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5대 전환과 한국경제

5대 전환과 한국경제

박민수, 조영탁, 박복영, 안지연, 김계환, 이태석, 고영선, 원승연, 이기영 (지은이)
한울(한울아카데미)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000원 -0% 0원
280원
27,7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5대 전환과 한국경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5대 전환과 한국경제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정책/비평
· ISBN : 9788946074224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2-12-30

책 소개

“인간존중 공정경제”를 모토로 정의롭고 민주적인 사회경제구조 확립 방안과 통일에 대비한 한국경제의 미래상 정립, 변화하는 세계경제질서 속 한국경제의 진로 모색 등을 주요 연구과제로 삼고 있는 서울사회경제연구소에서 한국경제가 맞이한 시대적 큰 흐름을 진단하고 이에 대응할 장기적 정책을 제안하는 신간을 내놓았다.

목차

제1장디지털 전환과 한국경제의 과제_박민수
제2장한국경제의 그린 뉴딜과 탄소중립을 위한 전환과제: 전력부문을 중심으로_조영탁
제3장녹색채권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 자금조달의 현황과 과제_박복영·안지연
제4장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우리의 대응: 동아시아 관점_김계환
제5장인구구조 변화와 지속가능한 정부의 역할 수행_이태석
제6장선진 한국을 향한 도전_고영선
제7장정책금융 현황과 정책금융 공급체계 개편 과제_원승연·이기영

저자소개

고영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스탠퍼드대학교 경제학 박사 현재 KDI 연구부원장 주요 논저: 『한국경제의 성장과 정부의 역할: 과거, 현재, 미래』(2008), 『전문자격사제도 개선방안 연구』(공저, 2009), The Evolution of Wage Inequality in Korea(2018)
펼치기
박복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현재 경희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주요 논저: The World Economy after the Global Crisis: A New Economic Order for the 21st Century(편저, 2012), 『실사구시 한국경제』(공저, 2013), “External adjustment and trading partners exchange rate regimes”(2016)
펼치기
조영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현재 한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주요 논저: 『한국경제의 지속가능한 발전전략: 생태경제학의 기획』(2013), 「한국경제의 저탄소화와 재정정책의 역할」(2015), 「사회적 비용을 고려한 국내 주요발전기술의 균등화 발전비용 산정」(공저, 2018), 『생태경제학자 조영탁, 생태경제와 그린 뉴딜을 말하다』(2021)
펼치기
원승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명지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서울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금융감독원 자본시장 및 회계 담당 부원장으로 있었다. 전공 분야는 금융이다.
펼치기
이태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로체스터대학교 경제학 박사 현재 KDI 연구위원 주요 논저: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한 구조개혁 방안』(공저, 2020), 『재정준칙 유형별 경제적 효과분석과 정책적 시사점』(2023)
펼치기
박민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제경제학과 졸업, 보스턴대학교 경제학 박사 현재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주요 논저: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해외 주요국의 경제체제 중요 요소 변화: 기후위기, 디지털플랫폼, 인적자원 및 국가채무를 중심으로』(공저, 2021), 「온라인플랫폼 규제정책에 대한 경제학적 검토」(공저, 2022)
펼치기
안지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졸업, 미국 코넬대학교 경제학 박사 현재 경희대학교 국제대학 교수 주요 논저: “Does International Debt Market Linkage Amplify the Transmission of Real Business Cycle During the Crises?”(공저, 2021), 『녹색채권 시장 성장의 결정요인 분석: 기후변화 요인을 중심으로』(공저, 2022)
펼치기
김계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파리 고등사회과학연구원 경제학 박사 현재 KIET 산업통상연구본부장 주요 논저: 『경제패권경쟁시대 전략적 자율성을 위한 산업통상 전략』(공저, 2021), 「코로나 19 이후 글로벌 가치사슬의 변화」(공저, 2021), 「첨단 산업 GVC 재편에 대응한 산업·안보 정책」(2021), 「미국과 유럽의 산업 및 기술 정책」(2022)
펼치기
이기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펜실베이니아대학교 경제학 박사 현재 경기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주요 논저: 『공적 신용보증이 한계기업의 생존에 미치는 효과』(공저, 2015), 『중소기업 금융지원 정책에 대한 역사적 고찰』(공저, 2017)
펼치기

책속에서

이와 같이 디지털 전환은 단순한 신기술, 신제품의 개발 및 활용을 넘어서는 사회경제적 변화를 포괄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디지털 전환이 한국 사회에 초래하는 새로운 도전 과제는 매우 광범위하다. 일반적으로 기술발전은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탄생시키고 생산성을 높여 경제성장을 촉진한다. 그러나 동시에 기존의 산업이 신산업으로, 노동이 기계로 대체되면서 갈등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소득 불평등과 기업양극화가 심화될 수도 있다. …… ‘긱 이코노미(gig economy)’의 문제나 암호화폐가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등도 디지털 전환이 기존 경제에 가져온 새로운 문제들이다. 이 밖에도 디지털 전환은 개인정보보호, 디지털 콘텐츠를 통한 차별과 혐오의 확산, 여론 및 정치의 양극화, 사이버 안보 등 비경제적인 사회 문제도 생성하고 있다.


외환위기와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한국경제의 성장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양극화와 실업 문제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증가 추세의 온실가스 배출도 줄여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기 때문이다. 세계경제나 한국경제가 이러한 두 위기를 동시에 극복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도전적인 과제다. …… 경제적 측면에서 우리나라를 포함한 대다수의 나라에서 경제성장은 곧 이산화탄소 배출 증가를 의미하기 때문에 경제위기와 환경위기의 해결이 서로 상충된다. 이러한 사실은 21세기 초의 뉴딜은 과거의 전통적 뉴딜과 전혀 다른 접근과 해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현재 녹색채권 시장에서는 ICMA-GBP가 가장 널리 통용되고 있으나 법적 구속력을 가지는 원칙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녹색채권 발행기관, 투자자, 중개기관 등 녹색채권의 주요 이해관계자가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표준화된 녹색채권 가이드라인과 관리체계 역시 수립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