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비교공공성으로 본 한국과 일본의 고대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한국고대사 일반
· ISBN : 9791158661687
· 쪽수 : 442쪽
· 출판일 : 2017-04-20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한국고대사 일반
· ISBN : 9791158661687
· 쪽수 : 442쪽
· 출판일 : 2017-04-20
책 소개
세계 인류문명 발전의 시각에서 한국 전통문화의 고유 가치를 발견하고 탐구하고자 기획한 '문명과 가치 총서' 15권. 한국 고대사에서 공공성이 어떻게 인식되고 추구되었는지 살펴보고, 일본 고대사의 사례와 비교 분석한다.
목차
* 총론
1부 비교공공성의 관점에서 본 한국 고대사
• 비교공공성 연구의 관점과 과제
• 고대 한국의 정치와 문화 속에서의 공공성-비교공공성으로 본 한국 고대사
• 고대 한국 정치사에서의 공공성-삼국 통일과 나말여초의 정치 변동에 대한 재조명
• 고대 한국에서의 민주적 전통과 그 정치적 함의-소통과 합의를 통한 공공성
• 고대 한국 윤리사상과 공공성
2부 고대 한국 정치와 문화 속의 공공성
• 홍익인간 사상과 공공성
• 건국신화에 나타난 공공성-주몽과 혁거세 신화를 중심으로
• 화랑도와 풍류도의 공공성
• 연맹국가의 수장에서 공공의 왕으로-신라시대 공공성과 유불 사상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 최남선의 ‘불함문화’적 공공성
• 한사상과 삼일철학의 상관 연동적 공공성
• 안재홍의 조선 정치철학과 공공성-비교공공성으로 본 안재홍의 조선 정치철학론
3부 일본 고대사와 공공성
• 일본 고대 사상 속의 공공성-‘공’과 ‘민’의 정의
• 고대 일본 천황제의 공공성
• 고대 왕권과 선명(宣命)-모토오리 노리나가의 분석을 단서로
• 고층론(古層論)의 재검토-고대 일본의 공공성 연구를 위한 단초로서
• 일본 고대사의 공공성에 관한 시론-비교공공성의 관점으로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