉(한울아카데미 2020. 10) 〈나의 삶, 나의 인생〉(좋은땅, 2023. 5)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