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에센셜

에센셜

피터 드러커, 존 P. 코터, 클레이튼 M. 크리스텐슨, 로버트 S. 캐플런, 마이클 포터, 게리 해멀, 데이비드 P. 노튼, 다니엘 골먼, C. K. 프라할라드, 마이클 오버도프, 토마스 데이븐포트, 로사베스 모스 켄터, 테오도어 레빗 (지은이), 윤원섭, 오재현, 이한나, 소하영, 이덕주, 김재진, 김영주 (옮긴이)
매일경제신문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에센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에센셜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경영 사상가 20인] > 피터 드러커
· ISBN : 9791155423752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15-12-15

책 소개

세계가 인정하는 경영의 구루 피터 드러커, 세계적인 심리학자이자 가장 영향력 있는 경영사상가 중 한 사람인 다니엘 골먼을 비롯, 명실공이 하버드비즈니스스쿨 명예교수이자 하버드비즈니스리뷰 전 편집장인 테오도르 레빗 등 ‘대가’의 수식이 아깝지 않은 세계 석학들의 생각을 한 데 엮었다.

목차

LESSON 01 Meeting the Challenge of Disruptive Change
전복적 변화에 대처하기
- 클레이튼 M. 크리스텐슨, 마이클 오버도프

LESSON 02 Competing on Analytics
분석 경쟁
- 토마스 H. 데이븐포트

LESSON 03 Managing Oneself
자기경영
- 피터드러커

LESSON 04 What Makes a Leader?
무엇이 리더를 만드는가?
- 다니엘 골만

LESSON 05 Putting the Balanced Scorecard to Work
균형성과표 활용하기
- 로버트 S. 캐플란, 데이비드 P. 노튼

LESSON 06 Innovation: The Classic Traps
혁신: 성공 경험의 함정
- 로사베스 모스 켄터

LESSON 07 Leading Change: Why Transformation Efforts Fail
변화 이끌기: 왜 변화 노력은 실패하는가
- 존 코터

LESSON 08 Marketing Myopia
근시마케팅
- 테오도어 레빗

LESSON 09 What is Strategy?
전략
- 마이클 E. 포터

LESSON 10 The Core Competence of the Corporation
기업의 핵심역량
- C.K. 프라할라드 & 개리 하멜

저자소개

피터 드러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대를 앞서가는 경영철학과 미래사회에 대한 탁월한 통찰력으로 널리 알려진 피터 드러커는 1909년 11월 오스트리아 빈에서 공무원인 아버지와 의사인 어머니 사이에 장남으로 태어났다. 1920년에 독일 함부르크로 건너갔고, 후에 프랑크푸르트로 옮겨 일간지 프랑크푸르트 제너럴 엔자이저의 고위 편집담당자로 일하며 야간에는 프랑크푸르트대학교 박사과정을 다녔다. 1932년 프랑크푸르트대학교에서 국제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의 주요 연구들이 나치로부터 출간 금지와 분서 조치를 당하면서, 영국으로 이주하여 금융기관에서 일하며 집필활동을 하다가, 1937년 미국으로 이주하게 되었다. 1939년 영국에서부터 준비한 《경제인의 종말》을 미국에서 출간하고, 《산업사회의 미래》를 이어서 출간하면서 미국 사회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1940년대 사라로렌스대학교, 베닝턴대학교 등에서 경제학, 정치학, 철학 등을 가르쳤다. 1944년 GM을 연구할 기회를 얻게 되어, 그 결과물로 《기업의 개념》을 발간하면서 본격적으로 경영학을 체계화하는 작업에 몰두하기 시작했다. 1950년 뉴욕대학교 경영대학원에 합류하여 경영학을 연구하고 강의 및 컨설팅하게 되었다. 이때 집필한 《경영의 실제》는 경영자 교육의 교본 역할을 했고, 20년간 경영교육과 컨설팅을 체계화하고 저술을 발표하면서 경영을 실행과 학문으로 정립했다. 1971년 클레어몬트 그레주에이트대학교로 옮겨 2002년 강의를 은퇴할 때까지 총 39권의 저서를 출간했고, 수많은 논문을 쓰고 컨설팅했다. 경영학의 대부이자 세계 5대 컨설턴트이며, 사회변혁을 선도하는 사회생태학자인 피터 드러커는 후대에 기억될 학자, 저자, 컨설턴트로서 여전히 위업과 지혜로 세인들에게 기억되고 있다.
펼치기
존 P. 코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하버드 경영대학원의 명예교수이자 리더십 및 변화관리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 MIT와 하버드를 졸업하고, 1980년 불과 33세라는 젊은 나이에 교수로 발탁되어 ‘하버드 역사상 최연소 교수 임명’이라는 영광스러운 기록을 세웠다. 「하버드비즈니스리뷰(HBR)」를 통해 발표한 논문이 25년 동안 150만 부 이상 판매되었으며, 경영대학 교과과정 혁신으로 엑손 상(Exxon Award), 가장 우수한 HBR 논문으로 맥킨지 상 등을 수상했다. 또한 비즈니스 리더십 분야를 새로 개척한 공로를 인정받아 존슨 스미스 & 킨슬리 상(Johnson, Smith & Kinsley Award)을 수상했으며, 2006년에는 리더십 및 경영학 발전에 공헌한 것을 인정받아 맥필리 상(McFeely Award) 수상자로 선정됐다. 「비즈니스위크」가 ‘미국에서 가장 훌륭한 리더십의 대가’로 지칭하기도 했던 그는 지금도 하버드를 비롯해 전 세계를 망라한 각종 최고경영자 모임에서 강연활동을 하며, 기업의 성공적인 경영혁신을 돕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기업이 원하는 변화의 리더』 『기업이 원하는 변화의 기술』 『리더십의 요소』 『힘과 영향력』 『기업문화와 그 운용』 『변화관리』 등이 있다.
펼치기
클레이튼 M. 크리스텐슨 (지은이)    정보 더보기
파괴적 혁신 이론의 주창자이자 최고 권위자. 기술 이노베이션, 신기술을 이용한 시장 개척의 문제점, 조직 역량의 진단과 개발에 초점을 맞춘 명강의로 유명하다. 『혁신기업의 딜레마』 등 파괴적 이노베이션 이론을 다룬 저서들이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세계적 경영사상가로 명성을 얻었다. 브리검영대학과 옥스퍼드대학에서 경제학을 전공했다. 하버드경영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1992년부터 하버드대학에서 가르쳤다. 보스턴컨설팅그룹에서 컨설턴트로 일했고, 매사추세츠공과대학 교수들과 함께 신소재 개발회사 CPS테크놀로지스를 세워 회장을 지냈으며, 제자들과 함께 컨설팅회사 이노사이트와 벤처캐피털회사 이노사이트벤처스 등을 세워 경영했다. 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 재임 시절에 백악관 정책연구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서 가장 훌륭한 논문을 써낸 저자에게 수여하는 맥킨지상을 5회 수상했다. 경영학계의 오스카상이라 불리는 〈싱커스 50〉이 선정한 세계 최고 경영사상가 50인에 2회 연속 이름을 올렸다. 국내에 그의 저서 중 『파괴적 혁신 4.0』 『혁신기업의 딜레마』 『이노베이터 DNA』 등이 번역되어 호평을 받은 바 있다. 2020년 1월 23일 향년 67세로 별세했다.
펼치기
로버트 S. 캐플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캔자스 주립대학교를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경영학석사 학위(MBA)를 받았다. 하버드 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졸업생 상위 5퍼센트에게 수여하는 베이커 스콜라(Baker Scholar)를 수상할 정도로 뛰어난 인재였으며, 1990년에 골드만삭스에 입사해 골드만삭스 투자은행 글로벌 공동 대표, 아시아 태평양 지부장 등을 거쳐 그룹 부회장으로 승진했다. 국제 금융 시장을 주도하는 골드만삭스에서 리더십과 투자에 대한 풍부한 경험을 쌓으며 경영의 최전선에서 활약한 능력을 인정받아, 2005년 하버드 대학교의 교수로 임용되었다. 글로벌 벤처 사회공헌 기업인 드레이퍼 리처드 캐플런 재단(Draper Richards Kaplan Foundation)의 공동 회장 겸, 하버드 대학교 지속가능성사무소(Sustainability at Harvard) 집행위원회의 공동 회장과 하버드 의대 및 하버드 자산운용회사의 이사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에서 경영 실무 및 리더십 과정을 가르치며, 학생은 물론 많은 현직 리더들에게 영감을 주는 주제로 집필 활동도 활발히 하고 있다. 특히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 실린 ‘리더가 자신에게 던져야 할 질문 What to Ask the Person in the Mirror’과 ‘최대 역량을 발휘하라 Reaching Your Potential’, 세계적 컨설팅 기업 맥킨지 앤드 컴퍼니가 발행하는 경영저널 <맥킨지 쿼터리>에 실린 ‘고위 경영진도 피드백이 필요하다 Top Executives Need Feedback’는 높은 평가를 받았다. 저서로 ≪리더십 탐독(What to Ask the Person in the Mirror)≫, ≪나와 마주서는 용기(What You‘re Really Meant To Do)≫ 등이 있다. 가장 최근작으로 리더의 배움과 실천을 강조하는 최종 단계가 바로 이 책 ≪리더에게 정말 필요한 것(What You Really Need to Lead)≫이다.
펼치기
로버트 S. 캐플런의 다른 책 >
마이클 포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영 전략 분야의 아버지’로 불리며, 피터 드러커와 톰 피터스와 함께 세계 3대 경영 석학으로 평가받고 있다. 프린스턴대학교를 우등으로,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MBA 과정을 최우등으로 마쳤고, 기업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은 뒤 불과 26세에 하버드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이후 35세에는 최연소 정년보장 교수가 되었고, 여섯 차례의 맥킨지상을 비롯해 웰즈 경제학상, 애덤 스미스상, 조지 테리 도서상 등을 받았다. 미국 상무부에서 수여하는 “경제 발전 평생공로상”의 초대 수상자로 선정되기도 했으며, 현재 하버드를 대표하는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수많은 저서와 논문을 발표했으며 그 중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이 책과 <마이클 포터의 경쟁전략>은 여러 국가에서 스테디셀러가 되었다. 이 책에서 제시한 경쟁우위, 가치사슬, 전략적 포지셔닝 등의 개념은 경영학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며 경영 전략의 과학화에 크게 기여했다.
펼치기
게리 해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경영전략가의 한 사람으로, 1983년부터 런던비즈니스스쿨(London Business School)에서 전략 및 국제경영 담당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런던비즈니스스쿨 부설 경영혁신연구소와 컨설팅기업 스트라테고스(Strategos)의 설립자이기도 하다. 「월스트리트저널」은 21세기 최고의 경영 구루(Guru)로 빌 게이츠를 제치고 그를 선택했으며, 「이코노미스트」와 「포천」 역시 그를 ‘세계를 선도하는 경영전략 전문가’로 선정했다. 또한 그는 현대 기업경영에서 잘 알려져 있는 개념인 ‘전략적 의도(Strategic Intent)’와 ‘핵심역량(Core Competence)’ 등의 용어를 창시했으며, 전 세계의 비즈니스 언어와 경영기법 등에 많은 변화를 일으켰다. 명망 있는 경영 콘퍼런스에서 자주 연설하며, CNBC와 CNN 등 주요 미디어 매체에 고정 출연하고 있다. 저서인 『꿀벌과 게릴라Leading the Revolution』와 『코아 컴피턴스 경영혁명Compteing for the Future』(공저)은 20여 개 언어로 번역된 베스트셀러이기도 하다. 그는 최정상에 오기까지 남다른 길을 걸어온 것으로도 유명하다. 일찍이 학계에 몸담았던 그는 정형화된 방법론, 연구 외적인 것에 치중하는 경영학계의 연구 풍토에 회의를 품고서, 직접 현장을 돌아다니며 기업들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고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을 찾기 시작했다. 이렇게 얻은 현장 경험은 그가 시대를 이끌어나가는 비즈니스 철학자가 되는 데 밑거름이 되었다. 게리 해멀은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의 운영위원을 맡고 있기도 하다.
펼치기
데이비드 P. 노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과측정과 조직혁신을 전문으로 하는 컨설팅 회사 르네상스 솔루션Renaissance Solution 사의 대표이다. 놀런, 노튼 앤 컴퍼니Nolan, Norton & Company 사의 공동설립자이기도 하다. 또한 웨세스터 폴리테크닉 인스티튜트Worcestor Polytechnic Institude의 이사이며, ACME(The Association of Consulting Management Engineers)의 이사를 역임하고 있다. 그는 미 국방부의 정보관리에 대한 지원으로 공로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펼치기
데이비드 P. 노튼의 다른 책 >
대니얼 골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세계적인 심리학자이자 하버드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겸임교수를 역임했다. 500만 베스트셀러 《EQ 감성지능》의 저자이며, 《포커스》, 《명상하는 뇌》 등 다양한 책이 국내에 소개되어 있다. 〈뉴욕타임스〉에서 과학 분야의 기사를 담당하고 있으며, 퓰리처상 후보에 두 차례 지명됐다. 또한 미국심리학회의 평생공로상을 수상했으며, 2008년 〈월스트리트저널〉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경영사상가’에 선정되기도 했다. 현재 미국 버크셔주에 거주하고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인터넷 페이지 DanielGoleman.info를 참조 바란다.
펼치기
C. K. 프라할라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영학의 예언자’라는 별칭답게 시대를 앞서는 경영 이론들을 발표하면서 기업의 혁신을 이끌었다. 미시간 대학교 로스경영대학원의 교수로 재직했으며, <타임>은 그를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경영 사상가’로 <비즈니스위크>는 ‘오늘날 비즈니스 전략 분야의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로 평가했다. 저서로는 『기업의 핵심 역량』 『지적 자본 관리』 『기술 혁신을 통한 수익 추구』 등이 있다. 2010년 4월 타계했다.
펼치기
C. K. 프라할라드의 다른 책 >
마이클 오버도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하버드비즈니스스쿨 석좌교수
펼치기
토마스 데이븐포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밥슨대 정보통신경영학과 학과장
펼치기
로사베스 모스 켄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하버드비즈니스스쿨 교수
펼치기
테오도어 레빗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하버드비즈니스스쿨 명예교수, 하버드비즈니스리뷰 전 편집장
펼치기
윤원섭 (옮긴이)    정보 더보기
2003년 〈코리아타임스〉에 입사해 정치부와 경제부에서 근무했다. 2008년 〈매일경제〉로 옮겨 국제부, 지식부, 산업부, 경제부 등을 거쳤다. 서울대학교 불어교육과, 동대학 국제대학원, 미국 미시간대학교 MBA를 졸업했다. 옮긴 책으로는 《개인의 능력을 극대화하는 자기경영》, 《신과 나눈 이야기》 등이 있고, 지은 책으로는 《외국 문화원》, 《컬러풀 아프리카》(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오재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후 미국 미시간대학교(University of Michigan) 글로벌MBA 학위를 취득, 미국공인회계사(AICPA) 시험에 합격했다. 2001년 <매일경제>에 입사해 증권부, 부동산부, 국제부, 문화부 등을 거쳐 현재 경제경영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역서로는 《파이낸셜 리포트에 통달하라》, 《조직을 성공으로 이끄는 변화관리의 기술》 등이 있고, 저서로는 《목돈 만들기 적립식펀드가 최고다》, 《주식투자 IQ 확 높이기》, 《8·31 부동산대책 족집게 해설》 등이 있다. 현재 국가공인 경영경제이해력인증시험인 ‘매경TEST’와 국가공인 경제금융이해력인증시험인 ‘틴매경TEST’, 공공기관 채용컨설팅 기획 및 시행업무를 총괄 관리하며 경제경영연구소를 이끌고 있다.
펼치기
오재현의 다른 책 >
이한나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영어영문학과와 동 대학 국제대학원을 졸업했고, 미국 뉴욕대 스턴스쿨에서 연수했다. 2000년 <매일경제>에 입사해 국제부, 산업부, 사회부, 증권부 등을 거쳐, 현재는 부동산부 차장을 맡고 있다. 디자인경영에 관심이 많다.
펼치기
소하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영어교육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역서로는 공역 <원자 폭탄 :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비밀 프로젝트>, <하버드 머스트 리드 에센셜>, <다빈치에서 인터넷까지>, <성전의 상인들>, <예비 엄마를 위한 임신 출산 행동수칙>, <어떻게 당하지 않고 살 것인가> 등이 있다.
펼치기
이덕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당신의 멋진 미래를 위해” 미라클레터를 쓰고 있습니다. 미래에 대한 낙관이 인간과 인류를 진보로 이끈다고 믿습니다. 현재 매일경제 실리콘밸리 특파원으로 애플 본사 옆 쿠퍼티노에 살고 있습니다. 《저는 ETF가 처음인데요》와 《엔비디아웨이》를 썼습니다. 연세대학교에서 경제학과 국어국문학을 전공했습니다.
펼치기
김재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학생들에게 기업 현장과 실천적 경제 지식을 전파하기 위해 노력하는 저자는 현재 호서대 경학부 조교수로 재직하며 국제경영, 경영전략, 경영 시뮬레이션 등의 강의를 맡고 있다. 고려대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경영학으로 석·박사를 마쳤다. 세종대 겸임교수를 역임했으며 서울대, 고려대, 한국외대 등에서 경제신문을 활용한 경제경 과목들을 가르쳤다. 저서로는 《경제경영 핵심정리》, 《경제와 금융 그렇구나!》, 《어린이 경제교실》이 있으며, 역서로는 ‘하버드 머스트 리드Harvard Must Read’ 시리즈의 《경영전략》편과 다니엘 외 2인이 저술한 《국제경영》이 있다. 현재 매일경제의 〈FunFun한 경영〉을 연재 중이다. 대학 강단에 서기 전에는 매경 경제경연구소 팀장과 글로벌기업 보쉬Bosch 한국 본사에서 OES해외사업 업무를 맡았다. 책임컨설턴트로 다국적기업의 컨설팅 프로젝트를 수행했고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의료산업 해외진출에 대한 자문역도 맡았다. SSCI 저널과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하는 등 왕성한 학술 활동도 하고 있다. 최우수박사학위논문상을 수상했으며 현재 국제전문학회인 유로아시아경영학회EAMSA의 운영이사Board Member를 맡고 있다.
펼치기
김영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미국 에모리대학교에서 미술사를 전공했고, 서울외국어대학원대학교에서 국제회의통역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출판번역 에이전시 베네트랜스에서 전속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옮긴 책으로 《디스 이즈 칸딘스키》, 《디스 이즈 고야》, 《하버드 머스트 리드 에센셜》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 물론 모든 결정을 반드시 분석에 의거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개인적인 문제들은 본능과 경험이 결정의 적절한 근거가 될 때가 많다. 대다수의 조직들은 사원 모집 및 채용에 관한 결정을 내릴 때 반드시 통계 분석을 근거로 삼고 있다. 하지만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인간은 간단한 관찰만으로도 사람의 인격과 성격을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분석적인 정신을 소유한 경영자에게는 언제 숫자에 기대고 언제 육감을 믿어야 할지를 아는 것이 중요한 도전 과제가 된다.

- lesson 02 분석경쟁 中

- 어떤 연구자들은 감성지능이 뛰어난 것은 리더의 특징일 뿐 아니라 좋은 성과를 내는 실제 능력이라는 것을 확인해주기도 했다. 조직행동론의 유명한 연구자인 데이비드 맥클레란의 연구가 대표적인 예다. 1996년 글로벌 음식료업체를 조사한 결과 맥클레란은 관리자가 높은 수준의 감성지능을 보유하고 있을 경우 그가 운영하는 부서는 연간 수익 목표를 20%씩 초과 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감성지능이 낮은 부서 관리자들은 20%정도 성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로운 점은 맥클레란의 분석은 이 회사의 미국 본사만이 아니라 유럽과 아시아 지사에서도 똑같은 결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 lesson 04 무엇이 리더를 만드는가? 中

- 제품 생산 단가가 낮으면 이익은 많아질 가능성이 크다는 맹신은 기업을 약화시킬 수 있고 자기 자신을 기만하는 가장 심각한 생각이다. 특히나 성장 기업은 겉보기에 수요가 당연히 늘어날 것 같으면 마케팅과 소비자의 중요성을 적절히 고려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이 자기 기만이 더욱 위험하다. 소위 이런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좁은 편견은 일반적으로 산업의 상승세 대신 하락세로 나타난다. 이는 보통 제품이 시시각각 변화하는 소비자의 욕구와 입맛이나 새로운 마케팅 기관과 방식 혹은 경쟁사나 다른 산업의 제품 개발에 적응하기를 실패했다는 뜻이다. 그런 산업은 자신의 특정 제품에 너무나 집중한 나머지 그 상품이 노후화되는 것도 알아차리지 못한다.

- lesson 08 근시마케팅 中

- 조화의 두 번째 유형은 기업의 활동들이 서로를 보강해줄 때 나온다. 뉴트로지나는 고급 호텔들을 대상으로 마케팅한다. 이 호텔들은 고객에게 피부과 전문의들이 추천한 고급 비누를 기꺼이 제공하고 싶어 하는 곳들이다. 그들은 다른 비누엔 자신의 이름 넣기를 요구하는 반면에 뉴트로지나에는 고유의 포장을 사용할 수 있는 특권을 주고 있다. 고급 호텔에서 뉴트로지나를 사용해본 고객들은 이후 약국에서나 자신들의 주치의에게 뉴트로지나에 관한 질문을 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뉴트로지나의 의료 마케팅과 호텔 마케팅은 서로를 보강해주며 마케팅의 총비용을 낮추는 작용을 한다.

- lesson 09 전략이란 무엇인가? 中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