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마케팅/세일즈 > 마케팅/브랜드
· ISBN : 9788946081413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1-11-26
책 소개
목차
1장. 조직명성의 다양한 관점과 통합 명성관리 모델_ 차희원
2장. 조직학 관점 조직과 명성_ 이유나·서미라
3장. 기업명성과 사회공헌활동 사회적 관점의 이론과 사례_ 이철한
4장. 조직사회학적 관점 조직명성과 위기_ 김수진·유승희
5장. 기업명성의 마케팅 관점과 이론_ 박혜영
6장. 기업명성과 마케팅커뮤니케이션 사례_ 김석
7장. PR학 관점 공중관계성과 명성_ 하진홍
8장. 미디어와 명성_ 최세라·김장열
9장. 소셜미디어와 조직명성_ 문빛
저자소개
책속에서
미국PR협회의 PR에 대한 정의를 보면, PR은 조직과 주요 공중이 상호 호혜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전략적 커뮤니케이션 과정이다. 윌콕스와 카메룬의 정의에서는 PR의 ‘공공이익(조직과 공중 둘 다에게 상호호혜적)과 쌍방 커뮤니케이션’을 주요 키워드로 제시한다. 신호창 등은 PR학을 공중관계학으로 규정하고 공중관계란 “조직과 공중이 상호 호혜적인 관계를 형성 및 유지하기 위해 전략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의미를 공유하는 과정”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들의 정의에서 PR의 핵심 요소는 조직, 공중, 관계, 그리고 커뮤니케이션이다. 여기서도 조직과 공중 간 관계를 형성하는 활동은 ‘커뮤니케이션’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PR관점에서 볼 때, 명성 연구의 핵심 역시 ‘커뮤니케이션’이며, 조직과 공중 간 관계에 흐르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적 요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_ “1장. 조직명성의 다양한 관점과 통합 명성관리 모델”
조직학적 관점에서 동일시가 중요한 이유는 조직 구성원들이 자신의 조직에 동일시하지 않을 경우 조직 정체성 상실, 조직 충성심 저하 등 조직에 역기능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직 구성원은 기업명성을 외부로 알리고 전달할 수 있는 비공식 홍보 실무자의 역할을 하기도 하며, 조직 동일시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내부고발자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인수합병(M&A) 등 조직의 변화와 관련지어서도 연구되고 있다. 두 개의 조직이 하나의 조직으로 통합되는 경우, 피인수기업의 조직 구성원들은 조직에 대한 소속감의 변화와 조직 정체성 상실을 경험하게 된다. _ “2장. 조직학 관점”
온라인 파이어스톰(online firestorm)은 최근 몇 년간 소셜미디어에서 자주 나타나는 현상으로, 소셜미디어에서 개인, 기업, 또는 집단에 대한 부정적인 WOM(word-of-mouth)과 불만 행동이 갑작스럽게 폭발하는 것을 뜻한다.
페퍼와 그의 동료 학자들이 온라인 파이어스톰을 학문적으로 다룬 이후로, 온라인 파이어스톰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 선행연구자들은 학문적 정의 및 특징을 논의했다. 구체적으로, 아인윌러와 슈타일렌은 페퍼 등의 정의에서 조직에 대한 불만 행동에 초점을 맞추고 ‘소셜미디어에서 표현된 불만에 타인이 동참하는 상황’을 온라인 파이어스톰이라고 했다. 또 다른 연구자들은 커뮤니케이션(즉 WOM)에 초점을 맞추었다. 예를 들어, 스티치 등은 온라인 파이어스톰을 ‘소셜미디어에서 부정적인 WOM이 표현된 비판적인 포스트가 갑자기 대량으로 폭발하는 것’으로 정의했으며, 헤어하우젠 등은 ‘짧은 시간에 다른 소비자들의 상당한 지지를 받는 부정적인 온라인 WOM’으로 정의한 바 있다. _ “4장. 조직사회학적 관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