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88950919108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09-06-12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글
한국어판 서문
서문
1. 들어가며
전략실행 / 다양한 전략 및 운영관리 도구의 확산 / 전략기획과 운영적 실행을 통합하는 관리 시스템
전략관리실 / 리더십의 역할:성공적 실행을 위한 필요충분조건
전략실행 프리미엄
2. 전략의 개발
미션, 가치 비전선언문의 확정 / 전략적 분석의 실시
전략의 수립 / 점진적 전략 업데이트 vs. 전환적 전략 업데이트
3. 전략의 기획
전략체계도의 구축 / 성과지표와 목표치의 선정
4. 전략적 이니셔티브: 전략을 활동모드로 전환
전략적 이니셔티브의 선정 / 전략에 대한 자금지원
전략적 이니셔티브에 대한 책임 소재의 설정
5. 조직단위 및 종업원의 정렬
사업부서의 정렬 / 지원부서의 정렬 / 종업원 동기부여
6. 운영의 기획: 프로세스 향상 프로그램의 정렬
핵심프로세스의 향상 / 프로세스 관리의 우선순위 설정 / 대시보드의 활용 / 베스트 프랙티스의 공유
7. 운영의 기획: 매출예측, 자원용량, 다이내믹 예산
예산과 그 너머 / '전략계획'과 '자원용량 계획 및 운영 예산'의 연결
제1단계: 드라이버 기반의 매출기획을 활용한 매출예측 산출
제2단계: 매출예측을 세부적 매출 및 운영계획으로 구체화
제3단계: 자원용량의 예측을 위해 매출 및 운영 데이터를 TDABC 모델에 입력
제4단계: OPEX와 CAPEX에 대한 예측의 개발
제5단계: 제품 고객 채널 지역별 수익성 산정
8. 운영 및 전략 검토회의
운영검토회의 / 전략검토회의
9. 전략 검증 및 조정 회의
전략을 검증해주는 운영적 피드백 / 시간중심 ABC모델(제품 및 고객 수익성)
운영적 연결관계에 대한 통계적 검증 / 전략 검증 및 조정
외부적 데이터와 경쟁 정보의 활용 / 출현 전략
운영과 전략의 연결
10. 전략관리실
왜 OSM이 필요한가
OSM: 설계자, 프로세스 담당자,통합자
OSM의 지위와 인원 구성
주석
감사의 글
리뷰
책속에서
1992년에 저자들은 BSC라는 성과측정 시스템을 세상에 처음으로 소개하였다.. 그 후 우리들은 회사들이 이 기법을 실행하는 것을 도우면서, 그들이 이 성과측정 도구를 전략실행 추진을 위한 새로운 관리시스템의 초석으로 사용하는 것을 주의 깊게 지켜 보았다.(*주2) 우리들은 이 전략관리 시스템 체계를 몇 년간 다듬은 후, 우리의 두 번째 저서인 "전략집중형 조직(The Strategy-Focused Organization)"을 통해 업데이트 된 프레임워크를 발표하였다. 이 프레임워크는 다음과 같은 5가지 관리원칙을 기반으로 구축되었다.
1. 경영진의 리더십을 통해 변화를 활성화 하라.
2. 전략을 '운영적 용어'로 구체화 하라.
3. 조직을 전략에 정렬시켜라.
4. 동기부여를 통해 전략을 '모든 사람들의 일'로 만들라.
5. 전략을 지속적인 프로세스로 만들라.
우리들의 세 번째 저서인 "전략체계도(Strategy Maps)"는 위 원칙 중 제2원칙에 대한 확장연구였다. 우리들은 이 책을 통해 전략을 재무, 고객, 내부 프로세스, 학습과 성장 등 4가지 BSC 관점에 걸친 인과관계들로 연결된 목표로 구체화 해주는 일반적 프레임워크를 발표하였다. 이 프레임워크를 통해 회사들은 프로세스, 사람, 정보기술, 문화 등을 고객 가치명제와 주주 목표를 향해 정렬시킬 수 있었다.
우리들의 네 번째 저서인 "Alignment 정렬"은 제3원칙에 대한 확장연구였다. 우리들은 이 책에서 전략체계도와 BSC를 활용하여 조직단위들(일선 사업부서와 전사적 지원 부서 모두)을 종합적인 전사전략을 향해 정렬시키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
이번 저서 "전략실행 프리미엄(The Execution Premium)"은 바로 이런 연구결과에 대한 보고서라고 할 수 있다. 이번 책을 통해 우리들은, 전략과 운영을 서로 잇는 강력한 연결 관계를 설정함으로써 종업원들의 일상적 운영활동의 초점이 전략목표의 지원에 맞추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할 것이다. 우리들은 단기적 문제의 해결과 주요 운영 프로세스들에 대한 모니터링을 주 의제로 하는 <운영검토회의>와 전략실행의 리뷰와 향상을 주 의제로 하는 <전략검토회의>를 서로 확실히 구분하는 새로운 경영 검토회의 체계를 도입하였다.
이 책을 집필하기 위해 제5원칙에 대한 베스트 프랙티스들을 문서화 하는 과정에서 우리들은 전략과 운영을 서로 연결해주는 모든 요소들을 갖춘 종합적인 관리시스템을 구상하였다. 이 시스템에는 우리들의 이전 4개 저서들의 내용과 기타 최근의 혁신적 관리 개념들(전략개발, 운영적 관리와 프로세스 향상, 활동기준 원가계산,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그 외 기타 주요 분석기법 등)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집대성 되었다. 이 책에서 설명될 이 순환형 관리시스템은 <운영적 수행의 탁월성>과 <전략적 우선순위와 비전>을 서로 연결하고자하는 회사들의 모든 염원을 충족시켜주는 '최종적인 종착역'이라고 볼 수 있다. - 13~15쪽 중에서
우리들의 전략 개발 및 기획 접근법의 특징은 전략체계도를 구조적 프레임워크로 사용한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전략개발 접근법들은 전략의 기대 결과물에 그 초점을 맞춘다. 예를 들어, 전략은 고객 니즈의 만족을 위해 조직이 제공해야 할 고객 가치명제, 그리고 조직이 경쟁해야 할 틈새시장 등을 묘사한다. 하지만 이 가치명제 선언문은 그것이 어떻게 성취될 것인지에 대한 답을 주진 못한다. 널리 일반화 되어 있는 대부분의 비즈니스 전략 접근법들은 '무엇을?'은 정의해 주지만 '어떻게?'는 정의해주지 못한다. 하지만, 완벽한 전략은 이 '무엇을?'과 '어떻게?' 두가지 모두, 즉 필자들의 용어를 빌자면 <기대 결과물>과 <결과물을 추진하는 동인> 두가지 모두를 정의할 수 있어야 한다.
전략체계도 구조는 전략의 설계와 실행을 위한 종합적이고 논리적인 프레임워크를 제공해 준다. 전략체계도는 전략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효과적인 전략실행을 성취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획기적인 관리방식이다. - 143쪽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