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47527774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10-11-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PART I_IT/자동차
01 이동통신: ‘한 대 더’의 욕구를 자극해야 시장이 보인다
휴대폰: 이동 가능한 ‘전화기’/휴대폰은 ‘여전히’ 전화기/통신사 이미지의 소멸/기존 휴대폰 구매 때는 없던 선택 요인/‘전화기’와 ‘컴퓨터’의 역할 분화/스마트폰: 통화 기능이 있는 컴퓨터/스마트폰, 무엇을 바꿨나?
02 휴대용 디지털 기기: 기능만 많다고 잘 팔릴까?
‘多’ 되는 휴대전화, 과연 다 쓰나?/‘많은’ 기능과 ‘핵심’ 기능, 어느 쪽이 이길까?/‘넷북’ 활용의 역설/그래도 어쨌든 마음에는 든다?/가장 큰 피해를 보게 될 제품은 전자책 단말기?/아이패드와 전자책 단말기의 동상이몽/럭비공 같은 소비자의 마음, 어디로 향할까?
03 SNS: SNS가 마케팅 도구가 되려면?
소비자들은 SNS를 무엇이라고 생각할까?/왜 소비자들은 인터넷 카페로 갔을까?/우리나라 사람들은 ‘친목’만 도모한다?/‘홍보’와 ‘소통’, 비슷하면서도 다른 뜻/‘관계’가 SNS의 역할을 규정한다/트위터 성공의 열쇠는 스마트폰이 쥐고 있다/‘관심’을 바라거나 ‘감시’를 당하거나
04 경차와 에코차: 저렴하면서 폼도 나고, 게다가 그린 에너지
경차와 에코차, 왜 떴나?/경차와 에코차 선호의 배경에는 이런 일이/경제적 부담이 친환경으로 옮아간 사연
PART II_미디어/여가생활
01 미디어: 소비자가 선호하는 미디어를 알면 광고가 보인다
IPTV, 소비자의 시간 통제권을 돌려주다/소비자는 현재 상황과 비슷한 광고만 기억한다/광고는 어디에 싣는 게 좋을까?: 6개 매체의 영향력 평가/정말 시간을 낼 수 있을까?: ‘나중에 보기’라는 통제의 착각/미디어 산업은 ‘24시간’이라는 굴레를 벗어날 수 없다/엄청난 잠재력이 숨겨진 미디어: 스마트폰/지하철, 미디어가 되다
02 스포츠: ‘보고’·‘하는’ 스포츠 시장을 다 잡는 방법
경기장을 찾는 사람들/스포츠에 대한 높아진 관심: 과연 어떤 운동을 주로 할까?/스포츠 인구 증가를 이끈 요인들/스포츠 활동 방향과 용품 사용 실태
03 여가생활: 직장인들의 여가생활이 괴로운 이유
영화를 느끼다: 영화관에서 체험관으로/영화, 어떤 매체로 볼까?/영화관람은 얼마나 자주 할까?/놀이공원에서의 체험은 개인이 선택할 수 없다?/‘가족 동반’이 여가활동 범위를 제한/생각보다 가족은 ‘애틋’하지 않다/여름휴가, 안 가도 그만?/TV 시청이 여가활동이 되는 이유
PART III_건강/라이프스타일
01 건강관리: 건강도 편리하게 챙기고 싶은 소비자의 마음
‘식사’는 ‘밥’ 아닌 다른 걸까?/주식을 넘보는 라면의 한계/뚱뚱한 사람이 싫다: 다이어트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장 직관적인 다이어트: ‘식사량’ 줄이기 = ‘밥’ 줄이기/패스트푸드에서 배운다: 간편성과 시간절약/유기농에 대한 소비자 관심의 허상: 무늬만 유기농이어도 된다/건강도 편리하게 챙긴다: 경제적·심리적 비용을 최소화/제대로 실천하기 너무 어려운 건강관리
02 뷰티: 아름다움을 향한 욕망에 비례하는 시장
외모관리, 어떻게 얼마나 하고 있을까?/다이어트와 몸매관리는 모두의 관심사/남성에게도 커다란 관심사인 외모관리/외모관리 열풍, 그 원인은?/뷰티 시장, 어떻게 접근하나?
03 커피: 한잔의 여유에 거금을 마다않는 까닭
커피의 시대: 커피의 이미지 제고 효과/정작 커피 맛은 덜 중요?: ‘맛’보다 ‘접근성’/커피는 ‘대화’를 위한 매개체?/커피의 동상이몽: 믹스커피와 커피전문점 커피의 효용 차이/커피의 종류는 ‘상황’이 결정한다: ‘관계의 종류’에 따른 커피의 선택/커피전문점의 증가는 관계 욕구 증가의 반영이다
PART IV_학습/투자
01 샐러던트: 공부하는 직장인들에게 무엇을 팔까?
공부하는 직장인들 과연 얼마나 될까?/오직 영어공부만?/높은 업무 성과가 가장 든든한 ‘빽’이다/이러닝과 디지털 디바이스
02 자녀교육: 불황도 대한민국 엄마를 이길 수 없다
대한민국에서 교육이 의미하는 것/대한민국 자녀교육의 현주소/학습지 시장이 정체된 까닭은?/변화하는 자녀교육 트렌드/새로운 바람이 새로운 시장을 만든다
03 자산관리: 소비자들이 바라는 진짜 자산관리
합리적 지출의 출발: 가계부 사용 실태/전 국민의 결제 수단: 신용카드 사용 실태/살다 보면 돈이 필요한 법: 대출 현황 및 실태/저축의 새로운 틈새: 저축은행 이용 실태/애증이 교차하는 투자상품: 펀드투자 실태
04 베이비부머: 700만, 사상 초유의 소비집단이 온다
베이비부머, 은퇴를 말하다/은퇴 이후 가장 걱정되는 것은?/은퇴 이후 관심 있는 분야/자산관리, 제대로 되고 있나?/은퇴 이후 수입 창출 방식/노후를 위해 베이비부머가 바라고 있는 상품/베이비부머를 위한 대한민국의 노력은?
PART V_소비/행복
01 유통 채널: 소비자들은 왜 ‘거기’에서 구매할까?
가장 많이 찾는 유통 채널은?/편의점에서도 먹는다. 언제?/재래시장의 살 길은 ‘체험성’의 확대/TV홈쇼핑, 이래서 좋고 나쁘다/소비자들은 유통 채널을 선택할 때 무엇을 중요하게 여기나?/인터넷 쇼핑몰의 경쟁력 분석/똑똑해진 소비자, 피곤해진 유통 채널
02 착한 소비: ‘착한 소비자’가 기업에 득이 될까?
공정무역 개념의 미세한 변화: ‘국가’에서 ‘개인’ 단위로/선의를 구매한다?/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은 홍보 수단?/소비자가 바보인가?: 자동차 리콜에 대한 소비자들의 2가지 태도/‘올바름’도 시대에 따라 변한다/대한민국 기부문화의 현주소는? 기부는 적선이 아니다/‘착한 소비자’ 증가의 역설: 공정성과 투명성의 확대
03 행복한 소비: 소비자는 행복을 위해 기꺼이 지갑을 연다
글루미 코리아: 대한민국이 우울하다/소비자는 행복을 위해 무엇을 하고 있나?/착한 소비의 증가: 행복을 위한 소비 활동/행복도 사고 싶은 소비자 심리
맺음말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