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PR커뮤니케이션과 명성

PR커뮤니케이션과 명성

(학제 간 이론과 전략)

차희원, 이유나, 서미라, 이철한, 김수진, 유승희, 박혜영, 김석, 하진홍, 최세라, 김장열, 문빛 (지은이)
한울(한울아카데미)
3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3,000원 -0% 0원
330원
32,67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PR커뮤니케이션과 명성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PR커뮤니케이션과 명성 (학제 간 이론과 전략)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마케팅/세일즈 > 마케팅/브랜드
· ISBN : 9788946081413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1-11-26

책 소개

한국PR학회와 PR기업인 프레인글로벌의 기획으로 만들어진 이 책은 광고 및 홍보학, 그중에서도 기업과 그 기업의 제품을 소비하고자 하는 사람들 사이에 벌어지는 관계를 면밀히 살펴본 연구서다.

목차

1장. 조직명성의 다양한 관점과 통합 명성관리 모델_ 차희원
2장. 조직학 관점 조직과 명성_ 이유나·서미라
3장. 기업명성과 사회공헌활동 사회적 관점의 이론과 사례_ 이철한
4장. 조직사회학적 관점 조직명성과 위기_ 김수진·유승희
5장. 기업명성의 마케팅 관점과 이론_ 박혜영
6장. 기업명성과 마케팅커뮤니케이션 사례_ 김석
7장. PR학 관점 공중관계성과 명성_ 하진홍
8장. 미디어와 명성_ 최세라·김장열
9장. 소셜미디어와 조직명성_ 문빛

저자소개

김장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콜로라도주립대학교 저널리즘·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이다. 서강대학교에서 PR전공으로 석사학위를, 플로리다대학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인 최초의 미국PR협회 인증 PR 전문가(APR)이며, 2016년에 미국PR협회 펠로(Fellow PRSA)로 선정되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소비자위해예방국장을 역임했으며, PR회사인 코콤포터노벨리의 설립자이기도 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쟁점·위기커뮤니케이션, 공공외교, 헬스커뮤니케이션, PR윤리, CSR 등이다.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Public Relations Review,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외 주요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그밖에 참여한 여러 저서·역서가 있다. 현재 Asian Journal of Public Relations의 Editor-in-chief를 맡고 있다.
펼치기
이유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화여자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메릴랜드 대학교에서 언론학 석사, 커뮤니케이션학 박사를 받았다. 한국PR학회 제20대 회장, 한국외대 홍보실장, 국제교류처장, 정치행정언론대학원장을 지냈다. 구성원 커뮤니케이션, 정부-정책 PR, 국가브랜드, 공공외교 연구를 <광고학 연구> 등의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하였다. 공저로는 『디지털 시대의 PR학 신론』(학지사, 2021), 『100개의 키워드로 읽는 광고와 PR』(한울아카데미, 2017), 『디지털 사회와 PR 윤리』(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등이 있다. 이메일: yunna.rhee@gmail.com
펼치기
차희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석ㆍ박사학위를 받았다. 코콤포터노벨리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소장, 닐슨마케팅리서치 연구원으로 활동했으며, 미국 시라큐스대학교 초빙 학자를 지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ㆍ미디어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기업명성과 커뮤니케이션』(2018), 『빅데이터와 국가브랜드』(공저, 2022), 『PR커뮤니케이션과 명성』(공저, 2021), 『공중 관계 핸드북』(공저, 2017), 『한국형 공공외교 평가 모델』(공저, 2016) 등이 있다.
펼치기
하진홍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부교수이다.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오리콤, 금강기획, MBC애드컴 등에서 AE로 재직했다. 이후 미국 플로리다대학교와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채플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학(PR 전공)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PR 및 광고와 관련한 위기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홍보학연구≫, ≪광고연구≫, Public Relations Review,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등 국내외 저널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의 PR연구 20년』(공저, 2016), 『디지털PR 이론과 실제』(공저, 2019) 등이 있다.
펼치기
문빛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디애나대학교 미디어스쿨 박사 수료/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이후 2012~2013년에 시라큐스대학교 뉴하우스공공커뮤니케이션학부(S.I Newhouse School of Public Communication)에서 방문학자로 활동했다. 또한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교수로 재직하였다. 공중의 커뮤니케이션 행동을 갈등·위기관리 혹은 조직 명성 관리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공중 관계 핸드북』(공저, 2017)이 있다.
펼치기
김수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겸임교수이다.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언론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소더비즈, 미국육류수출협회에서 근무했고 ㈜레인보우커뮤니케이션 수석연구원을 지냈다. 현재 한국PR학회 학술지 ≪홍보학연구≫ 편집이사로 활동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 「한국의 정부기관 명성지수 개발연구: 국가보훈처 사례의 적용」(2021), 「쌍방향 균형커뮤니케이션으로서 공유된 의사결정 시스템 구축을 위한 탐색적 연구: 신장투석환자의 커뮤니케이션 중심 분석」(2021), 「The Influence of Chronic and Temporary Accessibility on Trust and Policy Support」(2020), 「정서의 관계적 테마를 바탕으로 한 한국의 건강위험 커뮤니케이션 모델 개발 연구」(2019) 등이 있다. 저서로는 『디지털PR 이론과 실제』(공저, 2019)가 있다. 연구관심사는 공공PR, 정책PR, 헬스커뮤니케이션, 과학의료커뮤니케이션 분야이며 현재 의료계와 다양한 융합연구를 수행중이다.
펼치기
서미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강사다. 한국외국어대학교를 졸업하고 동대학교 박사 과정에 있다. 2000년부터 삼성종합기술원, 케첨(구 인컴브로더) 등에서 약 10년간 PR 실무를 담당하였다. 주요 논문으로는 「기업 트위터의 인지된 상호작용성이 공중의 정보확산행동(megaphoning effect)에 미치는 영향 연구: 조직-공중관계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기업 SNS 커뮤니케이션이 조직-공중 관계성에 끼치는 영향: 소셜프레즌스, 기업 정체성, 기업-자아 동일시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관심 연구 분야는 디지털 PR과 정책 PR커뮤니케이션이다.
펼치기
이철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다. 시라큐스대학교에서 홍보학과 전공으로 홍보학 석사학위를, 미주리(컬럼비아)대학교에서 광고홍보학과 전공으로 광고홍보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표 저서로는 『디지털 시대의 PR학신론』(공저, 2021)이 있으며, 대표 논문으로는 「대립하는 두 조직간 쟁점관리 효과에 관한 연구」(2005), 「기업자산으로서의 기업명성가치 연구」(공저, 2005) 등이 있다.
펼치기
유승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고려대학교 4단계 BK21 미디어학교육연구단 소속 연구교수이다. 이화여자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광고·홍보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관심 있는 연구 분야는 소셜미디어, 커뮤니케이션, 명성, 위기 등이다.
펼치기
박혜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신대학교 미디어영상광고홍보학부 조교수이다. 중앙대학교에서 국어국문과 신문방송을 전공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서강대학교에서 PR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관공서 홍보팀, 대학 홍보처 근무 경력 등이 있으며 (주)프레인글로벌에서 PR 컨설팅을 수행했다. PR 공익성 개념화 및 척도 개발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위험 및 위기 커뮤니케이션, 헬스 커뮤니케이션 등 다방면에 관심을 갖고 있다. 최근에는 기후 변화, 게임 관련 연구를 진행했다.
펼치기
김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김석 프레인앤리 연구소장은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행정학을 전공했다. 2009년 프레인글로벌에 합류해 서울 G20 정상회의 국내 홍보, 한국수력원자력 PA(public acceptance) 프로젝트 등을 진행한 뒤 2014년부터 프레인앤리를 담당하고 있다. PR 베이스의 커뮤니케이션 컨설팅, PI(Personal Identity)기획과 실행, 브랜드커뮤니케이션 컨설팅 프로젝트를 주로 수행했으며 유관 학회와도 매년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는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커뮤니케이션 연구 등 그룹사의 R&D 활동에 집중하고 있다.
펼치기
최세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콜로라도주립대학교 저널리즘·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박사과정 학생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strategic communication, public relations, crisis communication이며, 최근에는 AI를 활용한 조직과 공중의 관계형성을 위한 전략적 커뮤니케이션 연구를 진행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미국PR협회의 PR에 대한 정의를 보면, PR은 조직과 주요 공중이 상호 호혜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전략적 커뮤니케이션 과정이다. 윌콕스와 카메룬의 정의에서는 PR의 ‘공공이익(조직과 공중 둘 다에게 상호호혜적)과 쌍방 커뮤니케이션’을 주요 키워드로 제시한다. 신호창 등은 PR학을 공중관계학으로 규정하고 공중관계란 “조직과 공중이 상호 호혜적인 관계를 형성 및 유지하기 위해 전략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의미를 공유하는 과정”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들의 정의에서 PR의 핵심 요소는 조직, 공중, 관계, 그리고 커뮤니케이션이다. 여기서도 조직과 공중 간 관계를 형성하는 활동은 ‘커뮤니케이션’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PR관점에서 볼 때, 명성 연구의 핵심 역시 ‘커뮤니케이션’이며, 조직과 공중 간 관계에 흐르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적 요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_ “1장. 조직명성의 다양한 관점과 통합 명성관리 모델”


조직학적 관점에서 동일시가 중요한 이유는 조직 구성원들이 자신의 조직에 동일시하지 않을 경우 조직 정체성 상실, 조직 충성심 저하 등 조직에 역기능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직 구성원은 기업명성을 외부로 알리고 전달할 수 있는 비공식 홍보 실무자의 역할을 하기도 하며, 조직 동일시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내부고발자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인수합병(M&A) 등 조직의 변화와 관련지어서도 연구되고 있다. 두 개의 조직이 하나의 조직으로 통합되는 경우, 피인수기업의 조직 구성원들은 조직에 대한 소속감의 변화와 조직 정체성 상실을 경험하게 된다. _ “2장. 조직학 관점”


온라인 파이어스톰(online firestorm)은 최근 몇 년간 소셜미디어에서 자주 나타나는 현상으로, 소셜미디어에서 개인, 기업, 또는 집단에 대한 부정적인 WOM(word-of-mouth)과 불만 행동이 갑작스럽게 폭발하는 것을 뜻한다.
페퍼와 그의 동료 학자들이 온라인 파이어스톰을 학문적으로 다룬 이후로, 온라인 파이어스톰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 선행연구자들은 학문적 정의 및 특징을 논의했다. 구체적으로, 아인윌러와 슈타일렌은 페퍼 등의 정의에서 조직에 대한 불만 행동에 초점을 맞추고 ‘소셜미디어에서 표현된 불만에 타인이 동참하는 상황’을 온라인 파이어스톰이라고 했다. 또 다른 연구자들은 커뮤니케이션(즉 WOM)에 초점을 맞추었다. 예를 들어, 스티치 등은 온라인 파이어스톰을 ‘소셜미디어에서 부정적인 WOM이 표현된 비판적인 포스트가 갑자기 대량으로 폭발하는 것’으로 정의했으며, 헤어하우젠 등은 ‘짧은 시간에 다른 소비자들의 상당한 지지를 받는 부정적인 온라인 WOM’으로 정의한 바 있다. _ “4장. 조직사회학적 관점”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