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미학/예술철학
· ISBN : 9788947283090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9-03-25
책 소개
목차
1장|어휘도감
1. 장단음, 평음/예사소리와 경음/된소리, 그리고 ‘ㅔ와 ㅐ’에 의해 분화되는 어휘도감 · 16
2. 영어 · 18
3. 일본어 · 20
4. 국어의 장단음/동형이의어(同形異義語)/동형이음어(同形異音語) · 22
5. 동음이의어(同音異義語) · 60
6. ㅔ/ㅖ와 ㅐ에 의해 분화되는 어휘도감 · 62
7. 예사소리와 된소리에 의해 분화되는 어휘도감 · 70
2장|쌍둥이 말
1. 한국어 발음의 장단음 규범은 황금률이다. · 80
2. 동형이의어(同形異義語) / 동형이음어(同形異音語) / 쌍둥이말(약 700쌍) · 84
3장|올바른 우리말
1. 서문 · 118
2. 무더위와 늦더위 · 119
3. 주인공과 장본인 · 120
4. 혼동과 혼돈 · 121
5. 광ː주(廣州)와 광주(光州) · 122
6. 년 차 · 123
7. 바랍니다 / 바라겠습니다 · 124
8. 재ː수(再修) / 재수(運) · 125
9. 이 / 이빨 · 126
10. 우리나라 / 저희 나라 · 127
11. 다르다 / 틀리다 · 128
12. 시간(時間)과 시각(時刻) · 129
13. 성ː의 장단음 정ː(鄭/丁), 변ː(卞/籩), 유(柳ː), 유(劉/兪), 조(趙ː/曹/曺) · 130
14. 강추위 · 131
15. 삼가다 / 삼가하다, 개다 / 개이다 · 132
16. 세ː집 / 새ː집 / 새집 · 133
17. 곤색과 감색, 진청색, 진남색 · 134
18. 외래어의 표기와 발음 · 135
19. 오ː뉴월과 5월 또는 6월 · 136
20. 감사해요 / 감사합니다 · 137
21. 산세(山勢) / 산새 [쌔] / 산ː새 · 138
22. 내로라와 내노라 · 139
23. 우리말인줄 알고 쓰는 일본말 · 140
24. 모사(模寫)와 묘사(描寫) · 141
25. 문과[과]와 문과[꽈] / 불법[법]과 불법[뻡] · 142
26. 연음(連音) 꽃을[꼬츨] / 흙을[흘글] · 143
27. ‘의’의 세 가지 발음 [의/이/에] · 144
28. 치과 / 내과 / 외과 / 초점 / 허점의 발음 · 145
29. 복수 표준어 넝쿨 / 덩굴 · 146
30. 납량(納凉)[냐방]이냐 [남냥]이냐 · 147
31. 알맹이 / 알갱이, 조개 / 조가비, 홀몸 / 홑몸 · 148
32. -관용구- 안절부절 못하다 · 149
33. 불법(不法) / 잠자리 · 150
34. 부인(夫人)과 안사[싸]람 · 151
35. 댓ː글 / 답글 / 덧글 · 152
36. 갈치잠 / 새우잠 / 말뚝잠 / 나비잠 · 153
37. 한참 / 한창 · 154
38. 김치소 / 김치속, 송편소 / 송편속, 만두소 / 만두속 · 155
39. 상품(商品)과 상ː품(上品) · 156
40. 공권력[공꿘녁]인가 [공꿜력]인가? · 157
41. 문외한 / 무뢰한 · 158
42. 일체와 일절 · 159
43. 오뚝이와 오뚜기 · 160
44. 금기어 ‘꼬마’ · 161
45. 단도리 · 162
46. 표지(標識)와 표식(標識) · 163
47. 막역(莫逆) / 막연(漠然)하다 · 164
48. 말, 언어는 제2의 얼굴 · 165
4장|발음 이야기
1. 하늘, 땅, 물리(物理) / [차미슬], [나뱡], [물리] 문리(文理) · 168
2. 사람이 말을 만들고 말은 사람을 만든다. · 170
3. 장음(長音)[장음]은 단음(短音)이요, 단음(短音)[다ː늠]은 장음(長音)이다 · 172
4. 이 도령·춘향의 말씨, 방자·향단의 말투 · 174
5. 소(牛)나 타는 차 ‘소나타’ 사람이 타는 차 ‘쏘나타’ · 176
6. 아나운서(言語運師) · 180
7. 훈민정음과 한글은 다르다 · 182
8. 요즈음도 아나운서는 표준발음을 지킵니다. · 184
9. 어머니 ‘개모임’에 나가셨습니다. · 187
10. 예사소리와 된소리 : 연음법칙과 절음법칙 · 189
11. Ⅰ. 漢字는 이미 韓國化된 韓字이다 · 192
12. Ⅱ. 漢字는 이미 韓國化된 韓字이다 · 194
13. 아나운싱의 미학과 서예 · 197
14. 동화同化작용(assimilation) · 202
15. 뉴스를 말씀드리죠 / 드리겠어요 · 205
16. 수사數詞[수ː사] / 수ː관형사 · 208
17. 장단음은 한국어 발음의 황금률 · 211
18. 부사副詞는 언어의 조미료이다 · 214
19. 받침의 발음 / 말음(末音)법칙 · 217
20. 한국어의 억양과 악센트 · 219
21. 한국어의 발음 장애성(障碍性) 어휘 · 224
22. 국어의 읽기와 말하기의 이상(理想) · 231
23. 발음 교육 부재(不在)의 원인과 이에 따른 문제점 · 239
24. 장단음의 원류(源流)와 오늘날의 음운형성 과정 · 254
글을 마치며 드리는 말씀 · 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