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사무라이의 역사

사무라이의 역사

다카하시 마사아키 (지은이), 박영철 (옮긴이)
한울(한울아카데미)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0% 0원
270원
26,7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사무라이의 역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사무라이의 역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사 일반
· ISBN : 9788946072121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0-07-15

책 소개

일본의 무사와 무사도를 논하는 책은 수없이 많다. 국내에 번역된 유명한 책만 살펴보더라도 윤리적 관점에서 쓴 니토베 이나조의 <무사도>, 인류학적 관점에서 루스 베네딕트의 <국화와 칼> 등을 거론할 수 있다. 이 책은 역사학자가 쓴 책이다.

목차

서장시대극의 주역들
제1장무사란 무엇인가: 발생사적 측면에서
제2장중세의 무사와 근세의 무사
제3장무기와 전투
제4장“무사도”를 둘러싸고: 무사의 정신사
제5장근대 일본의 “무사”: 증식하는 허상
종장일본은 “무국(武國)”인가

저자소개

다카하시 마사아키 (지은이)    정보 더보기
- 고치현 고치시(高知縣高知市) 출생 - 1969년 도시샤(同志社)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 석사과정 수료 - 시가(滋賀)대학 교육학부 교수, 고베(神戶)대학 인문학연구과 교수, 「무사의 성립, 무사상의 창출」(2002)로 오사카대학 문학박사 - 2007년 平氏政權을 최초의 무가정권으로 규정하는 논문을 발표, “로쿠하라막부”라 불러 우와요코테 마사타카(上橫手雅敬)와 논쟁 - 2008년 정년퇴관하고 고베대학 명예교수 - 2011년 8월 5일, 일본사연구회대표위원의 입장에서 오사카부 의회에서 일본국기 “히노마루” 상시게양과 국가 “기미가요” 제창 시 기립조례를 강행가결한 것에 항의하는 성명을 연명으로 제출 저서: 『平家の群像 物語から史實へ』(2009), 『平家と六波羅幕府』(2013), 『京都<千年の都>の歷史』(2014), 『洛中洛外 京は“花の都”』(2015), 『東アジア武人政權の比較史的硏究』(2016), 『武士の日本史』 외.
펼치기
박영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에서 역사교육과 동양사를 배우고 일본 교토(京都) 대학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국 법제사와 사회사를 전공했으며, 현재 군산대 사학과 교수로 있다. 주요 논저로 「나라카에서 지옥으로: 불교의 번역과 중국문명」, 「해태고: 중국에 있어서 신판의 향방」, 「송사의 출현을 통해 본 송대 중국의 법과 사회」, “Balance and Balancing Weight: A Study of the Conception of Justice in the History of China and its Relationship to the Modernization of Chinese Legal System”, 『명공서판청명집 호혼문 역주』(소명출판, 2008), 『왜 유비는 삼국을 통일하지 못했을까』(자음과모음, 2010), 「동아시아 관료제의 근대성 논의」, 『군산과 동아시아: 황해남로 흥망사』(민속원, 2017), 『중세 동아시아의 해양과 교류』(공저, 탐라문화연구원, 2019), 『한자의 재구성: 주령시대의 기억과 그 후』(도서출판 길, 2021)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논어』(미야자키 이치사다, 이산, 2001), 『근대 중국의 친일합작』(티모시 브룩, 한울아카데미, 2008), 『중국 농민 르포』(천구이디 외, 2014, 도서출판 길), 『사무라이의 역사』(다카하시 마사아키, 한울아카데미, 2020), 『상용자해』(시라카와 시즈카, 도서출판 길, 2021)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애초에 무사는 어떻게 생겨난 것인가? 무사는 헤이안 시대 중기, 귀족 지배를 극복한 신흥세력으로서, 지방, 특히 동국(東國)1) 농촌을 무대로 하여 발생했다는 것이 ‘상식’이다. 독자 여러분도 분명 학교에서 그렇게 배웠을 것이다. 필자도 그러했다. 무사의 역사를 처음부터 배우기 위해서는, 우선 이것부터 칼을 댈 필요가 있다. 물론 고대 말기부터 중세의 무사 다수가 지방 농촌을 자신의 존립 기반으로 한 점은 틀렸다고 말할 수 없다. 그러나 그것은 무사가 농촌에서 발생하여 성장해왔다는 것과 같은 것은 아니다. 이 ‘상식’에는 확실한 근거가 없다. _서장 시대극의 주역들


우선 무사가 발생한 시대인 고대·중세부터 이야기를 시작하자. 무사는 이 시대에 예능인이었다. 처음 듣는 사람은 깜짝 놀랄지도 모르지만, 신기한 이야기를 자랑하려는 것이 아니다. 최근의 무사 연구에서는, 이미 많은 사람들의 승인을 얻은 학설이다. …… 보통 무사를 사무라이라고도 하며, 양자는 같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대부분일 것이다. 그러나 역사학에서는 다르게 생각한다. 고대·중세에서는, 무사는 대개 사무라이지만, 사무라이가 대개 무사인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조금 복잡하게 얽혀 있지만, 헤이안 중후기·가마쿠라 시대의 신분질서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 _제1장 무사란 무엇인가: 발생사적 측면에서


니토베는 무사도가 서양의 기사도에 흡사하다고 하는데, 그의 무사도가 기사도로부터의 유추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당연할 것이다. 니토베의 무사도론은 무사도의 덕목을 “의”에서 시작하고 있는데 그것도 기독교의 “의(신 앞에서 인간의 올바름, 인간과 신의 올바른 관계성)의 길”과 겹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무사도를 기사도나 기독교와 겹쳐서 설명하는 방식은 안팎으로 일본인이 서양인에 필적하는 우수한 문명 민족이라고 생각하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이 점에서 구미를 따라잡아 뛰어넘는 것을 목표로 한 근대 일본 지식인의 멘탈리티와 감춰진 콤플렉스를 읽어낼 수도 있을 것이다. _제5장 근대 일본의 “무사”: 증식하는 허상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