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몽구 5

몽구 5

이한 (엮은이), 임동석 (옮긴이), 서자광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800원 -10% 2,500원
600원
12,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몽구 5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몽구 5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88949706269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0-06-01

책 소개

젊은이들을 일깨우기 위한 책. <몽구>는 한자의 뜻 그대로 “청순무구한 영혼을 일깨우기”위한 책으로, 젊은이들을 가르치며 깨우쳐주어야 할 일화 명구를 교재로 만든 것이다. 중국 고전에 입문하는 데 더없는 길잡이로서 남녀노소에게 꼭 필요한 지식과 지혜를 담고 있다. 그동안 피상적으로만 들어왔던 주옥같은 이야기와 문구가 구체적인 출전과 명확한 원문 제시로 근거에 의하여 설명된다.

목차

080 몽구5/5

241. 桓典避馬, 王尊叱馭
① 桓典避馬 피해야 할 환전의 총마
② 王尊叱馭 마부를 질책한 왕준
242. ?錯?直, 趙禹廉倨
① ?錯?直 준엄하고 곧은 조착
② 趙禹廉倨 청렴하면서도 거만했던 조우
243. 亮遺巾?, 備失匕箸
① 亮遺巾? 제갈량이 보낸 여인용 목도리
② 備失匕箸 밥 먹다 수저를 놓친 유비
244. 張翰適意, 陶潛歸去
① 張翰適意 뜻에 맞추어 홀연히 떠난 장한
② 陶潛歸去 도연명의 귀거래
245. 魏儲南館, 漢相東閤
① 魏儲南館 남관에서 잔치를 벌인 위문제
② 漢相東閤 동쪽 문을 열어놓은 한나라 재상 공손홍
246. 楚元置醴, 陳蕃下榻
① 楚元置醴 초원왕 유교의 스승 예우
② 陳蕃下榻 서치를 위해 걸어두었던 자리를 내려놓은 진번
247. 廣利泉涌, 王?氷合
① 廣利泉涌 칼로 산을 찔러 샘물이 솟도록 한 이광리
② 王?氷合 녹았던 얼음이 다시 붙어 건널 수 있었던 왕패
248. 孔融坐滿, 鄭崇門雜
① 孔融坐滿 자리를 가득 채운 공융의 빈객들
② 鄭崇門雜 정숭의 집에 모여드는 온갖 잡객
249. 張堪折轅, 周鎭漏船
① 張堪折轅 장감의 부서진 수레
② 周鎭漏船 비가 새는 배에서 살고 있는 주진
250. 郭伋竹馬, 劉寬蒲鞭
① 郭伋竹馬 죽마를 타고 곽급을 환영 나온 아이들
② 劉寬蒲鞭 부들 채찍으로 부하를 벌 준 유관
251. 許史侯盛, 韋平相延
① 許史侯盛 허황후와 사량제의 번성한 제후들
② 韋平相延 재상 자리를 이어간 위현과 평당의 부자
252. 雍伯種玉, 黃尋飛錢
① 雍伯種玉 옥을 심어 장가를 들은 양공옹백
② 黃尋飛錢 흩날리는 돈을 주워 부자가 된 황심
253. 王允千里, 黃憲萬頃
① 王允千里 천리마와 같은 왕윤
② 黃憲萬頃 만이랑 물결과 같은 황헌
254. 虞■(29970)才望, 戴淵峰穎
① 虞■(29970)才望 우비의 재능과 성망
② 戴淵峰穎 산봉우리와 이삭처럼 우뚝하고 빼어난 대연
255. 史魚黜殯, 子囊城?
① 史魚黜殯 자신의 시신을 폐출시킨 사어
② 子囊城? 영 땅에 성을 쌓도록 한 자낭
256. 戴封積薪, 耿恭拜井
① 戴封積薪 섶을 쌓아 스스로 희생이 되겠다고 나선 대봉
② 耿恭拜井 물이 나오도록 우물에 절을 한 경공
257. 汲?開倉, 馮煖折券
① 汲?開倉 곡식 창고를 열어 백성을 구제한 급암
② 馮煖折券 채권 문서를 찢어버린 풍훤
258. 齊景駟千, 何曾食萬
① 齊景駟千 말 사천 마리를 기른 제나라 경공
② 何曾食萬 음식에 만금을 쓰는 하증
259. 顧榮錫炙, 田文比飯
① 顧榮錫炙 하인에게 구운 고기를 내려준 고영
② 田文比飯 먹는 밥을 비교해 보여준 맹상군 전문
260. 稚珪蛙鳴, 彦倫鶴怨
① 稚珪蛙鳴 개구리가 울어도 그대로 두고 사는 공치규
② 彦倫鶴怨 학의 원망 소리를 노래한 주옹
261. 廉頗負荊, 須賈擢髮
① 廉頗負荊 가시를 짊어지고 인상여에게 사죄한 염파
② 須賈擢髮 머리카락을 뽑아 속죄하겠다고 사죄한 수가
262. 孔翊絶書, 申嘉私謁
① 孔翊絶書 청탁 편지를 못에 던져버린 공익
② 申嘉私謁 등통을 사사롭게 불러 처단하려 한 신도가
263. 淵明把菊, 眞長望月
① 淵明把菊 국화꽃을 한 줌 쥔 채 시상에 빠진 도연명
② 眞長望月 망월과 같은 맑은 모습의 유진장
264. 子房取履, 釋之結?
① 子房取履 노인의 신발을 주어 올린 장량
② 釋之結? 신발 끈을 매어준 장석지
265. 郭丹約關, 祖?誓江
① 郭丹約關 함곡관에서 성공을 다짐한 곽단
② 祖?誓江 강을 건너며 나라 수복을 맹세한 조적
266. 賈逵問事, 許愼無雙
① 賈逵問事 어떠한 질문에도 막힘이 없는 가규
② 許愼無雙 천하에 쌍을 이룰 자 없는 허신
267. 婁敬和親, 白起坑降
① 婁敬和親 흉노와 화친을 성사시킨 누경
② 白起坑降 항복한 군사를 구덩이에 묻은 백기
268. 簫史鳳臺, 宋宗鷄窓
① 簫史鳳臺 봉대에 함께 살다 신선이 된 소사 부부
② 宋宗鷄窓 창가에 닭을 키운 송처종
269. 王陽囊衣, 馬援薏苡
① 王陽囊衣 왕양의 옷 보따리
② 馬援薏苡 마원이 가지고 온 율무
270. 劉整交質, 五倫十起
① 劉整交質 조카의 밥값으로 담보를 교환해 간 유정
② 五倫十起 조카의 병에 자다가 열 번이나 일어난 제오륜
271. 張敞?眉, 謝鯤折齒
① 張敞?眉 아내의 눈썹을 그려준 장창
② 謝鯤折齒 이웃집 처녀를 희롱하다가 이빨이 부러진 사곤
272. 盛彦感?, 姜詩躍鯉
① 盛彦感? 굼벵이로 인한 효성의 감응을 받은 성언
② 姜詩躍鯉 잉어가 뛰어올라 감응한 강시의 효성
273. 宗資主諾, 成瑨坐嘯
허락을 위주로 하는 종자와 앉아서 휘파람만 부는 성진
274. 伯成辭耕, 嚴陵去釣
① 伯成辭耕 천하를 사양하고 밭갈이에 열중한 백성자고
② 嚴陵去釣 황제의 친구로서 멀리 떠나 낚시에만 마음 쏟은 엄릉
275. 董遇三餘, ?周獨笑
① 董遇三餘 세 가지 여유 시간을 가르친 동우
② ?周獨笑 홀로 미소를 지은 초주
276. 將閭仰天, 王凌呼廟
① 將閭仰天 하늘을 우러러 울음을 터뜨린 장려
② 王凌呼廟 사당을 향해 울부짖은 왕릉
277. 二疏散金, 陸賈分?
① 二疏散金 하사금을 모두 흩어 써버린 소광과 소수
② 陸賈分? 천금의 주머니를 아들에게 나누어준 육가
278. 慈明八龍, ?衡一?
① 慈明八龍 순자명의 팔룡
② ?衡一? 한결같이 악악대는 예형
279. 不占殞車, 子雲投閣
① 不占殞車 전투 소리에 수레에서 떨어져 죽은 진부점
② 子雲投閣 천록각에서 뛰어내린 양웅
280. 魏舒堂堂, 周舍鄂鄂
① 魏舒堂堂 당당한 위서
② 周舍鄂鄂 악악대며 간쟁하던 주사
281. 無鹽如漆, 姑射若氷
① 無鹽如漆 살결이 검기가 칠흑 같은 무염녀 종리춘
② 姑射若氷 얼음같이 흰 피부의 막고야산 신선들
282. ?子投火, 王思怒蠅
① ?子投火 불구덩이에 떨어진 죽은 주자 장공
② 王思怒蠅 붓에 달려드는 파리를 두고 화를 낸 왕사
283. ?朗?白, 易牙淄?
① ?朗?白 요리된 오리의 색을 알아내는 부랑
② 易牙淄? 치수와 민수의 물맛을 구별해 내는 역아
284. 周勃織薄, 灌?販繒
① 周勃織薄 박곡을 짜는 일을 생업으로 하던 주발
② 灌?販繒 비단 장수 관영
285. 馬良白眉, 阮籍靑眼
① 馬良白眉 마량의 흰 눈썹
② 阮籍靑眼 완적의 푸른 눈동자
286. ?布開關, 張良燒棧
① ?布開關 함곡관을 열어 밀고 들어간 경포
② 張良燒棧 촉의 잔도를 태워버린 장량
287. 陳遺飯感, 陶侃酒限
① 陳遺飯感 어머니께 누룽지를 가져다 드린 진유
② 陶侃酒限 한계를 지어 술을 마신 도간
288. 楚昭萍實, 束晳竹簡
① 楚昭萍實 초나라 소왕의 평실
② 束晳竹簡 죽간을 해독한 속석
289. 曼?三冬, 陳思七步
① 曼?三冬 겨울 석 달 공부한 동방삭
② 陳思七步 진사왕 조식의 <칠보시>
290. 劉寵一錢, 廉范五袴
① 劉寵一錢 부로들이 유총에게 바친 동전 한 닢
② 廉范五袴 바지 다섯 벌을 입을 수 있게 한 염범
291. 氾毓字孤, ?鑒吐哺
① 氾毓字孤 고아를 아들로 키운 범육
② ?鑒吐哺 밥을 얻어 조카들을 키워낸 치감
292. 苟弟轉酷, 嚴母掃墓
① 苟弟轉酷 갈수록 더욱 잔혹하게 변해가는 구희의 아우
② 嚴母掃墓 돌아가 아들이 묻힐 묘지를 청소한 엄연년의 모친
293. 洪喬擲水, 陳泰?壁
① 洪喬擲水 편지를 모두 물에 던지고 떠난 은홍교
② 陳泰?壁 뇌물을 모두 벽에 걸어둔 진태
294. 王述忿?, 荀粲惑溺
① 王述忿? 분함을 참지 못하는 성격의 왕술
② 荀粲惑溺 아내에게 폭 빠진 순찬
295. 宋女愈謹, 敬美猶績
① 宋女愈謹 더욱 삼감을 다하는 송나라 포녀종
② 敬美猶績 베를 짜며 자식을 훈계한 강경
296. 鮑照篇翰, 陳琳書檄
① 鮑照篇翰 포조가 보낸 한 장의 편지
② 陳琳書檄 격문에 뛰어난 진림
297. 浩浩萬古, 不可備甄.
끝없이 오랜 세월의 모든 책을 다 갖추어 가려 읽을 수는 없다
298. 芟煩?華, 爾曹勉?
번잡한 것은 잘라버리고 꽃다운 것만 주워모았으니 너희들은 더욱 힘쓰기 바란다

○ 부록
1. ≪蒙求≫序 (趙郡) 李華
2. 薦≪蒙求≫表 (饒州刺史) 李良
3. ≪蒙求補注≫序 徐子光
4. ≪蒙求集注≫ 提要 四庫全書 子部(11) 類書類
5. ≪蒙求≫ <四庫全書總目提要>
6. ≪蒙求≫?≪四庫韻對≫辨證說 (朝鮮) 李圭景 ≪五洲衍文長箋稿≫
7. ≪補註蒙求國字解≫序 (日) 松正楨周之父(題)
8. <蒙求標疏例言> (日) 佐佐木?(題)
9. <蒙求箋註例引> (日) 岡白?
10. ≪蒙求≫ ≪郡齋讀書志≫ 宋 晁公武

저자소개

이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당나라 때 사람으로 개원의 치세로 유명한 현종 밑에서 조세창고와 시장 관리를 맡는 사마창참군이라는 말직에 있었으나 곧 사직하고, 고향 요주 땅에서 후학을 가르치며 일생을 보냈다. 『몽구』는 당시의 교과서로, 후에 천자에 의해 일반 백성의 훈육서로 채택되면서 중국 역사상 가장 널리, 가장 오랫동안 읽힌 도덕 교과서가 되었다.
펼치기
임동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호: 茁浦, 莎浦, 負郭齋, 醉碧軒, 雪潭齋, 酉蝸廬 - 1949년 慶北 榮州 茁浦(上茁)에서 출생. - 忠北 丹陽 德尙골에서 성장. - 丹陽初(1964), 丹陽中(1967) 卒業. - 京東高(1970), 서울敎大(1972), 國際大(1974), 建國大 대학원(1977) 졸업. - 雨田 辛鎬烈 선생에게 다년간 漢學 배움. - 臺灣 國立臺灣師範大學 國文硏究所(大學院) 博士班(1978-1983) 졸업. - 中華民國 國家文學博士(1983) - 前 建國大 敎授, 敎務處長, 文科大學長 등 역임. - 成均館大, 延世大, 高麗大, 外國語大, 서울대 등 大學院 강의 역임. - 韓國中語中文學會, 韓國中國言語學會, 中國語文學硏究會, 韓中言語文化硏究會, 第二外國語活性化推進委員會 등 會長 역임. - 2015년 2월 정년퇴임. - 現 建國大 名譽敎授. - 현 HSK 한국위원회 고시위원장. - 저서: ≪朝鮮譯學考≫(中文), ≪中國學術槪論≫, ≪中韓對比語文論≫. - 편역서: ≪수레를 밀기 위해 내린 사람들≫, ≪栗谷先生詩文選≫. - 역서: ≪漢語音韻學講義≫, ≪廣開土王碑硏究≫, ≪東北民族源流≫, ≪龍鳳文化源流≫, ≪論語心得≫, ≪一分蒙求≫(申翼熙), ≪논어의 힘≫ 등 다수. - 논문: 『서울(首爾) 地名淵源考』, 『漢語零聲母硏究』, 『標音機能漢字語(連綿語)硏究』, 『頭音法則의 問題點 考察』, 『四書集註 音註 硏究』 등 60여 편. - 역주서: 300여권 역주 출간. - 현재 유튜브 『부곽재TV』(負郭齋) 東洋古典 등 雜學 送出. 유튜버로 활동.(현재 ≪논어≫, ≪천자문≫, ≪삼자경≫ 완료. 명시감상, 세시풍속, 중국역사 등 특강 중)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