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야기
· ISBN : 9788947548588
· 쪽수 : 632쪽
· 출판일 : 2022-11-18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1장 오늘날의 도시가 맞이한 위기
밀집성이 낳은 악마들 / 경제학의 눈으로 본 도시의 삶과 죽음 / 도시에 봉사하는 공동의 힘 / 청년들에겐 도시를 누릴 자유가 있다 / 누구나 모든 답을 알지는 못한다 / 이 책의 구성과 내용
2장 세계화는 팬데믹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을까?
첫 번째 팬데믹과 아테네의 몰락 / 인류의 정착과 전염병 / 흑사병, 고대 유럽의 종말을 부르다 / 최초의 사회적 거리두기는 언제 시작되었을까? / 격리를 발명하다: 두브로브니크와 베네치아 / 흑사병 이후 유럽이 번영한 이유 / 격리가 실패했을 때: 필라델피아 황열병 / 16세기의 용기 있는 결단, 방역선 / 글로벌 보건을 위한 또 하나의 나토
3장 인도의 하수도가 전 세계를 더 건강하게 만들까?
식민지 전쟁과 콜레라의 등장 / 콜레라, 유럽에 상륙하다 / 도시의 대응, 상하수도의 건설 / 인센티브와 인프라: 스티븐 스미스와 보건국 / 스페인 전쟁과 공기로 전파되는 전염병 / 사람과 박쥐 그리고 오늘날 개발도상국에서의 팬데믹 위협 / 아프리카에 깨끗한 물이 공급되어야 하는 이유
4장 우리의 신체는 팬데믹에 더 강해질 수 있을까?
건강 격차: 도시의 건강 그리고 당신이 어울리는 집단 / 도시화와 노동자의 비만율 / 대량생산 쿠키가 가져온 혁신의 덫 / 도시의 상징, 프렌치프라이의 탄생 / 더 빠르게, 더 많이 먹게 된 이유 170 / 도시의 어두운 그림자, 마약 / 진통제에 숨은 거짓말: 옥시콘틴의 등장 / 마약 공범자들에서 도시 건강 책임자로 / 건강한 습관은 교육이 만든다 / 도시의 건강도가 팬데믹을 예방한다
5장 비싼 의료비가 도시를 구하지 못한 이유
건강보험제도가 아프다 / 토머스 제퍼슨의 복지국가 / 미국의 건강보험은 왜 그렇게 비싼 걸까? / 보험과 혁신의 인센티브 / 자유의 땅에서 일어나는 의료 서비스 배급제 / 재앙으로 끝난 공중보건 정책들: 리더십과 코로나19 / 실패한 미국 vs. 팬데믹을 이겨낸 나라들 / 요양원의 비극 / 팬데믹은 가장 약한 고리를 공격한다 / 경험과 용기로 팬데믹을 극복한 사람들 / 성공으로 나아가는 길
6장 로봇이 질병을 확산시킬까?
흑사병으로 늘어난 일자리들 / 산업혁명과 면직물이 도시를 구하다 / 공장이 노동자를 보호해야 하는 이유 / 저온 살균법과 도시 운송의 발전 / 도시의 경제는 팬데믹에서 자유롭다 / 도시 노동자, 제조에서 서비스로 / 코로나19에 노출된 대면 서비스 노동자들 / 도시에서 사라진 기업가정신 / 팬데믹 이후 서비스업의 미래
7장 도심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모든 곳으로 연결되는 도시의 힘 / 원심력의 20세기: 부자들이 교외로 빠져나간 이유 / 앨빈 토플러와 재택근무의 승리 / 도시의 귀환: 창의성이 폭발하는 공간 / 불평등과 재택근무 붐 / 대면 근무의 가치 / 사회적 동물이 자기를 숨길 때 / 균형을 갖춘 도시의 미래
8장 외부자 대 내부자의 전쟁, 젠트리피케이션
젠트리피케이션의 시작: 보일 하이츠의 형성 과정 / 살 카스트로, 줄리안 나바 그리고 이스트 로스앤젤레스의 시위 / 젠트리피케이션이 폭발하다 / 부동산을 꽁꽁 묶는 법에 돌을 던져라 / 내부자와 외부자 그리고 대도시의 변두리 지역
9장 치안과 교육, 도시의 미래를 위한 투자
삼진아웃 제도의 탄생 / 형량이 늘어나면 범죄가 줄어들까? / 레이 켈리의 경찰 개혁 / 흑인만 당하는 불심검문의 오류 / 경찰노동조합과 내부자들 / 경찰 예산을 깎아야 할까? / 안전과 자유,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면 / 기회 격차: 도시의 학생들이 성적이 나쁜 이유 / ‘정상을 향한 경주’와 하향식 교육 개혁 / 미셸 리의 교육 개혁이 남긴 교훈 / 교사 vs. 학생: 코로나 시기, 교실에서 벌어지는 젠트리피케이션 / 공립학교의 대안, 도제식 직업 훈련 / 도시의 미래를 위한 장벽 무너뜨리기
10장 미래의 도시, 두려움보다는 기대를
이 세상을 위해서, 더 강력한 세계보건기구가 필요하다 / 효율적이고 포괄적인 의료 시스템의 구축: 미국의 경우 1 / 건강한 도시를 위한 아폴로 프로그램: 미국의 경우 2 / 도시의 취약 계층을 줄이고 기회를 늘려라: 국가와 도시의 경우 1 / 효과적이고 균형 잡힌 형사 사법 제도의 필요성: 국가와 도시의 경우 2 / 끊임없이 배우고, 가르치고, 주변을 돌아보라
감사의 말
주
참고 문헌
리뷰
책속에서
누구나 그렇겠지만 우리 저자들은 우리의 도시들이 번영을 촉진하고 불우한 사람들의 삶을 개선하고 사람들의 삶에 소중한 의미를 제공하기를 바란다. 우리는 앞으로도 도시가 더욱더 쇠퇴할 것이라는 전망에 끔찍함을 느꼈고, 또 공공 부문이 이토록 열악하다는 사실에 당혹스러웠다. 그렇기에 우리가 사는 도시의 미래를 강화할 청사진을 제공하겠다는 마음으로 이 책을 썼다.
_한국어판 서문
지난 반세기 동안 도시가 쇠퇴하는 원인은 대부분 탈산업화였다. 디트로이트나 글래스고 같은 대도시는 공장 일자리가 사라지면서 쇠퇴하기 시작했다. 이런 위기가 발생한 이유는 고도로 자동화되고 모든 시스템을 갖춘 거대 제조공장들이 밀집된 도시에 있을 필요가 더는 없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이제는 그보다 훨씬 위협적인 요인이 나타났다. 바로 최근에 발생한 통제 불가능의 팬데믹(pandemic)이다. 도시의 결정적인 특징이 사람과 사람 사이의 밀집성 혹은 근접성인데, 이것이 질병을 더욱 확산시키기 때문이다.
_1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