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88947543125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8-02-12
책 소개
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 불편한 이웃 중국, 한국은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서문 - 앞으로 10년, 중국의 미래에 주목하라
제1장. 전환점에 선 대륙
제2장. 덫에 걸린 중국 경제
제3장. 중국 사회가 직면한 도전들
제4장. 더 강력해지는 시진핑 체제
제5장. 중국의 미래가 세계에 미치는 영향
미주
감사의 글
리뷰
책속에서
서울이 중국의 사드 제재를 보고 베이징을 믿을 수 없는 이웃 국가이자 파트너라고 결론을 내리지 않는다면, 한중 관계는 두텁고 앞으로 더 돈독해질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 정부가 중국과의 관계를 약화하기로 결정할지라도(그리고 중국에 대한 한국 여론이 아무리 부정적이고 비판적이더라도), 중국은 여전히 한국의 미래에 중요한 존재가 될 것이다. 경제나 기술 분야뿐만 아니라 군사?전략, 외교, 문화 영역까지 그럴 것이다. 따라서 한국인은 중국이 앞으로 어디로 나아갈지, 미래 발전에 영향을 끼칠 주된 요인들은 무엇인지, 그리고 앞으로 10년 동안 중국이 어떤 시나리오로 진화해갈지 등을 잘 파악해야 한다. _<한국의 독자들에게> 중에서
중국 지도자들조차도 중국이 심각한 도전에 직면했으며 일련의 전환점에 이르렀음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중국의 미래는 로터리에 도착한 자동차처럼 운전자가 몇 갈래 선택의 갈림길에 서 있다. 이 책에서는 기본적으로 4가지 선택이 있음을 설명하고자 한다. 나는 그 선택들에 각각 신(新)전체주의(Neo-Totalitarianism), 경성 권위주의(Hard Authoritarianism), 연성 권위주의(Soft Authoritarianism), 준(準)민주주(Semi-Democracy)의라는 이름을 붙였다. 모든 운전자들과 마찬가지로 중국은 도로 설비가 끝난 로터리에 도달한다. 나는 현재 중국이 서 있는 길을 경성 권위주의라고 특징짓고자 한다. 중국의 지도자들과 자동차 운전자는 이 길을 이미 선택했고 직진해 나갈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선택 사항으로 확실히 가장 쉬운 선택이다. 하지만 다음 장에서 설명한 이유들을 보면 최선의 선택이라고는 할 수 없다. _<전환점에 선 대륙> 중에서
현재 중국의 경제는 성장률이 하락하는 한편 경제 전반에 걸친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다. 이 추세는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날 뿐만 아니라 앞으로 10년 또는 그 이상 장기간에 걸쳐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문제는 새로운 균형점을 찾기 전까지 GDP 성장률이 얼마나 떨어질지, 그리고 중국이 필요한 구조조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다시 한 번 장기간 동안 역동적 성장을 이뤄내고 선진국으로 우뚝 발돋움할 수 있을지 여부다. 서로 긴밀히 얽혀 있는 이 문제들은 중국 경제의 미래를 이해하는 핵심 키워드다. _<덫에 걸린 중국 경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