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 일반
· ISBN : 9788946075238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4-07-13
책 소개
목차
추천의 말
프롤로그
제1부 경영 고전의 이해
1장 공장의 과학자, 프레더릭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 이론
1. 저자와 시대적 배경
2. 과학적 관리 이론
3. 평가와 시사점
2장 마음속의 발전기, 프레더릭 허츠버그의 동기부여 이론
1. 저자와 시대적 배경
2. 내재적 동기부여 이론
3. 평가와 시사점
3장 똑똑한 바보들, 어빙 재니스의 집단사고 이론
1. 저자와 시대적 배경
2. 집단사고 이론
3. 평가와 시사점
4장 마음의 소프트웨어, 호프스테드의 문화와 조직관리 이론
1. 저자와 시대적 배경
2. 문화 차원 이론
3. 평가와 시사점
5장 조직의 여덟 가지 이미지, 가레스 모건의 조직 은유 이론
1. 저자와 시대적 배경
2. 조직 은유 이론
3. 평가와 시사점
6장 팀 성공의 비밀, 카첸바크와 스미스의 고성과 팀 이론
1. 저자와 시대적 배경
2. 고성과 팀 이론
3. 평가와 시사점
7장 사람을 통한 경쟁, 제프리 페퍼의 고몰입 인사시스템 이론
1. 저자와 시대적 배경
2. 고몰입 인사시스템 이론
3. 평가와 시사점
8장 불멸의 조직 만들기, 콜린스와 포라스의 비전기업 이론
1. 저자와 시대적 배경
2. 비전기업 선정과 연구방법
3. 비전기업의 경영원리
4. 비전기업의 성공 원칙
5. 평가와 시사점
9장 지식을 만드는 기업, 노나카와 다케우치의 지식창조 이론
1. 저자와 시대적 배경
2. 지식창조 이론
3. 지식창조의 실천
4. 평가와 시사점
10장 보이지 않는 경영, 로빈슨과 스턴의 기업 창의성 이론
1. 저자와 시대적 배경
2. 기업 창의성의 개념
3. 기업 창의성의 여섯 가지 핵심요인
4. 평가와 시사점
제2부 경영의 미래
11장 자율성의 마법, 몰입관리
1. 경영환경 변화와 몰입
2. 몰입의 관리, 자율성과 자기결정
12장 연결의 힘, 소통과 네트워크 관리
1. 혁신을 위한 소통관리
2. 연결과 네트워크 관리
3. 협업과 혁신의 네트워크
13장 연대의 리더십, WE-리더십을 향하여
1. 리더십, 어디로 가는가
2. 리더십 이론 돌아보기
3. We-리더십이란 무엇인가
4. We-리더십의 실행 조건과 핵심요인
5. We-리더십의 실천과 관련된 문제들
6. 새로운 세대를 위한 We-리더십
에필로그
감사의 말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테일러 자신은 서문에서 책을 쓴 목적을 다음 세 가지로 말하고 있다. 첫째, 작업장의 비효율로 얼마나 많은 낭비가 있는지 보여주겠다. 둘째, 뛰어난 작업자보다 체계적인 경영이 낭비를 줄이는 더 좋은 방법이다. 즉, 사람이 아니라 시스템이 문제라는 것이다. 셋째, 최선의 경영은 명확한 법칙과 원리에 기초한 진정한 과학이며, 이러한 원리는 개인의 행동부터 대기업 경영까지 모두 적용 가능하다. _ 1장 공장의 과학자, 프레더릭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 이론
허츠버그가 고전 논문을 쓴 1960년대 후반은 미국이 2차 세계대전 후 고속 성장을 달리다가 경기가 정체되기 시작하는 시기이다. 특히 산업 현장은 테일러주의가 완성된 이후 작업의 단순화, 전문화, 분업화가 지나치게 진전되어 근로자들의 근로의욕이 감소하고 노동생산성이 떨어지던 시기였다. 이러한 시기에 허츠버그는 잘못된 동기부여 방안들에 문제의식을 느끼고, 새로운 동기부여 이론을 제시하게 된 것이다. 허츠버그의 2요인 이론 즉, 위생요인-동기요인 이론은 테일러-포드주의의 문제점뿐만 아니라 이후에 나온 인간관계학파의 막연한 동기부여 방안들도 비판하면서 동기부여의 핵심은 직무 외부가 아니라 내부에 있다는 분명한 주장을 하고 있다. _ 2장 마음속의 발전기, 프레더릭 허츠버그의 동기부여 이론
집단사고는 저자인 재니스가 만든 신조어이다. 재니스가 조지 오웰의 소설 『1984』에 나오는 용어인 ‘이중사고’와 ‘범죄사고’를 참고해 만들었다고 한다. ... 집단사고는 응집성이 높은 집단이 합의에 대한 압력으로 인해서 비판적으로 대안을 탐색하는 능력을 잃어버리고, 결국 잘못된 의사결정을 하는 것을 말한다. _ 3장 똑똑한 바보들, 어빙 재니스의 집단사고 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