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88949947624
· 쪽수 : 398쪽
· 출판일 : 2018-07-31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제1부 한양 역사의 이해와 굴곡
제1장 한양도성 내 공공건설인 준설사업
1. 한양도성 내의 치수정책
2. 태종의 도성 내 하수시설 정비와 물관리 정책
3. 세종의 준천사업 완성
4. 영조의 새로운 개천 준설과 치수
5. 정조대 이후의 개천 준설
6. 국가 공공건설인 청계천 준천사업
제2장 종로구 사직동의 역사?문화적 변천
1. 사직동의 행정변화와 지리적 위치
2. 사직동의 문화와 역사적 인물
3. 사직단의 유래와 역사적 변천
4. 경희궁의 창건과 파괴, 그리고 복원
5. 사직동의 역사지리적 의미
제3장 조선 전기 명나라 사신의 서울 유람과 조선의 대응
1. 외국 사신의 서울 왕래와 숙소 건립
2. 외국 사신의 접대
3. 명나라 사신의 파견과 서울 유람
4. 조선 정부의 대응과 유관 모습
5. 명나라 사신 서울 유람의 역사적 의미
제4장 서울의 명승지와 누정문화
1. 사대부가 꼽은 서울의 명승
2. 서울 산의 명승과 누정
3. 한강의 풍경과 누정
제5장 조선시대 한강의 역할과 물류 이동
1. 한양의 도읍과 한강의 기능
2. 남한강 수로의 관리와 운영
3. 남한강 유역 나루와 창고의 설치
4. 물류의 이동과 지역경제 활성화
5. 남한강 수운의 역사적 의미
제6장 병자호란의 전말과 삼전도비문
1. 병자호란 발생의 배경
2. 병자호란 발생의 초기상황
3. 남한산성에서의 접전과 강화 교섭 진행
4. 조청 양국의 전략 전술 비교
5. 이경석의 삼전도비문 찬술과 그 의미
제7장 고종의 장충단 설립과 역사적 의미
1. 장충단 설립과 규모
2. 장충단제의 폐지와 일제의 훼손
3. 장충단의 배향인물
4. 장충단 설립의 역사적 의미
제2부 16~17세기 한양 지식인의 처세
제1장 한강 정구의 삶과 관직생활
1. 머리말
2. 학문적 맥
3. 관직 진출과 저서 편찬
4. 강원도 관직생활과 운곡 제향
5. 맺음말
제2장 구암 한백겸의 삶과 역사 인식
1. 머리말
2. 선조대의 정치적 변화과정
3. 구암의 가계와 관직생활
4. 역사 인식과 지리서 편찬
5. 맺음말
제3장 택당 이식의 처세와 정치활동
1. 머리말
2. 택당의 가계와 생애
3. 광해군대의 정치상황과 택당의 처세
4. 인조대의 시대상황과 택당의 현실인식
5. 맺음말
제4장 삼연 김창흡의 삶과 정치 역정
1. 머리말
2. 삼연 가문과 생애
3. 삼연 가문의 정치 역정
4. 삼연의 학문 편력과 교유 관계
5. 맺음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