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근대철학 > 칸트
· ISBN : 9788949714325
· 쪽수 : 771쪽
· 출판일 : 2016-06-09
책 소개
목차
베룰람의 베이컨 ‘대혁신’ 머리글
왕립 국무장관 폰 체틀리츠 남작 각하
제1판 머리글(1781년)
제2판 머리글(1787년)
서론 … 42
1. 순수한 인식과 경험적 인식의 구별에 대해서⁄2. 우리는 어떤 종류의 선험적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상식이라 할지라도 반드시 그런 인식이 있다⁄3. 철학은 모든 선험적 인식의 가능성, 원리 및 범위를 규정하는 학문을 필요로 한다⁄4. 분석적 판단과 경험적 판단의 구별에 대해서⁄5. 이성의 모든 이론적 학문에는 선험적 종합판단이 원리로서 포함되어 있다⁄6. 순수이성의 일반 과제⁄7. 순수이성비판이라는 이름의 특수학문의 구상과 구분
초월적 원리론
제1부 초월적 감성론 … 63
§1 첫머리⁄제1절 공간에 대해서(§2 공간 개념에 대한 형이상학적 규명⁄§3 공간 개념에 대한 초월적 규명⁄앞에서 말한 개념들로부터 얻은 결론)⁄제2절 시간에 대해서(§4 시간 개념에 대한 형이상학적 규명⁄§5 시간 개념에 대한 초월적 규명⁄§6 이들 개념들로부터 얻은 결론⁄§7 설명⁄§8 초월적 감성론에 대한 일반 주해⁄초월적 감성론의 마무리)
제2부 초월적 논리학 … 88
서론⁄초월적 논리학의 구상(1. 논리학 일반에 대해서⁄2. 초월적 논리학에 대해서⁄3. 일반 논리학을 분석론과 변증론으로 구분하는 일에 대해서⁄4. 초월적 논리학을 분석론과 변증론으로 구분하는 일에 대해서)
제1부문 초월적 분석론 … 97
제1편 개념의 분석론 … 98
제1장 모든 순수지성 개념을 발견하는 실마리에 대해서 … 98
제2장 순수지성 개념의 연역에 대해서 … 112
§13 초월적 연역 일반의 원리에 대해서⁄§14 범주가 초월적 연역으로 건너감⁄[제1판] 제2절 순수지성 개념의 초월적 연역⁄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선험적 근거에 대해서⁄임시로 주는 주의⁄1. 직관에 있어서 감각지의 종합에 대해서⁄2. 구성에 있어서 재현의 종합에 대해서⁄3. 관념에서의 재인식 종합에 대해서⁄4. 선험적 인식으로서의 범주의 가능성을 우선 설명⁄제3절 대상 일반에 대한 지성의 관계와 선험적으로 인식하는 가능성에 대해서⁄순수지성 개념의 연역이 정당하며 유일 가능하다는 것을 총괄한다⁄[제2판] 제2절 순수지성 개념의 초월적 연역⁄§15 결합 일반의 가능성에 대해서⁄§16 통각의 근원적 종합적 통일에 대해서⁄§17 통각의 종합적 통일 원칙은 모든 지성 최고 사용 원리이다⁄§18 자기의식의 객관적 통일이란 무엇인가⁄§19 모든 판단의 논리적 형식의 본질은 판단 속 개념에 통각의 객관적 통일을 주는 데 있다⁄§20 모든 감성적 직관은 범주에 따른다. 다양한 직관은 범주라는 조건 아래에서만 하나의 의식에 총괄될 수 있다⁄§21 주해⁄§22 범주는 경험의 대상에 적용될 수 있을 뿐이며 그 밖의 사물 인식에는 사용되지 않는다⁄§23⁄§24 감각 일반 대상에 대한 범주의 적용⁄§25⁄§26 순수지성 개념 일반에 가능한 경험 사용의 초월적 연역⁄§27 지성 개념의 초월적 연역의 결론⁄이 연역의 요약
제2편 원칙의 분석론 … 162
서언 초월적 판단력 일반에 대해서 … 163
제1장 순수지성 개념의 도식론에 대해서 … 165
제2장 순수지성의 모든 원칙 체계 … 171
제1절 모든 분석판단의 최고 원칙에 대해서⁄제2절 모든 종합판단의 최고 원칙에 대해서⁄제3절 순수지성의 모든 종합적 원칙의 체계적 표현
제3장 모든 대상 일반을 현상체와 가상체로 구별하는 이유에 대해서 … 235
부록⁄반성 개념의 모호성에 대한 주석
제2부문 초월적 변증론 … 271
머리글(1. 초월적 가상에 대해서⁄2. 초월적 가상의 거처로서의 순수이성에 대해서―A. 이성 일반에 대해서 B. 이성의 논리적 사용에 대해서 C. 이성의 순수한 사용에 대해서)
제1편 순수이성의 개념에 대해서 … 280
제1절 이념 일반에 대해서⁄제2절 초월적 이념에 대해서⁄제3절 초월적 이념의 체계에 대해서
제2편 순수이성의 변증적 추리에 대해서 … 297
제1장 순수이성의 오류 추리에 대해서 … 298
실체성을 둘러싼 제1의 오류 추리⁄순수심리학에서 제1의 오류 추리의 비판⁄단순성을 둘러싼 제2의 오류 추리⁄초월적 심리학에서 제2의 오류 추리의 비판⁄인격성을 둘러싼 제3의 오류 추리⁄초월적 심리학의 제3의 오류 추리를 비판한다⁄동일성(외적 관계의)을 둘러싼 제4의 오류 추리⁄초월적 심리학의 제4의 오류 추리를 비판한다⁄이상의 오류 추리에 따라서 순수심리학을 종합적으로 고찰한다⁄[제2판] 영혼의 고정불변성에 대한 멘델스존의 증명을 논박한다⁄심리학적 오류 추리의 해결에 대한 결론⁄합리적 심리학으로부터 우주론으로의 이행에 대한 일반적 주해
제2장 순수이성의 이율배반 … 352
제1절 우주론적 이념의 체계⁄제2절 순수이성의 모순론(초월적 이념의 제1의 논쟁⁄제1의 이율배반에 대한 주석⁄초월적 이념의 제2의 논쟁⁄제2의 이율배반에 대한 주석⁄초월적 이념의 제3의 논쟁⁄제3의 이율배반에 대한 주석⁄초월적 이념의 제4의 논쟁⁄제4의 이율배반에 대한 주석)⁄제3절 순수이성의 이율배반에 있어 이성의 관심에 대해서⁄제4절 반드시 해결되어야 하는 순수이성의 초월적 과제에 대해서⁄제5절 네 가지 초월적 이념에 의한 우주론적 문제의 회의적 표명⁄제6절 우주론적 변증론을 해결할 열쇠로서의 초월적 관념론⁄제7절 자신의 순수이성과 우주론적 논쟁의 비판적 해결⁄제8절 우주론적 이념에 대한 순수이성의 통제적 원리⁄제9절 우주론적 이념에 대한 이성의 통제적 원리의 경험적 사용에 대해서(Ⅰ. 현상을 세계 전체로 합성하는 전체성에 대한 우주론적 이념의 해결⁄Ⅱ. 직관에서 주어진 전체 분할의 전체성에 대한 우주론적 이념의 해결⁄Ⅲ. 그 원인에서의 세계 사건 추론의 전체성에 대한 우주론적 이념의 해결⁄Ⅳ. 현상적 현실 존재의 의존성 전체성에 대한 우주론적 이념의 해결
제3장 순수이성의 이상 … 445
제1절 이상 일반에 대해서/ 제2절 초월적 이상(원형)에 대해서/ 제3절 사변적 이성이 최고 존재자의 현실 존재를 추리하는 근거에 대해서/ 사변적 이성에 기초해 신의 존재를 증명하는 세 가지 방법/ 제4절 신의 존재에 대한 존재론적 증명의 불가능성에 대해서/ 제5절 신의 존재에 대한 우주론적 증명의 불가능성에 대해서/ 필연적 존재의 현존에 대한 모든 초월적 논증에서의 변증적 가상의 발견과 설명/ 제6절 자연신학적 증명 불가능에 대해서/ 제7절 이성의 사변적 원리에 입각한 모든 신학을 비판한다/ 초월적 변증론에 대한 부록/ 순수이성 이념의 통제적 사용에 대해서/ 인간 이성이 갖는 자연적 변증론의 궁극 목적에 대해서
초월적 방법론
초월적 방법론 … 531
제1장 순수이성의 훈육 … 533
제1절 독단적 사용에서 순수이성의 훈육⁄제2절 논쟁적 사용에서 순수이성의 훈육⁄자기분열을 일으킨 순수이성을 회의적으로 만족시킬 수 없음에 대해서⁄제3절 가설에서 순수이성의 훈육⁄제4절 증명에서 순수이성의 훈육
제2장 순수이성의 규준 … 585
제1절 우리 이성의 순수사용의 궁극 목적에 대해서⁄제2절 순수이성의 궁극 목적의 결정 근거로서 최고선의 이상에 대해서⁄제3절 의견과 앎과 믿음에 대해서
제3장 순수이성의 건축술 … 608
제4장 순수이성의 역사 … 620
칸트의 생애와 사상
철학 연구에 바친 생애 … 625
인간이란 무엇인가 … 682
칸트 연보 … 769
리뷰
책속에서
우리의 주장은 시간의 경험적 실재성을, 즉 그때마다 우리의 감각에 주어질 모든 대상에 관해서 객관적 타당성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의 직관은 언제나 감성적이므로, 경험에서는 시간 제약을 받지 않는 대상은 결코 주어지지 않는다. 이에 반해 우리는, 시간에 절대적 실재성을 구하는 일에 대하여 이의를 제기한다. 이런 요구에 의하면 시간이 우리의 감성적 직관의 형식이라는 것을 무시하고, 조건이나 성질로서 사물에 직접 부속되어 있는 것이 된다. 이런 성질은 사물 자체에 어울리는 것이겠지만, 감각을 통해서 우리에게 결코 주어지는 일도 없다.
다양한 관념은 직관으로 주어진다. 그 직관은 다만 감성적이며 결국은 수용적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리고 이 직관의 형식은 선험적으로 우리의 관념 능력 속에 있을 수 있지만, 이 직관의 형식은 주체가 촉발되는 방식 이외의 어떤 것도 아니다. 그러나 다양한 것의 일반 결합(conjunctio)은 결코 감각에 의해서 오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다양한 것의 결합도 감성적 직관의 순수한 형식에 동시에 포함되어 있다고 하는 일은 있을 수가 없다. (
왜냐하면 우리는 우리의 관념과 관련될 뿐이기 때문이다. 사물 자체(그것이 우리에게 촉발시키는 관념을 별도로 한다면)가 어떻게 되어 있는가는, 전적으로 우리의 인식 영역 밖에 있다. 그런데 현상은 사물 자체가 아니라고 해도, 인식을 위해 우리에게 주어진 유일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감각지의 관념은 언제나 계기적이라고 해도, 나는 시간에서의 어떠한 결합이 현상 그 자체의 다양한 것과 어울리는가를 제시하지 않으면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