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당시삼백수 3

당시삼백수 3

손수 (엮은이), 임동석 (옮긴이)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800원 -10% 2,500원
600원
12,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개 8,4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당시삼백수 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당시삼백수 3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88949706399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0-12-12

책 소개

청나라 때 손수라는 사람이 당시를 수집하여 기초적인 분류로 편집한 책이다. 중국문학사상 최고 발명품으로 칭송되는 당시―주제는 광범위한 범위로 고르게 분포하고 있으며 작품성보다는 각 분야의 대표작이라 여겼던 시들을 안배 기준에 따라 선정한 것이다.

목차

093 당시삼백수3/3

≪唐詩三百首≫ 卷六

七言律詩
160: <黃鶴樓> 崔顥
황학루
161: <行經華陰> 崔顥
여행 중 화음을 지나며
162: <望?門> 祖詠
계문을 바라보며
163: <九日登望仙臺呈劉明府> 崔曙
중양절 망선대에 올라 현령 유용에게 드림
164: <送魏萬之京> 李?
위만이 서울로 감을 전송하며
165: <登金陵鳳凰臺> 李白
금릉의 봉황대에 올라
166: <送李少府貶峽中王少府貶長沙> 高適
협중으로 좌천되는 이소부와 장사로 좌천되는 왕소부를 전송하며
167: <奉和賈至舍人早朝大明宮之作> 岑參
사인 가지의 <조조대명궁> 시를 받들어 화답하여 지음
168: <和賈舍人早朝大明宮之作> 王維
가사인의 <조조대명궁> 시에 화답하여 지음
169: <奉和聖制從蓬萊向興慶閣道中留春雨中春望之作應制> 王維
임금의 <봉래궁에서 흥경각으로 가는 도중 봄비 가운데 머물러 봄을 바라보다>의 작품에 받들어 화답하여 응제함
170: <積雨輞川莊作> 王維
긴 장마에 망천의 별장에서 지음
171: <酬郭給事> 王維
곽급사에게 화답함
172: <蜀相> 杜甫
촉의 재상 제갈량
173: <客至> 杜甫
손님이 오셨네
174: <野望> 杜甫
광야에서
175: <聞官軍收河南河北> 杜甫
관군이 하남 하북을 수복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176: <登高> 杜甫
산에 올라
177: <登樓> 杜甫
누대에 올라
178: <宿府> 杜甫
막부에서 자면서
179: <閣夜> 杜甫
서각에서의 밤
180-1: <詠懷古跡> 五首(1) 杜甫
옛 고적을 회고하며 읊음(1) 유신庾信
180-2: <詠懷古跡> 五首(2) 杜甫
옛 고적을 회고하며 읊음(2) 송옥宋玉
180-3: <詠懷古跡> 五首(3) 杜甫
옛 고적을 회고하며 읊음(3) 왕소군王昭君
180-4: <詠懷古跡> 五首(4) 杜甫
옛 고적을 회고하며 읊음(4) 유비劉備
180-5: <詠懷古跡> 五首(5) 杜甫
옛 고적을 회고하며 읊음(5) 제갈량諸葛亮
181: <江州重別薛六柳八二員外> 劉長卿
강주에서 설육과 유팔 두 원외랑을 거듭 이별하며
182: <長沙過賈誼宅> 劉長卿
장사에서 가의의 고택을 지나며
183: <自夏口至鸚洲夕望岳陽寄源中丞> 劉長卿
하구로부터 앵무주에 이르러 저녁에 악양성을 바라보며 원중승에게 부침
184: <贈闕下裴舍人> 錢起
궐하 배사인에게 드림
185: <寄李??元錫> 韋應物
이담과 원석에게 부침
186: <同題仙游觀> 韓?
선유관을 두고 함께 제목삼아
187: <春思> 皇甫?
봄날에
188: <晩次鄂州> 盧綸
저녁 늦어 악주에 머물면서
189: <登柳州城樓寄?汀封連四州刺史> 柳宗元
유주 성루에 올라 장주, 정주, 봉주, 연주 네 주의 자사에게 부침
190: <西塞山懷古> 劉禹錫
서새산에서의 회고
191-1: <遣悲懷> 三首(1) 元?
슬픈 회포를 보냄(1)
191-2: <遣悲懷> 三首(2) 元?
슬픈 회포를 보냄(2)
191-3: <遣悲懷> 三首(3) 元?
슬픈 회포를 보냄(3)
192: <自河南經亂, 關內阻飢, 兄弟離散, 各在一處. 因望月有感, 聊書所懷, 寄上浮梁大兄, 於潛七兄, 烏江十五兄, 兼示符離及下?弟妹> 白居易
하남은 난을 겪음으로부터 관내가 막혀 굶주리고, 형제들은 흩어져 각각 따로 있게 되었음. 이에 달을 보고 느낌이 있어 애오라지 소회를 써서 부량의 큰형과 어잠의 일곱 번째 형, 그리고 오강의 열다섯 번째 형에 부치고 아울러 부리 및 하구의 제매에게 보임
193: <錦瑟> 李商隱
금슬
194: <無題> 李商隱
제목 없이
195: <隋宮> 李商隱
수나라 궁궐
196-1: <無題> 二首(1) 李商隱
무제(1)
196-2: <無題> 二首(2) 李商隱
무제(2)
197: <籌筆驛> 李商隱
주필역
198: <無題> 李商隱
무제
199: <春雨> 李商隱
봄비
200-1: <無題> 二首(1) 李商隱
무제(1)
200-2: <無題> 二首(2) 李商隱
무제(2)
201: <利州南渡> 溫庭筠
이주의 남쪽 나루
202: <蘇武廟> 溫庭筠
소무 사당
203: <宮詞> 薛逢
궁사
204: <貧女> 秦韜玉
가난한 처녀

七律?樂府
205: <獨不見> 沈全期
그리워도 만나지 못함

≪唐詩三百首≫ 卷七

五言絶句
206: <鹿柴> 王維
사슴우리
207: <竹里館> 王維
대숲 속의 정자
208: <送別> 王維
송별
209: <相思> 王維
그리움
210: <雜詩> 王維
잡시
211: <送崔九> 裴迪
최구를 보내며
212: <終南望餘雪> 祖詠
종남산 잔설을 바라보며
213: <宿建德江> 孟浩然
건덕강에 자면서
214: <春曉> 孟浩然
봄 새벽잠
215: <夜思> 李白
깊은 밤 고향 생각
216: <怨情> 李白
원망의 정
217: <八陣圖> 杜甫
팔진도
218: <登?雀樓> 王之渙
관작루에 올라
219: <送靈澈> 劉長卿
영철 스님을 보내며
220: <彈琴> 劉長卿
칠현금 연주 소리
221: <送上人> 劉長卿
상인을 보내며
222: <秋夜寄邱員外> 韋應物
가을 밤 원외랑 구단에게 보냄
223: <聽箏> 李端
아쟁소리 들으며
224: <新嫁娘> 王建
새색시
225: <玉臺體> 權德輿
옥대체
226: <江雪> 柳宗元
눈 내린 강
227: <行宮> 元?
행궁
228: <問劉十九> 白居易
유십구에 질문함
229: <何滿子> 張祜
하만자
230: <登樂游原> 李商隱
낙유원에 올라
231: <尋隱者不遇> 賈島
은자를 찾아갔다가 만나지 못함
232: <渡漢江> 李頻
한강을 건너며
233: <春怨> 金昌緖
봄의 원망
234: <哥舒歌> 西鄙人
가서의 노래

五絶?樂府
235-1: <長干行> 二首(1) 崔顥
장간의 노래(1)
235-2: <長干行> 二首(2) 崔顥
장간의 노래(2)
236: <玉階怨> 李白
옥계원
237-1: <塞下曲> 四首(1) 盧綸
새하곡(1)
237-2: <塞下曲> 四首(2) 盧綸
새하곡(2)
237-3: <塞下曲> 四首(3) 盧綸
새하곡(3)
237-4: <塞下曲> 四首(4) 盧綸
새하곡(4)
238: <江南曲> 李益
강남곡

≪唐詩三百首≫ 卷八

七言絶句
239: <回鄕偶書> 賀知章
고향에 돌아와 우연히 지음
240: <桃花溪> 張旭
도화계
241: <九月九日憶山東兄弟> 王維
중양절 산동의 형제를 그리워함
242: <芙蓉樓送辛漸> 王昌齡
부용루에서 신점을 보내며
243: <閨怨> 王昌齡
규방의 원망
244: <春宮怨> 王昌齡
봄날 궁녀의 한
245: <凉州曲> 王翰
양주의 노래
246: <送孟浩然之廣陵> 李白
맹호연을 광릉으로 보내며
247: <下江陵> 李白
강릉으로 내려오다
248: <逢入京使> 岑參
서울로 들어가는 사신을 만나
249: <江南逢李龜年> 杜甫
강남에서 이구년을 만나
250: 韋應物
저주 서쪽의 석간수
251: <楓橋夜泊> 張繼
풍교에 배를 대고 밤을 보내며
252: <寒食> 韓?
한식
253: <月夜> 劉方平
달밤
254: <春怨> 劉方平
원망스러운 봄
255: <征人怨> 柳中庸
원정 군인의 원망
256: <宮詞> 顧況
궁사
257: <夜上受降城聞笛> 李益
밤에 수항성에 올라 피리 소리를 들으며
258: <烏衣巷> 劉禹錫
오의항
259: <春詞> 劉禹錫
춘사
260: <宮詞> 白居易
궁사
261: <贈內人> 張祜
내인에게
262-1: <集靈臺> 二首(1) 張祜
집령대(1)
262-2: <集靈臺> 二首(2) 張祜
집령대(2)
263: <題金陵渡> 張祜
금릉나루를 노래함
264: <宮中詞> 朱慶餘
궁중사
265: <近試上張水部> 朱慶餘
시험이 가까워 옴에 장적에게 올림
266: <將赴吳興登樂游原> 杜牧
장차 오흥에 부임하면서 낙유원에 올라
267: <赤壁> 杜牧
적벽
268: <泊秦淮> 杜牧
진회에 배를 대고
269: <寄揚州韓綽判官> 杜牧
양주 판관 한작에게 보냄
270: <遣懷> 杜牧
회포를 날려 버림
271: <秋夕> 杜牧
가을 저녁
272-1: <贈別> 二首(1) 杜牧
이별하면서 드림(1)
272-2: <贈別> 二首(2) 杜牧
이별하면서 드림(2)
273: <金谷園> 杜牧
금곡원
274: <夜雨寄北> 李商隱
비 내리는 밤에 북쪽에 부침
275: <寄令狐郞中> 李商隱
낭중 영호도에게 부침
276: <爲有> 李商隱
모두 다 갖고 나니
277: <隋宮> 李商隱
수나라 궁궐
278: <瑤池> 李商隱
요지
279: <嫦娥> 李商隱
항아
280: <賈生> 李商隱
가의
281: <瑤瑟怨> 溫庭筠
요슬에 맺힌 한
282: <馬嵬坡> 鄭?
마외파
283: <已?> 韓?
이윽고 시원해진 날씨
284: <金陵圖> 韋莊
금릉을 그린 그림
285: 陳陶
농서의 노래
286: <寄人> 張泌
그녀에게 부침
287: <雜詩> 無名氏
잡시

七絶?樂府
288: <渭城曲> 王維
위성곡
289: <秋夜曲> 王維
가을밤의 노래
290: <長信怨> 王昌齡
장신궁의 한
291: <出塞> 王昌齡
변새로 나서며
292-1: <淸平調> 三首(1) 李白
청평조(1)
292-2: <淸平調> 三首(2) 李白
청평조(2)
292-3: <淸平調> 三首(3) 李白
청평조(3)
293: <出塞> 王之渙
변새로 나서며
294: <金縷衣> 杜秋娘
금실로 수놓은 옷

저자소개

손수 (엮은이)    정보 더보기
호는 형당퇴사蘅塘退士. 강소성 무석無錫 사람이다. 어려서 수도로 들어가 국자감國子監에서 수학했고 청나라, 건륭乾隆 9년(1744) 향시에 급제했다. 건륭 11년 강소성 상원현上元縣(지금의 강녕江寧) 학교의 교유教諭로 부임했다. 건륭 16년 진사에 급제하여, 순천부順天府 대성현大城縣 지현知縣, 순천부 직할 노룡현盧龍縣 지현, 산동성山東 추평현鄒平縣 지현, 강녕부江寧府 학교의 교수教授 등을 역임했다. 건륭 25년과 건륭 27년에 추평현 향시를 주관했다. 건륭 28년(1763) 『당시삼백수唐詩三百首』 집필에 착수하여 이듬해 간행했다. 건륭 43년(1778) 고향인 무석에서 별세했다.
펼치기
임동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호: 茁浦, 莎浦, 負郭齋, 醉碧軒, 雪潭齋, 酉蝸廬 - 1949년 慶北 榮州 茁浦(上茁)에서 출생. - 忠北 丹陽 德尙골에서 성장. - 丹陽初(1964), 丹陽中(1967) 卒業. - 京東高(1970), 서울敎大(1972), 國際大(1974), 建國大 대학원(1977) 졸업. - 雨田 辛鎬烈 선생에게 다년간 漢學 배움. - 臺灣 國立臺灣師範大學 國文硏究所(大學院) 博士班(1978-1983) 졸업. - 中華民國 國家文學博士(1983) - 前 建國大 敎授, 敎務處長, 文科大學長 등 역임. - 成均館大, 延世大, 高麗大, 外國語大, 서울대 등 大學院 강의 역임. - 韓國中語中文學會, 韓國中國言語學會, 中國語文學硏究會, 韓中言語文化硏究會, 第二外國語活性化推進委員會 등 會長 역임. - 2015년 2월 정년퇴임. - 現 建國大 名譽敎授. - 현 HSK 한국위원회 고시위원장. - 저서: ≪朝鮮譯學考≫(中文), ≪中國學術槪論≫, ≪中韓對比語文論≫. - 편역서: ≪수레를 밀기 위해 내린 사람들≫, ≪栗谷先生詩文選≫. - 역서: ≪漢語音韻學講義≫, ≪廣開土王碑硏究≫, ≪東北民族源流≫, ≪龍鳳文化源流≫, ≪論語心得≫, ≪一分蒙求≫(申翼熙), ≪논어의 힘≫ 등 다수. - 논문: 『서울(首爾) 地名淵源考』, 『漢語零聲母硏究』, 『標音機能漢字語(連綿語)硏究』, 『頭音法則의 問題點 考察』, 『四書集註 音註 硏究』 등 60여 편. - 역주서: 300여권 역주 출간. - 현재 유튜브 『부곽재TV』(負郭齋) 東洋古典 등 雜學 送出. 유튜버로 활동.(현재 ≪논어≫, ≪천자문≫, ≪삼자경≫ 완료. 명시감상, 세시풍속, 중국역사 등 특강 중)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