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47526784
· 쪽수 : 820쪽
· 출판일 : 2008-07-25
책 소개
목차
서론
노벨 명예의 전당 / 노벨상 영웅주의 / 노벨상의 부름에 응하기 / 노벨상 철저히 활용하기 / 불투명한 미래
1장 노벨상의 설립자
백만장자가 된 발명가 / 방랑 기질이 강하고 외고집이던 백만장자 / 유언 / ‘전문가’로서의 수상자들
2장 노벨상, 스스로를 창조하다
노벨 협회 / 권총과 교섭
3장 노벨 문학상
노벨 문학상 박물관 / 노년의 연금이 된 상 / 노벨상이 비판자들에게 답변하다 / 보이그로서의 노벨 위원회 / 이상주의의 족쇄 / 근대주의와 거리를 두다 / 안팎의 정치적 압력 / 노벨상, 스탈린상, ‘히틀러상’ / 노벨상, 시인은 드물고 희곡작가는 더욱 드물다 ...... 외
4장 노벨상 과학 분야
과학적 갈망과 영광 / 과학 분야의 노벨상 수상 방법에 대한 주의사항
5장 노벨 물리학상
‘물리학’ / 사전 답사 / 물리학자들 : 개와 고양이 사이 / `제1세대 : 1901~25 / 제2세대 : 1925~50 / 2세대의 주요 인물 / 새로운 양자 이론이 탄생하다 / 제3세대와 제4세대 : 1950년부터 현재까지 / 오래 전에 해결한 문제, 새로 해결한 문제 ...... 외
6장 노벨 화학상
가치로움과 멍청함, 혼란과 집중, 이율배반의 원리 / 노벨 화학상의 시작 / 노벨 화학상 : 1901~15, 1918~45 / 양자화학 : 위대한 개혁의 무대 뒤 ...... 외
7장 노벨 생리의학상
생리학 / 1901~50년의 노벨 의학상 / 생화학 조상 / 무대 위에 선 DNA와 이중나선구조 / DNA와 노벨상의 관계는 계속되다 / ATP / DNA에서부터 RNA, tRNA, mRNA까지 / 면역학 돌아오다 / 프리온 / 바이러스와 암 / 인슐린은 누가 발견했는가? / 스트렙토마이신을 발견하지 못한 데 대하여 주어진 노벨상 ...... 외
8장 노벨 평화상
평화의 약속 / 1914년까지의 평화상 / 1914년 이전의 수상자 / 세계대전과 변질된 평화 / 국제연맹과 ‘국제적 키스’ / 국제연맹의 오름세와 내림세 / 1930년대 노벨 평화상 / 제2차 세계대전에서 현재까지 / 국제연합 / 중재의 명수를 위한 노벨 평화상 / 노벨 평화상, 평화적인 개혁을 위한 상인가, 폭력적인 혁명을 위한 상인가? / 사라진 이름, 간디 / 홀로코스트 / 여성 수상자
9장 노벨 기념 경제학상
노벨의 두 가지 정설 / 신케인스주의 / 노벨상 수상자 부류 / 역사, 생활, 기타 모든 것에 대한 열쇠로서의 계량경제학...... 외
결론
노벨상 연대표 / 부록 A : 노벨상 상금 / 부록 B : 국가별 수상자 / 부록 C : 여성 수상자 / 부록 D : 가족 수상자 / 부록 E : 유대인 노벨상 수상자
책속에서
그 무렵 마리는 과부였다. 피에르가 1906년 사고로 죽었던 것이다. 마리는 저명한 프랑스 물리학자인 랑주뱅과 관계를 맺었고, 랑주뱅의 아내는 몹시 화를 내며 질투했다. 일부 파리 신문들은 두 사람의 관계에 대하여 요란하게 떠들어댔고, 그 아내가 비판하는 말들을 1면에 실어댔다. 두 사람의 연서가 도난당했고 랑주뱅은 기자에게 결투를 신청했으며, 그의 아내는 마리를 죽이겠다고 위협했다. 스캔들 때문에 마리의 두 번째 노벨상이 날아가버릴 수도 있었다. 그러나 다른 신문들은 그처럼 센세이션을 퍼뜨리느라 정신없는 신문을 비판했고, 랑주뱅은 아내와 화해했으며, 마리의 스캔들 위세는 차츰 수그러들었다. 마리는 위엄 있게 침묵을 지켰고, 조용히 스톡홀름을 빠져나가 두 번째 노벨상을 받았다.
― 26p. 서론 중에서
노벨심사위원들은 시의 번역판에 크게 의존해서 읽기 때문에 소수파 유럽언어의 경우에는 그만큼 불리하다. 비유럽권 언어가 아닌 경우는 한층 더하다. 만일 폴란드 시인인 심보르스카의 시를 독일어 번역판이나 스웨덴 번역판으로 읽을 수 없었다면, 심보르스카가 노벨상을 받을 수 있었겠는가? 노벨심사위원들은 비서구권 시인으로서 일찌감치 노벨상 수상자 목록에 이름을 올린 사례를 들기 위해 타고르(1913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를 자주 언급한다. 타고르는 원래는 벵골어로 작품을 썼으나 노벨상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은《기탄잘리》(‘신에게 바치는 송가’라는 뜻)의 영역판 때문이었다.
― 175p. 3장_노벨문학상―노벨상, 시인은 드물고 희곡작가는 더욱 드물다 중에서
아인슈타인은 동맥류로 사망하였다. 그는 수술제의를 거절했다.
“목숨을 인공적으로 연장시키는 것은 의미가 없다. 나는 내 몫을 다했고 이제 갈 시간이다. 나는 품위 있게 죽고 싶다.”
며칠 후에 그는 숨을 거두었다. 그러나 이후부터는 품위 있게 진행되지 않았다. 그의 몸은 화장했으나, 뇌는 포름알데히드에 넣어져 병리학자들에게 전달되었다. 병리학자들은 ‘천재’가 물리적으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알고자 했다. 아인슈타인의 뇌 무게는 실망스럽게도 평균치에 지나지 않는 2.6파운드였다. 수년 동안 아인슈타인의 뇌를 수백 층으로 얇게 잘랐으나, 연구자들은 결국 아무것도 발견하지 못한 채 그 해부는 1980년대 캔자스 주에서 막을 내렸다.
― 280p. 5장_노벨물리학상―아인슈타인의 노벨상 수상기(상대성 이론덕분에 노벨상을 받은 것은 아니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