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46069381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0-09-07
책 소개
목차
1장. 표준이란 무엇인가
2장. 경쟁의 도구로서의 표준
3장. 통합의 도구로서의 표준
4장. 무역에서의 표준
5장. 세계 전략으로서의 표준화: 중국의 사례
6장. 변화하는 표준
저자소개
책속에서
표준은 이렇듯 한번 자리를 잡으면 아주 강하고 끈질기게 생존을 유지한다. 한번 기기를 사면 전환비용(여기서는 매몰비용, sunk costs) 때문에 고착되는 측면이 있지만, 그것보다 더 강한 힘은 인지와 학습이다. 사람들은 한번 익숙해진 것을 쉽게 바꾸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표준이 되면 이를 바꾸기가 매우 어렵다. 그래서 표준은 승자독식(Winner-takes-all) 현상의 기저가 된다. 표준의 고착성으로 인해 먼저 자리를 잡는 기술/기업이 우월한 위치에 서게 된다. 나아가 표준은 권력이 된다.
표준화는 혁신을 확산하는 통로로서 중요하다. 표준화 활동이 제공하는 네트워킹 기회는 지식이 공유되고 연합이 형성되는 통로가 된다. 네트워킹은 표준화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중요한 간접 편익 중 하나이다. 기업은 표준화에 참여함으로써 미래 제품 개발에 유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선행 정보와 내부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혁신의 주요 원천으로서 전략적 연합을 형성할 수도 있다.
앞으로 중국은 첨단 분야에서의 국제표준화 시도를 계속할 것이다. 국제표준화, 특히 지적재산권 기반 표준전략은 중국 산업 및 기술혁신 정책의 기반이 되었고 이러한 전략은 앞으로 첨단 기술 및 융합 산업 분야에서도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중국 표준을 바라보는 데 있어 우리가 또 하나 염두에 두어야 할 점은 중국의 표준전략과 정책을 단순히 기술표준의 차원이 아니라, 기술표준을 넘어서서 세계 전략의 한 수단이라는 큰 틀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중국의 세계 전략인 일대일로(一帶一路)에는 ‘표준’이 하나의 방책으로 자주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