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큰글씨책] 공중 관계 핸드북

[큰글씨책] 공중 관계 핸드북

(Public Relations 바로보기)

신호창, 문빛, 조삼섭, 이유나, 김영욱, 차희원 (지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29,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800원 -0% 0원
890원
28,9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큰글씨책] 공중 관계 핸드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씨책] 공중 관계 핸드북  (Public Relations 바로보기)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광고/홍보
· ISBN : 9791128807091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17-11-07

책 소개

한국PR학회에서 기획하고 저술한 PR 용어에 대한 표준 가이드북. 공중 관계 학문 및 실무 분야의 기초가 되는 토대 개념들의 의미를 재정립하고, 주요 이론과 활동 분야, 실무 프로세스에서 사용되는 제반 용어의 의미들을 정리해 향후 20∼30년간 한국 공중 관계 연구와 실무에 방향타로 작용하도록 했다.

목차

연구 배경 및 집필 목적

01 공중 관계의 토대 개념

공중 관계 토대 개념 정의 도출 과정
공중 관계 토대 개념별 정의

02 공중 관계 분야
공중 유형별 분류
활동 목적별 분류

03 공중 관계의 기본 이론
이론 패러다임과 관련 용어
주류 이론과 관련 용어

04 공중 관계 기본
조사
기획
커뮤니케이션
평가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신호창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다.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오하이오대학교 저널리즘스쿨에서 공중관계(Public Relations)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 최초의 공중관계학 박사다.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이화여자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한국홍보학회 회장, 한국PR협회 부회장, 국제커뮤니케이션학회(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공중관계 부문(Public Relations Division) 회장을 역임했다. 2005년에는 커뮤니케이션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정부로부터 홍조근정훈장을 받았다. 저서로 《전략적 커뮤니케이션》(2015), 《마케팅 PR 전략과 사례》(2014), 《사내 커뮤니케이션》(2013), 《정책 PR》(2011), 《PR 전략론》(2000), 《피할 수 없는 PR》(1995)가 있다. 연구 논문으로 “마케팅 프로그램 전략 개발”(1996), “발전적 행정PR체계”(1999. 2012), “언론관계와 PR윤리” (1997, 2007), “해외홍보전략”((2000, 2004, 2008 & 2012), “개혁을 성공시키기 위한 PR 전략”(1998), “사내 커뮤니케이션 진단”(2003, 2011 & 2013), “사내 커뮤니케이션과 구성원 열의”(2015), “Perceived stigma of alcohol dependency: Comparative influence on patients and family members”(2015), “An Ego Network Analysis of How the Korean Media Covered the Announcement of China’s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 in November 2013”(2017) 등이 있다.
펼치기
신호창의 다른 책 >
김영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ㆍ미디어학부 교수이자 이화펠로우이다.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플로리다대학교에서 석사ㆍ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조교수, 하버드대학교 법과대학 협상연구소 풀브라이트교환교수, 벨기에 겐트대학교, 싱가포르 난양공과대학교, 태국 출라롱콘대학교, 스위스 루가노대학교 방문교수를 역임했다. 단독 저서로 『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위험 커뮤니케이션』, 『갈등 해소와 대체적 분쟁 해결』, 『위험불통사회』 등이 있다. 또한 『한국사회의 소통 위기』, 『디지털 시대 커뮤니케이션 정치경제학』 외 다수의 국내외 공저서 및 번역서가 있고, 200여 편 이상의 연구논문을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했다. 연구 관심 분야는 광범위한 위험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에 집중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디지털 미디어 맥락에서의 주목의 상품화, 디지털 감시, 디지털 프로모션 등에 대한 정치경제학 차원의 해석과 디지털 공유지 복원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현재는 한국언론학회 과학보건환경위험커뮤니케이션연구회장을 맡고 있다.
펼치기
조삼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교수다. 연세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한 후에 1989년 제일기획에 입사하여 8년간 근무하다가 1999년 미시건주립대학교에서 석사를 마치고, 2003년에 플로리다대학교에서 PR 전공으로 언론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텍사스공과대학교 교수, 한국PR학회 16대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The moral compass of public relations(공저, 2017), 연구논문으로 “대학내부 커뮤니케이션이 재학생의 만족도, 신뢰도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연구”(2017),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public relations in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papers”(공저, 2014), “정보원으로서의 광고주와 신문사의 관계성 연구”(공저, 2013), “Advertising as payment: Information transactions in the South Korean newspaper market”(2013), “Measurement validation of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2006) 등이 있다.
펼치기
이유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화여자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메릴랜드 대학교에서 언론학 석사, 커뮤니케이션학 박사를 받았다. 한국PR학회 제20대 회장, 한국외대 홍보실장, 국제교류처장, 정치행정언론대학원장을 지냈다. 구성원 커뮤니케이션, 정부-정책 PR, 국가브랜드, 공공외교 연구를 <광고학 연구> 등의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하였다. 공저로는 『디지털 시대의 PR학 신론』(학지사, 2021), 『100개의 키워드로 읽는 광고와 PR』(한울아카데미, 2017), 『디지털 사회와 PR 윤리』(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등이 있다. 이메일: yunna.rhee@gmail.com
펼치기
차희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석ㆍ박사학위를 받았다. 코콤포터노벨리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소장, 닐슨마케팅리서치 연구원으로 활동했으며, 미국 시라큐스대학교 초빙 학자를 지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ㆍ미디어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기업명성과 커뮤니케이션』(2018), 『빅데이터와 국가브랜드』(공저, 2022), 『PR커뮤니케이션과 명성』(공저, 2021), 『공중 관계 핸드북』(공저, 2017), 『한국형 공공외교 평가 모델』(공저, 2016) 등이 있다.
펼치기
문빛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디애나대학교 미디어스쿨 박사 수료/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이후 2012~2013년에 시라큐스대학교 뉴하우스공공커뮤니케이션학부(S.I Newhouse School of Public Communication)에서 방문학자로 활동했다. 또한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교수로 재직하였다. 공중의 커뮤니케이션 행동을 갈등·위기관리 혹은 조직 명성 관리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공중 관계 핸드북』(공저, 2017)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국의 공중 관계(Public Relations) 학문과 산업 분야는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전문가로서의 공중관계인의 위상도 향상되고 있다. 즉 언론에 보도 자료를 배포하는 ‘일방적·기술자적인 역할’에서 벗어나 조사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기획, 실행, 평가하는 ‘체계적·관리자적인 역할’로 그 기능과 역할이 진화하고 있다(Dozier, 1992). 이처럼 공중 관계 기능이 체계화·전문화되고 있는 반면, 고유하고 독특한 가치가 무엇인지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는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공중 관계를 다른 분야와 차별화해 줄 수 있는 개념들의 의미에 대해 해당 분야 전문가들이 합의를 이끌어 내지 못하면, 학문적·실무적 정체성을 명확하게 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공중 관계 분야가 그 고유하고 독특한 기능을 잃지 않으면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해당 분야에서 널리 통용되고 있는 기초 개념들을 규명하고, 이에 대한 이해를 공유할 수 있는 기반을 닦는 것이 필요하다.
-‘01 공중 관계의 토대 개념’ 중에서


2장은 공중 관계의 영역을 조직이 관계를 맺고 있는 공중 유형과 커뮤니케이션의 목적에 따라 분류해 설명한다. 앞서 공중은 ‘특정한 이슈에 대해서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참여하여 조직과 영향을 주고받는 개인이나 집단’으로 규정했으며, 이에 따른 공중의 관계를 사원 관계, 언론 관계, 뉴미디어 관계, 정부 관계, 시민단체 관계, 지역사회 관계, 투자자 관계로 구분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은 ‘조직과 공중이 언어적 혹은 비언어적인 행동과 실천을 포괄하는 메시지를 교환하여 정보를 전달하고 의미를 공유하여 상호 이해를 추구하는 과정’으로 규정된다. 이와 같은 커뮤니케이션이 지니는 다양한 목적에 따라 이슈 관리, 위기관리, 갈등 관리, 명성 관리, 헬스 커뮤니케이션, 공공 캠페인, 정치 캠페인, PI 관리,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공공 외교로 구분했다.
-‘02 공중 관계 분야’ 중에서


학문으로서 공중 관계는 선전(propaganda)과의 관련성을 없애고 사회적인 존재 의미를 확립하려는 노력 속에서 발전해 왔다. 조직과 공중의 상호 이해를 바탕으로 한 진정한 균형 커뮤니케이션을 지향하는 모델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공중관계4모델, 수정된 공중관계4모델, 우수이론(Excellence Theory), 균형이론(Symmetry Theory)이 등장했다. 이와 같은 노력은 조직?공중관계성이론(Organizational Public Relationship Theory)의 발전으로 이어지고 있다. 상황결정이론(Contingency Theory)처럼 조직을 옹호하는 불균형 모델의 필요성을 주장한 모델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주류 이론의 발전은 조직과 공중의 균형 발전, 상호 이해, 지속 가능한 우호적인 관계의 설정 및 유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03 공중 관계의 기본 이론’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