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사 일반
· ISBN : 9788949948881
· 쪽수 : 628쪽
· 출판일 : 2020-04-29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서장
1. 연구의 취지 및 목적
2. 연구방법
3. 선행연구 검토
4. 책의 구성
제1부 착종된 근대 이데올로기와 일본인의 한반도 도래설
제1장 일본인의 한반도 도래설의 추이
1. 머리말
2. 에도시대 고증학자에 의한 도래설
3. 메이지.다이쇼시대의 도래설
4. ‘15년전쟁’기의 한반도 도래설
5. 제2차 세계대전 후의 도래설
6. 일본인의 한반도 도래설의 부활
7. 맺음말
제2장 한국병탄 이전에 제창된 일선동조론
1. 머리말
2. 에도시대의 한반도 도래인 이주설
3. 메이지.다이쇼시대의 일선동조론
4. 일선동조론의 학술성과 이데올로기
5. 맺음말
제3장 쓰다 소키치의 황국사관과 한반도 도래인
1. 머리말
2. 황국사관으로서의 쓰다사학
3. 방법론으로서의 신화 이해의 타당성
4. 숨겨진 목적과 제국주의 이데올로기
5. 한반도 도래인의 흔적 말소
6. 맺음말
제4장 한반도 도래인을 부정한 황국사관?우생학 인류학자
1. 머리말
2. 일본인의 한반도 도래설을 부정한 학설
3. 도래설 부정론의 사상적 배경
4. 도래설 부정론에 대한 학계의 평가
5. 맺음말
제5장 ‘경성학파 인류학’에 의한 일본인의 한반도 도래설
1. 머리말
2. 경성학파 인류학의 학설과 학통
3. 귀환 후의 재건을 향한 태동과 좌절
4. 경성학파 인류학의 학설에 대한 평가
5. 맺음말
제2부 전후 한반도 도래인을 재조명한 인류학자와 그 한계
제6장 가나세키 다케오의 한반도 도래인 재조명
1. 머리말
2. 한반도 도래인의 재조명
3. 우생학 주의자로서의 의혹
4. 한반도 도래인의 인정과 범인류적 인본주의
5. 맺음말
제7장 하니하라 가즈로의 대규모 도래설
1. 머리말
2. 한반도 도래인의 대규모 도래설
3. 하니하라의 한반도 회피 태도
4. 한국을 회피하는 인식 문제
5. 맺음말
제8장 현대 자연인류학자의 한반도 도래인 인식
1. 머리말
2. 조사 대상자와 연구방법
3. 학설 속의 한반도 도래인의 위상
4. 연구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자각
5. 한반도 도래인을 회피하려는 인식
6. 맺음말
제3부 전후 고고학자의 한반도 도래인 연구와 그 한계
제9장 고고학자에 의한 한반도 도래인 인식
1. 머리말
2. 인류학자의 도래설에 대한 부정적 평가
3. 한반도 도래설을 부정하려는 인식
4. 고고학자에 의해 계승된 도리이의 학통
5. 맺음말
제10장 일본 국립역사민속박물관 전시 속의 한반도 도래인
1. 머리말
2. 고고학에 의한 문화 교류를 중시한 리뉴얼 작업
3. 야요이.고훈시대 전시의 주안점
4. 야요이시대의 도래인 전시 내용
5. 고훈시대의 도래인 전시 내용
6. 맺음말
제11장 에가미 나미오의 일본민족과 일본국가 형성설
1. 머리말
2. 에가미의 문명사관
3. 중국 중남부에서 찾은 일본민족의 기원
4. 한반도 북쪽 너머에서 찾은 천황의 기원
5. 한반도 도래인을 회피하는 인식 문제
6. 맺음말
제4부 전후 민족학자들의 도래인에 대한 시각
제12장 오카 마사오의 일본민족문화 형성설
1. 머리말
2. 정치적 행보와 연구 목적 및 방법의 추이
3. 한반도 도래인의 위상 격하
4. 일선동조론을 회피하는 인식
5. 맺음말
제13장 사사키 고메이의 일본문화 형성설
1. 머리말
2. 도래인을 외면한 일본문화 형성설
3. 사사키 설의 배경: 생태학과 비교민족학
4. 한반도 도래인의 과소평가
5. 맺음말
제14장 오바야시 다료의 한일 왕권신화 계통론
1. 머리말
2. 학풍과 신화연구
3. 오바야시가 밝힌 왕권신화의 유사성
4. 시대별 유사성 해석의 추이
5. 천황의 한반도 도래설을 기피하는 인식
6. 맺음말
종장 한반도 도래인에서 고대 한국인으로
1. 머리말
2. 상반된 학통
3. 왜곡된 인식
4. 왜곡된 학설 유형
5. 새로운 접근과 제안
초출일람
참고문헌
Abstract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