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큰글씨책] 젠더, 인종, 계급, 권력이 교차하는 페미니스트 교실

[큰글씨책] 젠더, 인종, 계급, 권력이 교차하는 페미니스트 교실

프랜시스 마허, 메리 테트로 (지은이), 전제아 (옮긴이)
학이시습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000원 -0% 0원
1,050원
33,9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큰글씨책] 젠더, 인종, 계급, 권력이 교차하는 페미니스트 교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씨책] 젠더, 인종, 계급, 권력이 교차하는 페미니스트 교실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28891120
· 쪽수 : 540쪽
· 출판일 : 2021-12-31

책 소개

페미니즘이라는 이름으로 교실 현장에서 새로운 방식으로, 새로운 형태의 지식을 만들어 내는 이들의 모습은 어떠한가? 페미니스트 교실, 즉 페미니스트 페다고지의 실천 현장을 조명한다.

목차

서문
역자 서문

1장 다시 한 번 환상을 깨기
연구의 시작과 전개
연구 방법의 진화
백인성이라는 기준은 교실에서 어떻게 지식을 형성해 가는가?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천진난만한 성공담인가, 지식의 사회적 구성을 인식하라는 촉구의 소리인가?
결코 사라지지 않는 이분법
네 가지 주요 테마

2장 만화경 만들기: 여섯 학교의 초상화
애리조나대학교: 학문과 교육과정에서 여성의 자리를 확보한 학교
토슨주립대학교: 교육과정 변형하기, 주변부에서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만들기
루이스앤드클라크대학교: 남녀공학과 인종 다양성 다시 생각하기
휘턴대학교: 여성과 남성에게 ‘성평등한’ 환경 만들기
스펠먼대학교: 흑인 여성의 입장에 서서 반대 항의 지식 생산하기
샌프란시스코주립대학교: 유색인종 여성의 관점에서 여성학 보기

3장 숙련
페미니스트 시각에서 학문 재구성하기
간학문적이며 페미니스트적인 해석
학술 지식의 경계 확장하기
해석으로서 숙련: 결론

4장 목소리
목소리와 개인적 발달: 여학생 사례
남성의 성 정체성: 남학생 사례
침묵 깨기
인종과 젠더, 여학생과 남학생 사이의 긴장
섹슈얼리티와 교실
의사소통, 폭로, 침묵
성적 의사소통에 대한 공개 담론

5장 권위
학생들을 학문적 권위자 위치에 놓기
가부장적 권위에 도전하기
내러티브 권위와 텍스트
교수의 권위에 공공연하게 도전하기
서로에게 권위자가 되어 주기

6장 위치성
타자 이미지: 차이 다루기
미국 사회의 풍경: 계급의 역할
다중적인 위치에 서서 지식 구성하기

7장 위치성 페다고지를 향하여
위치성 페다고지의 몇 가지 광경
학문 영역의 인식론, 학술 기관의 인식론
사회 구조, 그리고 학교의 인종 분리

8장 어둠 속에서 배우기
사회 계급으로서 백인, 그리고 남성
개인화된 기준으로 백인성 구성하기
백인성, 섹슈얼리티, 여성성
백인성과 지적 지배에 대한 저항
지적 지배에 저항하기: 백인 저자와 흑인 독자
결론

9장 과거를 돌아보며, 미래를 내다보며
해석할 권위를 확대하기
다중적 정체성 대면하기
대학 차원의 현상 유지와 변화
고등교육의 현재와 새로운 세대의 페미니스트

미주
참고 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프랜시스 마허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휘턴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다. 가르치고 배우는 교육 현장을 페미니스트 관점에서 바라보는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연구와 실천에 집중해 왔다. 『학술 세계에서 권력과 다양성(Privilege and diversity in the acaᐨdemy)』, 『젠더, 그리고 가르치는 일(Gender and teaching)』의 공저자이자, ≪여성학회지(Women’s Studies Quarterly)≫의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특집호 편집위원이며, 대학 내에서 여성학을 다양한 여러 개론 과목과 통합하는 성평등 교육과정 프로젝트의 기획자이기도 하다.
펼치기
메리 테트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루이스앤드클라크대학교,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교수직을 거쳐 포틀랜드주립대학교 학장을 지냈다. 명예교수로 은퇴하기까지 다양한 성격의 미국 대학에서 겪은 여성학자로서의 경험을 세밀하게 분석한 책 『모든 것이 달라지는 세상에서 살아가기: 학문 세계에서 내 삶(Living when everything changed: My life in academia)』으로 주목받았다. 첫 번째 저서 『미국의 여성들: 역사의 절반(Women in America: Half of history)』, 마허와 함께 집필한 『학술 세계에서 권력과 다양성』, 『젠더, 그리고 가르치는 일』을 통해 교육과 연구 현장에 대한 페미니스트 통찰력을 발휘했다.
펼치기
전제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교육철학 전공으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스탠퍼드대학교에서 교육정책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교육에서의 정의(正義)를 주제로 연구하는 학자이자, 이화여자대학교·상명대학교·가톨릭대학교에서 교육철학과 평생교육을 가르치는 교수자이자, 『모방사회』(2015)·『대학 혁신, 마케팅으로 승부하라』(2007)·『비폭력』(2007), 『자유로운 어린이: 서머힐 교육』(1998) 등의 번역자다.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 연구의 핵심은 모든 여성, 유색인종 남성, 그 밖에 이제까지 학계가 간과하거나 하찮게 여겼던 모든 부류의 사람들의 역사, 경험, 열망 등을 연구함으로써 어떻게 페미니스트 교수자들과 페미니스트 학생들이 되고자 하는 “뭔가 다른 존재”가 만들어지는지 밝혀내는 일이었다. 이 책에서 우리가 몰두했던 작업은 그런 사람들의 관점이 밖으로 드러나도록 이끌어 내는 것, 또 그런 관점이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지식의 사회적 구성에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 밝히는 것이었다.


애리조나대학교 정년 보장 교수의 90퍼센트 이상이 남성이었고, 남자 교수들은 “‘능력주의(meritocracy)’의 후견인이자 수혜자라는 지위”를 누리면서 교육과정 개발이나 지식 구성 요소에 대한 합의 과정에서 막대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여성의 지식이 해석의 세계로 들어갈 때 무슨 일이 벌어지는가? 페미니스트의 교실은 여성의 삶에서 나온 새로운 통찰력을 풍부하게 해 준다. 우리는 첫째로 페미니스트 교수자들이 연구 주제와 테마의 범위를 확장하고 전통적인 자료도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보는 방법을 택함으로써 학문적 지식의 정의를 바꿔놓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둘째로는 전문성이 새롭게 분배되고 권위의 원천이 확장되는 것을 보았다. 지식은 오로지 학술적 훈련을 받은 사람들, 전문가, 교수자들에 의해서만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학생을 비롯해 모든 사회 구성원에 의해서도 만들어질 수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