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근대철학 > 칸트
· ISBN : 9788949704050
· 쪽수 : 880쪽
· 출판일 : 2007-07-20
책 소개
목차
순수이성비판
베룰람의 베이컨 「대혁신」 머리말
프로이센 왕국 국무대신 폰 체틀리츠 남작 각하께 드림
제1판 머리말(1971년)
제2판 머리말(1797년)
서론
1. 순수인식과 경험적 인식과의 구별에 대해-2. 우리는 어떤 선험적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평범한 지성이라 해도 반드시 그런 인식이 있다-3. 철학은 모든 선험적 인식의 가능성과 원리 및 범위를 규정하는 학문을 필요로 한다-4. 분석적 판단과 경험적 판단과의 구별에 대해-5. 이성에 대한 모든 이론학문에는 선험적 종합판단이 원리로서 포함된다-6. 순수이성의 일반적 과제-7. 순수이성비판이라고 불리는 어떤 특수한 학문의 의도와 구분
선험적 원리론
제1부 선험적 감성론
§1 서론-제1절 공간에 대해(§2 공간개념의 형이상학적 규명-§3 공간개념의 선험적 규명-앞에서 말한 개념들로부터의 결론)-제2절 시간에 대해(§4 시간개념의 형이상학적 규명-§5 시간개념의 선험적 규명-§6 이런 개념들로부터의 §7 결론-설명-§8 선험적 감성론에 대한 일반적 주해-선험적 감성론의 결론)
제2부 선험적 논리학
서론-선험적 논리학의 개념(1. 논리학 일반에 대해-2. 선험적 논리학에 대해-3. 일반논리학의 구분에 관해-4. 선험적 논리학의 구분에 관해)
제1권 선험적 분석론
제1편 개념의 분석론
제1장 모든 순수지성 개념을 발견하는 실마리
제1절 지성의 논리적 사용 일반-§9 제2절 판단에 있어서 지성의 논리적 기능-§10 제3절 순수지성 개념, 즉 범주-§11 §12
제2장 순수오성 개념의 연역
§13 제1절 선험적 연역 일반 원리-§14 범주의 선험적 연역에의 이행-제2절 순수지성 개념의 선험적 연역-§15 종합 일반의 가능성에 대해-§16 통각의 근원적?종합적 통일에 대해-§17 통각의 종합적 통일 원칙은 모든 지성 최고 사용 원리다-§18 자의식의 객관적 통일이란 무엇인가-§19 모든 판단의 논리적 형식의 의미는 판단에 포함되어 있는 개념에 통각의 객관적 통일을 주는 데 있다-§20 모든 감성적 직관은 범주에 따른다. 범주란 직관의 다양함이 그 아래에서 만 하나의 의식에 총괄될 수 있는 조건 내지 기준이다.-§21 주해-§22 범주는 경험의 대상에 적용될 수 있을 뿐이며, 그 밖의 사물의 인식에는 사용되지 않는다-§23-§24 감각기관의 대상 일반에 대한 범주의 적용에 대해-§25-§26 순수지성 개념에 일반적으로 가능한 경험적 사용 선험적 연역-§27 지성 개념의 이 선험적 연역으로부터 생긴 결론
제2편 원칙의 분석론-선험적 판단력 일반에 대해
제1장 순수지성 개념의 도식론
제2장 순수지성의 모든 원칙 체계
제1절 모든 분석적 판단의 최고 원칙에 대해-제2절 모든 종합적 판단의 최고 원칙에 대해 - 제3절 순수지성의 모든 종합적 원칙의 체계적 표현
제3장 모든 대상 일반을 현상적 존재와 본질적 존재로 구별하는 근거에 대해
부록(경험적 사용과 선험적 사용과의 혼동에 따른 반성 개념의 모호성에 대해-반성 개념의 모호성에 대한 주석)
제2권 선험적 변증론
결론(1. 선험적 기상에 대해-2. 선험적 가상의 거처로서의 순수이성에 대해―A. 이성 일반에 대해 B. 이성의 논리적 사용에 대해 C. 이성의 순수한 사용에 대해)
제1편 순수이성의 개념에 대해
제1절 이념 일반에 대해-제2절 선험적 이념에 대해-제3절 선험적 이념의 체계
제2편 순수이성의 변증적 추리에 대해
제1장 순수이성의 오류 추리
영혼의 고정불변성에 관한 멘델스존 증명에 대한 반박-심리학적 오류 추리의 해결에 대한 결론-합리적 심리학으로부터 우주론으로의 이행에 대한 일반적 주해
제2장 순수이성의 이율배반
제1절 우주론적 이념의 체계-제2절 순수이성의 모순론-제3절 이 이성의 이율배반에서 이성의 관심에 대해-제4절 반드시 해결될 수 있어야 하는 한에서의 순수이성의 선험적 과제에 대해-제5절 네 가지 선험적 이념에 의한 우주론적 문제 회의적 표명-제6절 우주론적 변증론을 해결할 열쇠로서의 선험적 관념론-제7절 이성의 우주론적 자기모순 비판적 해결-제8절 우주론적 이념에 관한 순수이성의 규제적 원리-제9절 모든 우주론적 이념에 관한 이성의 규제적 원리를 경험적으로 사용함에 대해
제3장 순수이성의 이상
제1절 이상 일반에 대해-제2절 선험적 이상에 대해-제3절 사변적 이성이 최고 존재자의 현존재를 추론하는 여러 증거-제4절 신의 존재에 대한 존재론적 증명의 불가능성에 대해-제5절 신의 존재에 관한 우주론적 증명의 불가능성에 대해-제6절 자연신학적 증명 불가능에 대해-제7절 이성의 사변적 원리에 의거하는 모든 신학에 대한 비판-순수이성의 이념의 규제적 사용-인간의 이성이 갖는 자연적 변증법의 궁극 의도
선험적 방법론
서론
제1장 순수이성의 훈련
제1절 독단적 사용에 관한 순수이성의 훈련-제2절 논쟁적 사용에 관한 순수이성의 훈련-자기모순에 빠진 순수이성을 회의론으로 만족시킬 수 없음에 대해-제3절 가설에 관한 순수이성의 훈련-제4절 증명에 관한 순수이성의 훈련
제2장 순수이성의 규준
제1절 우리의 이성의 순수 사용의 궁극 목적에 대해-제2절 순수이성의 궁극 목적의 규정 근거로서 최고선의 이상에 대해-제3절 의견과 지식과 신앙에 대해
제3장 순수이성의 건축술
제4장 순수이성의 역사
실천이성비판
머리글-들어가는 말
제1부 순수실천이성의 원리론
제1편 순수실천이성의 분석론
제1장 순수실천이성의 원칙
제1절 정의-제2절 정리 Ⅰ-제3절 정리 Ⅱ-제4절 정리 Ⅲ-제5절 과제 Ⅰ-제6절 과제 Ⅱ-제7절 순수실천이성의 근본 법칙-제8절 정리 Ⅳ
제2장 순수실천이성의 대상 개념
순수실천적 판단력의 전형
제3장 순수실천이성의 동기
순수실천이성 분석론의 비판적 조명
제2편 순수실천이성의 변증론
제1장 순수실천이성 일반의 변증론
제2장 최고선의 개념 규정에 있어서의 순수이성의 변증론
1. 실천이성의 이율배반-2. 실천이성의 이율배반의 비판적 해소-3. 사변이성과 결합할 때의 순수실천이성의 우위-4. 순수실천이성의 요청인 영혼불멸성-5. 순수실천이성의 요청인 신의 현존-6. 순수실천이성의 요청들 일반-7. 사변적 순수이성의 인식을 확장함이 없이 순수이성을 실천적 관점에서 확장한다는 것이 어떻게 가능한가?-8. 순수이성의 요구에 의한 승인-9. 인간의 인식 능력들이, 인간의 실천적 사명에 현명하게 부합하는 조화
제2부 순수실천이성의 방법론
맺음말
칸트의 생애와 사상
철학 연구에 바친 생애
정든 쾨니히스베르크-이름 없는 한 시민의 아들-나의 길, 대학교수-사상편력 스케치-세월과의 전쟁-인간 칸트의 변모
인간이란 무엇인가?
비판철학의 과제-인간은 무엇을 알 수 있는가?-인간은 무엇을 해야만 하는가?-도덕과 자연의 조화-인간은 무엇을 바라 마땅한가-영원한 평화를 위하여-결국 인간이란 무엇인가?-실용적 현실의 성격-인간 지식의 획득 방법-실용적 현실의 여러 모습-실용적 인간학의 총괄-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