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88949706412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10-12-12
책 소개
목차
095 천가시2/2
卷三 : 七絶(七言絶句)-이어서
124: <春暮遊小園> 봄 저녁 작은 정원에서 놀며(王淇)
125: <鶯梭> 꾀꼬리 북(劉克莊)
126: <暮春卽事> 늦봄에(葉采)
127: <登山> 등산(李涉)
128: <蠶婦吟> 누에치는 부인의 노래(謝枋得)
129: <晩春> 늦은 봄(韓愈)
130: <傷春> 봄의 애처로움(楊萬里)
131: <送春> 봄을 보내며(王令)
132: <三月晦日送春> 삼월 그믐날 봄을 보내며(賈島)
133: <客中初夏> 나그네 길의 초여름(司馬光)
134: <有約> 약속이 있었네(趙師秀)
135: <初夏睡起> 초여름 낮잠에서 깨어나(楊萬里)
136: <三衢道中> 삼구를 지나는 길에(曾幾)
137: <卽景> 눈앞에 펼쳐진 경물(朱淑貞)
138: <夏日> 여름날(戴復古)
139: <晩樓閒坐> 늦게 누대에 올라 한가히 앉아(黃庭堅)
140: <山居夏日> 산중의 여름 생활(高騈)
141: <田家> 농가(范成大)
142: <村莊卽事> 농촌 생활(翁卷)
143: <題榴花> 석류꽃을 노래함(韓愈)
144: <村晩> 농촌 저녁(雷震)
145: <茅?> 초가집 처마(王安石)
146: <烏衣巷> 오의향(劉禹錫)
147: <送使安西> 안서로 사신가는 친구를 보내며(王維)
148: <題北?碑> 북사의 비석을 노래함(李白)
149: <題淮南寺> 회남사를 읊음(程顥)
150: <秋月> 가을달(程顥)
151: <七夕> 칠석(楊朴)
152: <立秋> 입추(劉翰)
153: <七夕> 칠석(杜牧)
154: <中秋> 중추(蘇軾)
155: <江樓有感> 강가 누대에 올라(趙?)
156: <西湖> 서호(林升)
157: <西湖> 서호(楊萬里)
158: <湖上初雨> 호수에서 비를 만남(蘇軾)
159 <入直> 숙직에 들며(周必大)
160: <水亭> 물가의 정자(蔡確)
161: <禁鎖> 궁궐 자물쇠(洪咨?)
162: <竹樓> 대나무 누각(李嘉祐)
163: <直中書省> 중서성에 숙직하며(白居易)
164: <觀書有感> 책을 보며 느낀바 있어(朱熹)
165: <泛舟> 배를 띄움(朱熹)
166: <冷泉亭> 냉천정(林?)
167: <冬景> 겨울 풍경(蘇軾)
168: <楓橋夜泊> 풍교에 배를 대고 밤을 보내며(張繼)
169: <寒夜> 찬 밤(杜?)
170: <霜月> 가을 달(李商隱)
171: <梅> 매화(王淇)
172: <早春> 이른 봄(白玉蟾)
173: <雪梅>(其一) 눈 속의 매화(1)(盧梅坡)
174: <雪梅>(其二) 눈 속의 매화(2)(盧梅坡)
175: <答鍾弱翁> 종약옹에게 답함(牧童)
176: <秦淮夜泊> 밤중에 진회에 배를 대고(杜牧)
177: <歸雁> 돌아가는 기러기(錢起)
178: <題壁> 벽에 쓴 시(無名氏)
卷四 : 七律(七言律詩)
179: <早朝大明宮> 대명궁의 이른 아침 조회(賈至)
180: <和賈舍人早朝> 가사인의 조조시에 화답함(杜甫)
181: <和賈舍人早朝> 가사인의 조조시에 화답함(王維)
182: <和賈舍人早朝> 가사인의 조조시에 화답함(岑參)
183: <上元應制> 정월 대보름 임금의 명에 응해 글을 지음(蔡襄)
184: <上元應制> 정월 대보름 임금의 명에 응해 글을 지음(王珪)
185: <侍宴> 잔치를 모시면서(沈佺期)
186: <答丁元珍> 정원진에게 답함(歐陽修)
187: <揷花吟> 머리에 꽃을 꽂으며(邵雍)
188: <寓意> 뜻에 붙여(晏殊)
189: <寒食> 한식(趙鼎)
190: <淸明> 청명(黃庭堅)
191: <淸明> 청명(高?)
192: <郊行卽事> 교외 나들이(程顥)
193: 그네(僧 惠洪)
194: <曲江對酒>(一) 곡강에서 술을 마주하며(1)(杜甫)
195: <曲江對酒>(二) 곡강에서 술을 마주하며(2)(杜甫)
196: <黃鶴樓> 황학루(崔顥)
197: <旅懷> 나그네 회포(崔塗)
198: <答李?> 이담에게 답함(韋應物)
199: <淸江> 맑은 강(杜甫)
200: <夏日> 여름(張?)
201: <輞川積雨> 망천의 오랜 비(王維)
202: <新竹> 새로 자란 대나무(黃庭堅)
203: <表兄話舊> 이종 사촌과 옛이야기 나누며(竇叔向)
204: <偶成> 우연히 지음(程顥)
205: <遊月殿> 달담 전각에 노닐며(程顥)
206: <秋興>(一) 가을 감흥(1)(杜甫)
207: <秋興>(二) 가을 감흥(2)(杜甫)
208: <秋興>(三) 가을 감흥(3)(杜甫)
209: <秋興>(四) 가을 감흥(4)(杜甫)
210: <月夜舟中> 달밤 배 안에서(戴復古)
211: <長安秋望> 장안의 가을(趙?)
212: <新秋> 가을이 시작되어(杜甫)(?)
213: <中秋> 중추(李朴)
214: <九日藍田會飮> 중양절 남전에서 함께 술을 마시며(杜甫)
215: <秋思> 가을의 상념(陸游)
216: <與朱山人> 주산인에게(杜甫)
217: <聞笛> 젓대 소리 들으며(趙?)
218: <冬景> 겨울 풍경(劉克莊)
219: <冬至> 동지(杜甫)
220: <梅花> 매화(林逋)
221: <自詠> 스스로 읊음(韓愈)
222: <干戈> 전쟁(王中)
223: <歸隱> 은거하리라(陳?)
224: <時事行> 세태를 노래함(杜荀鶴)
225: <送天師> 장천사를 보내며(寧獻王)
226: <送毛伯溫> 모백온을 보내며(明 世宗)
○ 부록
≪운대천가시韻對千家詩≫ 원본影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