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88947540964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6-05-09
책 소개
목차
추천사 _ 인간의 삶을 인간답게 만들어줄 스마트한 미래가 온다
이 책을 읽기 전에 _ 인류의 역사는 혁신의 역사다
제1장 메가 트렌드, 곧 다가올 변화의 물결
01. 혁신은 거부할 수 없는 흐름이다
02. 비물질적 가치의 대두
03.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소통
04. 무형재의 번성
05. 혁신적 경영관행의 범용화
06. 넓어지는 혁신의 폭
07. 빅데이터 시대의 도래
08. 지속적 경쟁우위의 종말
제2장 혁신, 새로운 가치를 향한 창조의 흐름
01. 혁신이란 무엇인가
02. 혁신과 발명은 다르다
03. 혁신의 분류
04. 혁신은 어떻게 진화하는가
제3장 혁신생태계, 공동의 가치를 추구하는 가치사슬의 변화
01. 경쟁주체가 달라졌다
02. 혁신생태계란 무엇인가
제4장 공동혁신, 협력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라
01. 공동혁신이란 무엇인가
02. 새로운 리더십이 필요하다
03. 시대가 원하는 가치가 달라졌다
04. 공동혁신생태계의 구조
제5장 컨버전스, 사물의 융합으로 시너지를 일으켜라
01. 컨버전스와 융합은 다르다
02. 시대는 컨버전스를 원한다
03. 컨버전스란 무엇인가
04. 컨버전스의 유형
제6장 디자인 사고, 감정이입을 통한 인간 중심의 접근법
01. 소비자의 욕구를 찾아내는 디자인 사고
02. 멋진 세상을 추구한다
03. 문제를 정의하라
04. 공공기관에도 필요한 디자인 사고
05. 디자인 사고와 공동혁신의 관계
제7장 기업가정신, 위험을 감수하고 새롭게 도전하라
01. 기업가정신이란 무엇인가
02. 기업가 성향
03. 기업가정신과 혁신의 관계
제8장 스마트하게 미래를 혁신하라
01. 스마트한 미래를 예측하라
02. 혁신으로 만들어낼 스마트한 미래
리뷰
책속에서
혁신생태계는 범위와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는데 로사베스 칸터는 중심축에 따라 혁신생태계를 아래와 같이 3가지로 분류했다.
첫째, 아이디어 중심 생태계다. 텍사스 주의 오스틴, 캘리포니아 주의 실리콘밸리, 매사추세츠 주의 보스턴 지역 등과 같이 기업들이 새로운 아이디어에 이끌려간 경우다. 좋은 아이디어가 값진 시대이기 때문이다.
둘째, 제조자 생태계다. 사우스캐롤라이나의 스파텐버그 그린스빌의 경우처럼 섬유설비의 제조나 자동차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생태계가 형성된 경우다. 최근 이 지역은 자동차 타이어 생산을 주도하고 있다.
셋째, 거래자 생태계다. 플로리다 주의 마이애미 등과 같이 물류와 금융 산업을 중심으로 생태계가 형성된 경우다. 이 3가지 모두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중요한 점은 생태계 주도자들이 지역 고유의 테마를 만들고 많은 기업들이 그 주제를 뒷받침하려 노력했다는 것이다.
이 책의 주제이기도 한 공동혁신의 목표는 고객, 공급업자, 구매업자, 정부, 협력업체, 지역사회, 시민 등을 아우르는 폭넓고 다양한 이해당사자 간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협력을 통한 가치창출’을 수행할 수 있는 기업 능력을 의미하는 공동혁신 역량이 중요하다. 그리고 공동혁신 역량의 핵심은 이해당사자들 간의 긴밀한 협력에 기반한 혁신을 의미하는 협력적 혁신이다. 최근에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사회적 자본, 공유가치창출도 비슷한 맥락에서 설명할 수 있다.
협력적 혁신은 ① 구성원들이 지식을 공유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② 새로운 아이디어들을 제품화하는 과정에서핵심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어떻게 하면 공동혁신 역량을 개발하여 이해당사자들이 함께 몰입할 수 있는 공동의 목표를 세우고 목표 달성을 위해 협력할 수 있게 하느냐가 중요하다.
공동혁신이 대두한 이유는 ① 힘으로 상징되는 리더십의 창출방식과 ② 제품과 서비스의 가치를 만들어내는 방식에서 근본적으로 패러다임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가치생태계의 등장 배경은 ① 고객들이 표준화된 제품이나 서비스보다는 복합적이고 통합된 해법을 원하며 ② IT의 범용화로 인하여 중요한 지식들이 과거와 같이 몇몇 조직에 의해 독점되지 않고 전 세계에 걸쳐 고르게 퍼져 있으며 ③ 급변하는 경영환경은 효율성에 초점을 두고 수직적으로 통합된 과거의 조직 간 협력 형태보다는 좀더 유연하고 신속하게 협력의 형태가 상황에 맞게 재조정될 수 있는 시스템을 요구하고 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즉 과거의 단일산업 내의 순차적 활동의 분석과 향상에 초점을 두었던 가치사슬 중심의 접근으로는 더 이상 고객의 요구를 충분히 충족시킬 수 없게 된 것이다.
가치생태계는 다양한 조직이나 개인들이 생태계에 참여하여 공동의 가치를 함께 정의하고 이루어나가면서 새로운 가치나 효율성을 함께 창출해나가는 조직 간 관계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