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의 타이완 침공 시나리오

중국의 타이완 침공 시나리오

(타이완 해협을 둘러싼 미중 패권 경쟁)

조엘 우드노, 필립 손더스, 앤드루 스코벨, 조슈아 아로스테기, 마이클 케이시, 제중, 마티유 뒤샤텔, 알렉산더 황, 코너 케네디, 로데릭 리, 세일 릴리, 드루 톰슨 (지은이), 조엘 우드노, 데릭 그로스먼, 필립 손더스, 앤드루 스코벨, 앤드루 양 (엮은이), 이용빈, 이중구 (옮긴이)
한울(한울아카데미)
4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6,000원 -0% 0원
460원
45,5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의 타이완 침공 시나리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의 타이완 침공 시나리오 (타이완 해협을 둘러싼 미중 패권 경쟁)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각국정치사정/정치사 > 중국
· ISBN : 9788946075504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5-01-05

책 소개

오판하기 쉬운 중국인민해방군의 현재, 중국지도부의 계산, 중국의 타이완에 대한 다양한 군사작전 예상 시나리오와 타이완과 미국의 대응 전략을 중국인민해방군의 군사 데이터는 물론 역사적, 정치적, 지리적 배경을 비롯한 다양한 자료와 시각으로 분석했다.

목차

서장 해협을 넘어서: 중국인민해방군의 현대화와 타이완

제1부 중국의 의사결정 계산
제1장 중국의 타이완 정책의 세 가지 논리: 분석을 위한 틀
제2장 중국의 군사력 사용에서 관한 계산: 미래 시나리오, 비용, 이익, 리스크 및 목표

제2부 타이완에 대한 중국인민해방군의 작전과 개념
제3장 중국의 타이완에 대한 무력압박 선택지 평가
제4장 화력 타격, 봉쇄, 상륙: 양안 충돌 시 중국인민해방군의 군사작전
제5장 도자기 가게에서 쥐잡기: 타이완에 대한 군사작전에서 중국인민해방군의 시가전

제3부 중국의 군사력과 군사개혁의 영향
제6장 군사개혁 후 중국인민해방군 육군과 해병대 상륙부대
제7장 타이완 시나리오에서의 중국인민해방군 공수부대
제8장 타이완 도달까지: 타이완 침공 시 중국의 군 및 민간 해양수송
제9장 타이완 침공 시 중국인민해방군의 보급 및 동원 능력
제10장 역할과 분담: 타이완 시나리오에서의 중국의 지휘와 통제

제4부 타이완의 방어 능력 강화
제11장 타이완의 정체방어구상에 대한 실체평가
제12장 승리를 위해: 패배가 용납되지 않는 타이완

부록

저자소개

앤드루 스코벨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평화연구소(United States Institute of Peace) 중국 분야 연구원이다. 미국 랜드연구소 수석연구원을 역임했다. 홍콩에서 출생하여 컬럼비아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를 취득했다. 저서: Chairman Xi Remakes the PLA: Assessing Chinese Military Reforms(공저, 2019), China’s Grand Strategy: Trends, Trajectories, Long-Term Competition(공저, 2020), Command and Control in U.S. Naval Competition with China(공저, 2020) 외
펼치기
조엘 우드노 (엮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국방대학교 국가전략연구소(INSS) 중국군사연구소(CSCMA) 수석연구원이다. 조지타운대학교 왈시 외교학교(Edmund A. Walsh School of Foreign Service) 겸임교수, CNA(Center for Naval Analyses) 중국 분석원, 프린스턴대학교에서 중국 및 세계 프로그램 박사후 연구원, 브루킹스연구소(Brookings Institution)에서 박사전 연구원을 역임했다. 프린스턴대학교를 공공사무/국제사무 전공으로 수석졸업하고 옥스퍼드대학교에서 현대중국학 석사를, 컬럼비아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를 취득했다. 저서: Chairman Xi Remakes the PLA: Assessing Chinese Military Reforms(공편, 2019), China’s Other Army: The People’s Armed Police in an Era of Reform(2019), System Overload: Can China’s Military Be Distracted in a War over Taiwan?(2020), PLA Beyond Borders: Chinese Military Operations in Regional and Global Context(공편, 2021) 외
펼치기
필립 손더스 (엮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국방대학교 중국군사연구소(CSCMA) 소장, 미국 국방대학교 국가전략연구소 연구원이다. 1999년부터 2003년까지 몬터레이 국제문제연구소(Monterey Institute of International Studies) 제임스 마틴 비확산연구센터(James Martin Center for Nonprolieration Studies)에서 동아시아 핵비확산 프로그램 주관했다, 1989년부터 1994년까지 미국 공군 장교로 근무했다. 하버드칼리지를 졸업, 프린스턴대학교에서 행정학 석사 및 국제정치학 박사를 취득했다, 중국의 군사 및 안보 이슈 관련으로 많은 책을 엮었다. 저서: The Paradox of Power: Sino-American Strategic Restraint in an Era of Vulnerability(공저, 2011) 외
펼치기
마이클 케이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국방부 분석원이다. 인도-태평양 지역, 특히 중국인민해방군의 성장과 진화, 중국의 타이완에 대한 위협 증가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그의 연구는 중국인민해방군의 새로운 능력이 어떻게 그 군사계획을 형성하고 있으며 실제 세계에서의 전투에 그러한 능력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지에 대해 중점을 두고 있다. 미시건대학교에서 동아시아 안보를 전공 졸업하고 조지워싱턴대학교에서 안보학 석사를 취득했다.
펼치기
세일 릴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랜드연구소 수석연구원으로 중국 군사, 경제분석 및 워게임 디자인을 주로 하고 있다. 미국 해군 장교와 금융서비스 회사의 경영고문을 역임했다, 미국 해군사관학교를 경제학 전공으로 졸업하고 옥스퍼드대학교에서 중국학과 경제사/사회사를 복수 전공 석사를 취득했다.
펼치기
드루 톰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리콴유공공정책스쿨 방문수석연구원, CNA 수석연구원이다. 2011년부터 2018년까지 국방부장관실 중국?타이완?몽골 지역 책임자로 있었다. CSIS(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와 CNI(Center for the National Interest)에서 재직한 바가 있다. 호바트칼리지에서 아시아학 학사, 존스홉킨스대학교의 존스홉킨스-난징대학교 중국학·미국학연구소에서 석사를 취득했다.
펼치기
조슈아 아로스테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육군 수석연구원으로 10년 동안 중국의 군사력을 전문적으로 분석했다. 미국 해군에서 중국어 통역관 및 암호전 장교(cryptologic warfare officer)로서 25년 이상 직무를 수행했다. 미국 해병대지휘참모대학교를 졸업하고 살브레지나대학교에서 국제관계학 석사, 네브래스카대학교에서 역사학 석사를 취득했다, 미국 국방언어연구소(Defense Language Institute) 초급 및 중급 중국어과정 수료하고, 베이징경제관리직업대학교 실용 중국어 프로그램 이수했다.
펼치기
제중 (지은이)    정보 더보기
타이완 국가정책연구기금회(國家政策硏究基金會, NPF) 연구원이다. 1997년부터 2015년까지 타이완 입법원의 수석 보좌진, 2001년부터 2015년까지의 외교국방위원회 등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전문 분야는 중국인민해방군 군사개혁, 타이완의 국방정책, 타이완의 남중국해 정책 및 강압외교이다.
펼치기
마티유 뒤샤텔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랑스 몽테뉴연구소(Institut Montaigne) 아시아 프로그램 책임자이다.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유럽대외관계위원회(European Council of Foreign Relations) 수석연구원 및 아시아·중국 프로그램 부책임자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수석연구원 및 베이징 주재 대표로, 2004년부터 2007년까지 프랑스 아시아센터 타이베이 주재 연구원, 2007년부터 2011년까 프랑스 아시아센터 연구원을 역임했다. 프랑스 파리정치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를 취득했다, 상하이의 푸단대학교, 타이완 국립정치대학교, 베이징에서 9년 동안 근무했다. 2011년부터 2012년까지 베이징대학교 국제관계대학에서, 2015년에는 일본국제문제연구소, 2020년에는 타이완 국방안전연구원(INDSR)에 방문학자로 있었다.
펼치기
알렉산더 황 (지은이)    정보 더보기
타이완 담강대학교 국제관계·전략연구 교수, 타이완 전략·워게임협회(CSWS) 설립자이자 회장이다. 타이완 대륙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냈다, 미국 조지타운대학교에서 석사를, 미국 조지워싱턴대학교 정치학과에서 박사를 취득했다. 아시아 및 중국 외교 안보 업무 전문가로 국제 통신사 및 현지 언론과 많은 인터뷰를 했다. 2011년부터 타이완의 《연합보(聯合報)》, 《중국시보(中國時報)》등 여러 신문 및 온라인 미디어에 칼럼니스트로서 기고해왔다.
펼치기
코너 케네디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해군전쟁대학교 중국해양연구소(China Maritime Studies Institute) 연구원이다. 존스홉킨스대학교의 존스홉킨스-난징대학교 중국학·미국학연구소(Johns Hopkins University?Nanjing University Center for Chinese and American Studies)에서 석사를 취득했다. 해상 민병대와 수륙양용 전투의 발전을 포함한 중국 해양사건 및 군사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로데릭 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공군대학교(Air University) 중국항공우주연구소(China Aerospace Studies Institute) 소장이다. 중국의 군사 부문의 우주항공력과 민간 부문의 우주항공 섹터 및 그것의 군사 분야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주관하고 있다. 미국 해군 분석원으로서 중국 해군력을 분석한 바 있다. 조지워싱턴대학교 엘리엇국제관계스쿨에서 석사를 취득했다.
펼치기
앤드루 스코벨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평화연구소(United States Institute of Peace) 중국 분야 연구원이다. 미국 랜드연구소 수석연구원을 역임했다. 홍콩에서 출생하여 컬럼비아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를 취득했다. 저서: Chairman Xi Remakes the PLA: Assessing Chinese Military Reforms(공저, 2019), China’s Grand Strategy: Trends, Trajectories, Long-Term Competition(공저, 2020), Command and Control in U.S. Naval Competition with China(공저, 2020) 외
펼치기
앤드루 양 (엮은이)    정보 더보기
중화민국고등정책연구협회(CAPS: Chinese Council of Advanced Policy Studies) 이사장이다. 타이완 국방부 부부장(차관) 및 장관을 역임했다, 타이완, 미국, 중국 간의 역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국제적인 권위자이다. CAPS는 중화인민공화국의 국내 상황·국제 정세의 전략 및 안보 측면, 특히 양안관계를 기본적으로 연구하고 분석하고 있다. 1987년 이후 중국인민해방군에 관한 일련의 국제회의를 주관해왔으며, 이를 통해 국방·안보 관련 학술 분야에서 국제적인 명성과 인정을 받아왔다.
펼치기
조엘 우드노 (엮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국방대학교 국가전략연구소(INSS) 중국군사연구소(CSCMA) 수석연구원이다. 조지타운대학교 왈시 외교학교(Edmund A. Walsh School of Foreign Service) 겸임교수, CNA(Center for Naval Analyses) 중국 분석원, 프린스턴대학교에서 중국 및 세계 프로그램 박사후 연구원, 브루킹스연구소(Brookings Institution)에서 박사전 연구원을 역임했다. 프린스턴대학교를 공공사무/국제사무 전공으로 수석졸업하고 옥스퍼드대학교에서 현대중국학 석사를, 컬럼비아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를 취득했다. 저서: Chairman Xi Remakes the PLA: Assessing Chinese Military Reforms(공편, 2019), China’s Other Army: The People’s Armed Police in an Era of Reform(2019), System Overload: Can China’s Military Be Distracted in a War over Taiwan?(2020), PLA Beyond Borders: Chinese Military Operations in Regional and Global Context(공편, 2021) 외
펼치기
필립 손더스 (엮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국방대학교 중국군사연구소(CSCMA) 소장, 미국 국방대학교 국가전략연구소 연구원이다. 1999년부터 2003년까지 몬터레이 국제문제연구소(Monterey Institute of International Studies) 제임스 마틴 비확산연구센터(James Martin Center for Nonprolieration Studies)에서 동아시아 핵비확산 프로그램 주관했다, 1989년부터 1994년까지 미국 공군 장교로 근무했다. 하버드칼리지를 졸업, 프린스턴대학교에서 행정학 석사 및 국제정치학 박사를 취득했다, 중국의 군사 및 안보 이슈 관련으로 많은 책을 엮었다. 저서: The Paradox of Power: Sino-American Strategic Restraint in an Era of Vulnerability(공저, 2011) 외
펼치기
데릭 그로스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랜드연구소 수석연구원, 남가주대학교 겸임교수, 퍼스 USAsia 센터(the Perth USAsia Centre) 연구원이다. 미시건대학교에서 정치학/아시아학을 전공하고 조지타운대학교에서 미국 안보정책으로 석사를 취득했다. 저서: North Korean Decisionmaking Economic Opening, Conventional Deterrence Breakdown, and Nuclear Use(공저, 2020), Tailoring Deterrence for China in Space(공저, 2021), Security Cooperation in a Strategic Competition(공저, 2022) 외
펼치기
데릭 그로스먼의 다른 책 >
이용빈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인도 국방연구원(IDSA) 객원연구원 역임, 미국 하버드대학교 HPAIR 연례학술회의 참석(안보 분과), 이스라엘 크네세트(국회), 미국 국무부, 미국 해군사관학교, 중국국민당 초청 방문, 이스라엘 히브리대학교, 미국 하와이대학교 동서문제연구소(East-West Center), 중국외교대학교, 타이완 국립정치대학교, 홍콩중문대학교 학술 방문, 홍콩국제문제연구소 연구원 저서: East by Mid-East(공저, 2013) 외 역서: 『시진핑』(2011, 2012년도 아시아·태평양출판협회APPA 출판상 수상), 『시리아』(2012), 『중국 근대 해양방어 사상사』(2013), 『현대 중국정치』(제3판, 2013), 『러시아의 논리』(2013), 『마오쩌둥과 덩샤오핑의 백년대계: 중국군의 핵·해양·우주 전략을 독해한다』(편역, 2014), 『이란과 미국』(2014), 『중국인민해방군의 실력』(2015), 『망국의 일본 안보정책』(2015), 『현대 중국의 정치와 관료제』(2016), 『중국 국경, 격전의 흔적을 걷다』(2016), 『이슬람의 비극』(2017), 『시진핑의 중국』(2019), 『푸틴과 G8의 종언』(2019), 『미국의 제재 외교』(2021), 『美中 신냉전?: 코로나19 이후의 국제관계』(2021), 『현대 중국의 정치와 외교』(2023), 『벼랑 끝에 선 타이완: 미중 경쟁과 양안관계의 국제정치』(공역, 2023), 『글로벌 시대의 미국』(2024) 외
펼치기
이중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연구위원, (현)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겸임교수, (전) 미국 국방대학교 국가전략연구소 방문학자, (전)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선임연구원, (전) 중국인민대학교 국제관계학원 방문학자 저서: 『북한과 국제정치』(공저, 2018), 『디지털 안보의 세계정치』(공저, 2020), 『린치핀 코리아: 한반도 중심축 국가건설 로드맵』(공저, 2020), 『4차 산업혁명과 신흥 군사안보』(공저, 2020), 『디지털 안보의 세계정치』(공저, 2021), 『12개 렌즈로 보는 남북관계』(공저, 2021) 외 논문: 「북한 핵증강론의 담론적 기원과 당론화 과정」(2017), 「중국의 일본에 대한 적대적 역사 활용추이와 강화요인: 청일·중일전쟁을 중심으로」(2018), “The Birth and Revival of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Policy for the Korean Peninsula”(2018), 「북한의 핵개발과 조선 식민화 기억의 결합: 핵 민족주의 담론의 형성」(2019), “A South China Sea Conflict and the ROK’s Cooperation with the United States”(2022), “The Taiwan Strait and the ROK-U.S. alliance”(2023), 「미중관계에 대한 남북한 주권게임 양상 연구」(2023), 「북한의 ‘적대적 두 국가론’과 남북관계 전망」(2024) 외
펼치기

책속에서

중국인민해방군은 주기적으로 타이완에 대한 표적 설정 군사훈련, 무력시위 및 병력의 전개를 통해 군사적 압박을 가해왔다. 이러한 행동은 회색지대에 머물면서―‘치명적인 힘’까지는 가지 않으면서―중국의 능력과 결의를 보이고자 하는 것이다. 하지만 저강도 압박은 잠재적으로 타이완의 통제 하에 있는 연안도서의 점령 또는 타이완의 인프라에 대한 동적공격(kinetic attacks) 등과 같은 제한적인 ‘치명적인 힘’의 사용으로 확대될 수 있다. 1995~1996년의 타이완 해협 위기(Taiwan Strait Crisis)와 2008년 천수이볜(陳水扁) 총통의 임기 마지막 몇 개월 동안에 벌어진 중국인민해방군의 전개처럼 타이완의 독립 움직임에 대응한 구체적인 중국의 우려에서 나온 행동도 있었다.


중국공산당 지도자들은 궁극적으로 타이완에서의 시간과 정치적 경향이 중국에 불리하게 움직이고 있으며, 아울러 높은 정치적·경제적·군사적 비용과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통일을 달성하기 위해 힘이 필요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그러한 결정은 다양한 행동 방침과 관련하여 인지된 비용과 리스크, 그리고 ‘타이완 독립’을 수용하거나 통일의 기회를 잃는 것에 관련하여 인지된 무작위의 비용에 대한 지도부의 평가를 기반으로 할 것이다. 앤드루 스코벨이 집필한 이 책의 제2장에서는 잠재적인 중국공산당 지도부의 계산에 대해 자세히 논하고 있으며, 마티유 뒤샤텔과 마이클 케이시가 각각 집필한 제3장과 제4장에서는 사용 가능한 중국인민해방군의 군사적 선택지가 갖고 있는 장점과 단점을 다루고 있다. 중국의 모든 최고지도자가 주권과 영토 보전이라는 중국의 핵심적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싸울 용의가 있음을 반복적으로 천명했다는 것은 강조할 가치가 있다.


랜드연구소는 최근 펴낸 연구에서 중국공산당 지도자들이 향후 수십 년 동안 그들의 대전략 차원의 목표를 얼마나 성공적으로 달성할 것인지에 입각하여 네 가지 대안적 미래를 제시했다. 즉 △‘성공적인 중국의 미래(triumphant China future)’ 시나리오에서 베이징은 대전략을 실현하는 데 있어서 눈에 띄게 성공했다. △‘떠오르는 중국의 미래(ascendant China future)’ 시나리오에서 베이징은 대전략의 목표 가운데 전부는 아니지만 많은 것을 성공적으로 달성했다. △‘정체된 중국의 미래(stagnant China future)’ 시나리오에서 베이징은 장기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였다. △‘내부적으로 붕괴되는 중국의 미래(imploding China future)’ 시나리오에서 베이징은 공산주의 정권의 존재를 위협하는 수많은 문제에 둘러싸여 있게 되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