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88949705743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09-12-12
책 소개
목차
○ 책머리에
○ 일러두기
○ 해제
1. 책이름 및 체제
2. 작자(찬집자)
3. 내용
4. 찬집자
1) 유흠(劉歆?~A.D.23)
2) 갈홍(葛洪 238~363)
<卷一>
001(1-1) 蕭何營未央宮 소하가 미앙궁을 짓다
002(1-2) 昆明池養魚 곤명지에 기르는 고기
003(1-3) 八月飮酎 팔월에 마시는 순주醇酎
004(1-4) 止雨如禱雨 지우止雨는 기우祈雨와 같다
005(1-5) 天子筆 천자의 붓
006(1-6) ?被以錦 궤를 비단으로 덮다
007(1-7) 吉光? 길광吉光가죽으로 만든 외투
008(1-8) 戚夫人歌舞 척부인의 가무
009(1-9) 煉金爲環 금을 녹여 만든 가락지
010(1-10) 魚藻宮 어조궁
011(1-11) 縊殺如意 여의如意를 목 졸라 죽이다
012(1-12) 樂遊苑 낙유원
013(1-13) 太液池 태액지
014(1-14) 終南山華蓋樹 종남산의 화개수
015(1-15) 劍光射人 칼 빛이 사람을 쏘다
016(1-6) 七夕穿針開襟樓 칠석날 개금루에서 바늘귀 꿰기
017(1-7) 身毒國寶鏡 연독국의 보물거울
018(1-18) ?顯爲淳于衍起第贈金 곽현이 순우연에게 저택을 지을 금을 주다
019(1-19) 旌旗飛天墮井 깃발이 날려 우물에 떨어지다
020(1-20) 弘成子文石 홍성자의 무늬 돌
021(2-21) 黃鵠歌 황곡가
022(1-22) 送葬用珠?玉匣 주유옥갑으로 장례를 치르다
023(1-23) 三雲殿 삼운전
024(1-24) 掖庭 액정
025(1-25) 昭陽殿 소양전
026(1-26) 珊瑚高丈二 산호의 높이가 두 길이나 되다
027(1-27) 玉魚動蕩 옥으로 만든 물고기가 동탕하다
028(1-28) 上林名果異木 상림원의 명과이목
029(1-29) 常滿燈?被中香爐 상만등과 피중향로
030(1-30) 飛燕昭儀贈遺之侈 조비연에게 준 소의의 사치로운 선물들
031(1-31) 寵擅後宮 후궁의 총애를 독차지하다
<卷二>
032(2-1) ?工棄市 화공이 기시를 당하다
033(2-2) 東方朔設奇救乳母 동방삭이 기지를 써서 유모를 구하다
034(2-3) 五侯鯖 오후정
035(2-4) 公孫弘粟飯布被 공손홍이 속반포피로 검소히 살다
036(2-5) 文帝良馬九乘 문제의 양마 아홉 필
037(2-6) 武帝馬飾之盛 무제의 말 장식
038(2-7) 茂陵寶劍 무릉의 보검
039(2-8) 相如死渴 사마상여가 소갈병으로 죽다
040(2-9) 趙后淫亂 조비연의 음란한 궁중 생활
041(2-10) 作新?移舊社 신풍을 건설하고 옛 사직단을 옮기다
042(2-11) 陵寢風簾 능침의 풍렴
043(2-12) 揚雄夢鳳作≪太玄≫ 양웅이 봉황 꿈을 꾸고 태현경을 짓다
044(2-13) 百日成賦 백일만에 완성한 부 작품
045(2-14) 仲舒夢龍作≪繁露≫ 동중서가 용꿈을 꾸고 춘추번로를 짓다
046(2-15) 讀千賦乃能作賦 천 편의 부를 읽으면 능히 부를 지을 수 있다
047(2-16) 聞≪詩≫解? 시경 해석을 듣고 턱이 벌어지다.
048(2-17) 惠生嘆息 혜장의 탄식
049(2-18) 搔頭用玉 소두를 옥으로 만들다
050(2-19) 精?棋裨聖敎 바둑에 정통하면 성인의 가르침을 보비할 수 있다
051(2-20) 彈棋代蹴? 탄기 놀이로 축국을 대신하다
052(2-21) 雪深五尺 눈이 다섯 자나 오다
053(2-22) 四寶宮 사보궁
054(2-23) 河決龍蛇噴沫 제방이 터지자 용이 나타나 분말을 일으키다
055(2-24) 百日雨 백일우
056(2-25) 五日子欲不擧 5월 5일에 태어난 아이를 기르지 않으려 하다.
057(2-26) 雷火燃木得蛟龍骨 번갯불이 나무를 태운 후 용골을 얻다
058(2-27) 酒脯之應 술과 포를 갖추어 놓다
059(2-28) 梁孝王宮? 양 효왕의 궁과 놀이터
060(2-29) 魯恭王禽? 노 공왕의 새싸움 놀이
061(2-30) 流黃? 유황점
062(2-31) 買臣假歸 주매신이 고향에 나타나다
<卷三>
063(3-1) ?術制蛇御虎 녹술로 뱀과 호랑이를 제어하다
064(3-2) 淮南與方士俱去 회남왕이 방사들과 함께 사라지다
065(3-3) 揚子雲載?軒作≪方言≫ 양자운이 각지를 답사하며 ≪방언≫을 짓다
066(3-4) 鄧通錢文?天子 등통의 동전이 천자의 것과 같았다
067(3-5) 儉葬反奢 검소한 장례로 사치를 거부하다
068(3-6) 介子棄? 부개자가 고를 버리다
069(3-7) 曹敞收葬 조창이 장례를 치러주다
070(3-8) 文帝思賢館 문제의 사현관
071(3-9) 廣陵死力 광릉왕이 용력 때문에 죽다
072(3-10) 辨≪爾雅≫ 이아에 대한 변석
073(3-11) 袁廣漢園林之侈 원광한의 원림에 대한 사치
074(3-12) 五?宮石麒麟 오작궁의 석기린
075(3-13) 咸陽宮異物 함양궁에 보관된 기이한 물건들
076(3-14) 鮫魚?枝 교어와 여지
077(3-15) 戚夫人侍兒言宮中樂事 척부인의 시녀가 궁중의 즐거웠던 일을 들려주다
078(3-16) 何武葬北邙 하무가 북망산에 묻힌 곳
079(3-17) 生作葬文 살아서 장례문을 쓰다
080(3-18) 淮南≪鴻烈≫ 회남자의 홍렬
081(3-19) ≪公孫子≫ 공손자
082(3-20) 長卿賦有天才 사마장경은 부에 대해 천재성이 있었다
083(3-21) 賦假相如 부 작품을 사마상여에게 가탁하다
084(3-22) <大人賦> 대인부
085(3-23) <白頭吟> 백두음
086(3-24) 樊?問瑞應 번쾌가 서응에 대하여 묻다
087(3-25) ?妻雙生 곽광의 처가 쌍둥이를 낳다
088(3-26) 文章遲速 문장을 짓는 속도의 효용
<卷四>
089(4-1) 眞算知死 숭진이 자신이 죽을 날짜를 계산하여 알다
090(4-2) 曹算窮物 조원리가 모든 물건을 다 계산하다
091(4-3) 因獻命名 바쳐온 물건에 의해 아이 이름을 짓다
092(4-4) 董賢寵遇過盛 동현이 분에 넘치는 총애를 받다
093(4-5) 三館待賓 관사 세 개를 지어 놓고 빈객을 모시다
094(4-6) ?越?蜜 민월왕이 바친 한조와 석밀
095(4-7) ?公葬地 등공의 장지
096(4-8) 韓?金彈 한언의 황금 탄환
097(4-9) 司馬良史 훌륭한 역사가 사마천
098(4-10) 梁孝王忘憂館時豪七賦 양효왕의 망우관에서 당시 호걸들이 지은 일곱 편의 부
(1) 枚乘<柳賦> 매승의 유부
(2) 路喬如<鶴賦> 노교여의 학부
(3) 公孫詭<文鹿賦> 공손궤의 문록부
(4) 鄒陽<酒賦> 추양의 주부
(5) 公孫乘<月賦> 공손승의 월부
(6) 羊勝<屛風賦> 양승의 병풍부
(7) 韓安國 한안국의 궤부
099(4-11) 五侯進王 오후가 모두 왕으로 진급하다
100(4-12) 河間王客館 하간왕의 객관
101(4-13) 年少未可冠婚 나이가 어려 아직 관혼의 예를 치를 수 없다
102(4-14) 勁超高屛 병풍을 뛰어 넘는 높이뛰기 재주
103(4-15) 元后燕石文兆 제비가 원후에게 물어온 무늬 돌의 징조
104(4-16) 玉虎子 옥호자
105(4-17) 紫泥 자니
106(4-18) 日射百雉 하루에 꿩 백 마리씩 잡다
107(4-19) 鷹犬起名 매와 사냥개의 이름들
108(4-20) 長鳴? 장명계
109(4-21) 陸博術 육박술
110(4-22) 戰假將軍名 전투에서 내세운 거짓 장군의 이름들
111(4-23) 東方生 동방생
112(4-24) 古生雜術 고생의 잡술
113(4-25) 婁敬不易?衣 누경이 거친 털옷을 갈아입지 않다
<卷五>
114(5-1) 母嗜雕胡 어머니가 조호를 좋아하시다
115(5-2) 琴彈<單鵠寡鳧> 단곡과부의 연주
116(5-3) 趙后寶琴 조후의 보금
117(5-4) 鄒長?贈遺有道 추장천이 도를 선물로 주다
118(5-5) 大駕騎乘數 황제 출행의 대가 기승의 수
119(5-6) 董仲舒天象 동중서의 기상 변화에 대한 견해
120(5-7) 郭舍人投壺 곽사인의 투호 놀이
121(5-8) 象牙? 상아로 만든 자리
122(5-9) 賈誼 가의의 복조부
123(5-10) 金石感偏 금석의 감응에 편차가 있다
<卷六>
124(6-1) <文木賦> 문목부
125(6-2) 廣川王發古? 광천왕의 고분 파헤치기
(1) 魏襄王? 위양왕 무덤
(2) 哀王? 애왕 무덤
(3) 魏王子且渠? 위왕자 저거 무덤
(4) 袁?? 원앙의 무덤
(5) 晉靈公? 진영공의 무덤
(6) 幽王? 유왕의 무덤
(7) 欒書? 난서의 무덤
126(6-3) 太液池五舟 태액지의 다섯 척 배
127(6-4) 孤樹池 고수지
128(6-5) 昆明池舟數百 곤명지의 수백 척 배
129(6-6) 玳瑁床 대모로 만든 침상
130(6-7) 書太史公事 태사공 사마천에 관련된 사건을 적음
131(6-8) 皇太子官 황태자의 관직
132(6-9) 兩秋胡曾參毛遂 동명이인의 추호와 증삼, 그리고 모수
○ 부록
Ⅰ. 西漢時代 世系表
Ⅱ. ≪西京雜記≫ 序?題?跋
(1) <西京雜記跋> 晉, 葛洪
(2) <西京雜記序> 明, 黃省曾
(3) <刻西京雜記序> 明, 孔天胤
(4) <西京雜記序> 明, 柯茂竹
(5) <西京雜記跋> 明, 毛晉
(6) <新雕西京雜記緣起> 淸, 盧文?
Ⅲ. ≪西京雜記≫ 歷代 著錄
(1) ≪隋書≫經籍志
(2) ≪舊唐書≫經籍志
(3) ≪新唐書≫藝文志
(4) ≪郡齋讀書志≫ 宋, 晁公武
(5) ≪直齋書錄解題≫ 宋, 陳振孫
(6) ≪宋史≫藝文志
(7) ≪四庫全書總目提要≫ 淸, 紀?
(8) ≪愛日精廬藏書志≫ 淸, 張金吾
(9) ≪善本書室藏書志≫ 淸, 丁丙
(10) ≪抱經樓藏書志≫ 淸, 沈德壽
(11) ≪?宋樓藏書志≫ 淸, 陸心源
(12) ≪藏園群書經眼錄≫ 傅增湘
(13) ≪四庫提要辨證≫ 余嘉錫
Ⅳ. <四庫全書>≪西京雜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