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씨책] 젠더, 인종, 계급, 권력이 교차하는 페미니스트 교실](/img_thumb2/9791128891120.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28891120
· 쪽수 : 540쪽
· 출판일 : 2021-12-31
책 소개
목차
서문
역자 서문
1장 다시 한 번 환상을 깨기
연구의 시작과 전개
연구 방법의 진화
백인성이라는 기준은 교실에서 어떻게 지식을 형성해 가는가?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천진난만한 성공담인가, 지식의 사회적 구성을 인식하라는 촉구의 소리인가?
결코 사라지지 않는 이분법
네 가지 주요 테마
2장 만화경 만들기: 여섯 학교의 초상화
애리조나대학교: 학문과 교육과정에서 여성의 자리를 확보한 학교
토슨주립대학교: 교육과정 변형하기, 주변부에서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만들기
루이스앤드클라크대학교: 남녀공학과 인종 다양성 다시 생각하기
휘턴대학교: 여성과 남성에게 ‘성평등한’ 환경 만들기
스펠먼대학교: 흑인 여성의 입장에 서서 반대 항의 지식 생산하기
샌프란시스코주립대학교: 유색인종 여성의 관점에서 여성학 보기
3장 숙련
페미니스트 시각에서 학문 재구성하기
간학문적이며 페미니스트적인 해석
학술 지식의 경계 확장하기
해석으로서 숙련: 결론
4장 목소리
목소리와 개인적 발달: 여학생 사례
남성의 성 정체성: 남학생 사례
침묵 깨기
인종과 젠더, 여학생과 남학생 사이의 긴장
섹슈얼리티와 교실
의사소통, 폭로, 침묵
성적 의사소통에 대한 공개 담론
5장 권위
학생들을 학문적 권위자 위치에 놓기
가부장적 권위에 도전하기
내러티브 권위와 텍스트
교수의 권위에 공공연하게 도전하기
서로에게 권위자가 되어 주기
6장 위치성
타자 이미지: 차이 다루기
미국 사회의 풍경: 계급의 역할
다중적인 위치에 서서 지식 구성하기
7장 위치성 페다고지를 향하여
위치성 페다고지의 몇 가지 광경
학문 영역의 인식론, 학술 기관의 인식론
사회 구조, 그리고 학교의 인종 분리
8장 어둠 속에서 배우기
사회 계급으로서 백인, 그리고 남성
개인화된 기준으로 백인성 구성하기
백인성, 섹슈얼리티, 여성성
백인성과 지적 지배에 대한 저항
지적 지배에 저항하기: 백인 저자와 흑인 독자
결론
9장 과거를 돌아보며, 미래를 내다보며
해석할 권위를 확대하기
다중적 정체성 대면하기
대학 차원의 현상 유지와 변화
고등교육의 현재와 새로운 세대의 페미니스트
미주
참고 문헌
찾아보기
책속에서
우리 연구의 핵심은 모든 여성, 유색인종 남성, 그 밖에 이제까지 학계가 간과하거나 하찮게 여겼던 모든 부류의 사람들의 역사, 경험, 열망 등을 연구함으로써 어떻게 페미니스트 교수자들과 페미니스트 학생들이 되고자 하는 “뭔가 다른 존재”가 만들어지는지 밝혀내는 일이었다. 이 책에서 우리가 몰두했던 작업은 그런 사람들의 관점이 밖으로 드러나도록 이끌어 내는 것, 또 그런 관점이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지식의 사회적 구성에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 밝히는 것이었다.
애리조나대학교 정년 보장 교수의 90퍼센트 이상이 남성이었고, 남자 교수들은 “‘능력주의(meritocracy)’의 후견인이자 수혜자라는 지위”를 누리면서 교육과정 개발이나 지식 구성 요소에 대한 합의 과정에서 막대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여성의 지식이 해석의 세계로 들어갈 때 무슨 일이 벌어지는가? 페미니스트의 교실은 여성의 삶에서 나온 새로운 통찰력을 풍부하게 해 준다. 우리는 첫째로 페미니스트 교수자들이 연구 주제와 테마의 범위를 확장하고 전통적인 자료도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보는 방법을 택함으로써 학문적 지식의 정의를 바꿔놓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둘째로는 전문성이 새롭게 분배되고 권위의 원천이 확장되는 것을 보았다. 지식은 오로지 학술적 훈련을 받은 사람들, 전문가, 교수자들에 의해서만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학생을 비롯해 모든 사회 구성원에 의해서도 만들어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