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50977863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18-11-05
책 소개
목차
| 추천의 글 | 『2019 한국경제 대전망』,
경제를 넘어 1년 후 한국의 미래를 보다
| 프롤로그 | 한국경제, 외화내빈에서 외우내환으로
PART 1. 2019년 경제 전망: 미국, 일본, 중국, 유럽, 한국
▷▷Introduction
1. 세계가 주목하는 미국의 경제 정책
2. 일본의 통화 정책 변화를 주시하라
3. 개혁개방 40주년의 중국경제, 위기에 처하다
4. 브렉시트를 앞둔 영국과 유럽연합의 전략
5. 2019년 한국경제, 침체기에 접어드나
PART 2. 격변하는 세계 경제: 미중 갈등과 경제 리스크
▷▷Introduction
1. 트럼프 시대의 신보호주의와 세계 통상 질서
2. 미중 무역전쟁 승자는 누구일까
3. 정치적 권위주의 강화 속에 흔들리는 중국의 시장경제
4. 새로운 외환위기를 대비하라
5. 추격지수로 분석한 미중 대결 구도와 한국경제
PART 3. 지속 가능한 복지와 성장: 한국은 유럽형 복지국가 함정을 피할 수 있을 것인가
▷▷Introduction
1. 노동의 유연안정성 개혁을 위한 한국형 제3의 길
2. 복지 수준-조세 부담률-국가 채무의 재정 트릴레마
3. 높아진 의료비 부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4. 급상승한 소득 불평등, 어떻게 극복할까?
5. 지속적 혁신 성장의 길을 찾다
PART 4. 한반도 평화 시대: 북한은 한국경제의
기회의 창인가
▷▷Introduction
1. 북한의 개혁개방 시나리오
2. 북한경제의 시장화 어디까지 와 있나
3. 한반도 신경제 시대 열리나
4. 남북 경협의 핵심 과제, 에너지 산업
5. 북한경제가 다시 일어서기 위한 조건
PART 5. 국내 경제 이슈와 전망: 금융, 부동산,
혁신 성장과 개혁
▷▷Introduction
1. 심각한 가계 부채 문제, 어떻게 해야 하나?
2. 2019년 부동산 정책, 서울과 지방의 간극을 좁혀라
3. 국민연금이 대기업 경영 체질을 바꿀 수 있을까?
4. 문재인 정부의 혁신 성장, 이제부터 시작이다
5. 노동과 경영이 조화를 이루는 노사관계로 체질을 개선하라
PART 6. 혁신 산업과 신성장 동력: 다가올 미래를 대비하라
▷▷Introduction
1.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무엇이 혁신인가
2. 워라밸, 디지털 사회 전환을 위한 핵심 가치가 되다
3. TaaS 시대와 한국 자동차 산업의 미래
4. 순풍에 돛을 단 반도체 산업, 남은 과제는?
PART 7. 중국 및 해외 경제: 새로운 파트너를
찾아라
▷▷Introduction
1. 2019년의 중국, 금융 리스크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인가
2. 중국의 스타트업은 어떻게 유니콘 기업이 되었나
3. 새로운 중국 제조업의 상징, 샤오미
4. 한국의 신남방정책, 베트남과 인도가 몰려온다
| 후주 |
| 저자 소개 |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경기침체는 고통스러우며, 특히 저소득층의 삶을 파고든다. 정부가 손을 놓고 있을 수만은 없는 이유다. 정부의 경기 활성화 정책은 경기 회복의 마중물이 되어 민간의 경제 활동을 자극할 수 있다. (중략)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한국은행이 기준 금리를 인하할 여지는 거의 없으며, 오히려 금리를 올려야 할 처지다. 2018년 9월 현재 한국의 기준 금리는 미국보다 0.75%포인트나 더 낮으며 연말에는 1%포인트까지 벌어질 가능성도 있다. 물론 한국경제가 나쁘고 미국경제가 좋으니 한국 금리가 더 낮은 게 이상한 것은 아니다. 문제는 금리 격차가 너무 크다는 것이다. 한국과 밀접한 신흥국에서 외환위기가 발생할 경우, 외국인 투자가 갑자기 빠져나가면서 외환 시장 불안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_ PART 1. 2019년 경제 전망 | 05 2019년 한국경제, 침체기에 접어드나
미중 무역전쟁의 결말은 어떻게 될 것인가? 미중 무역전쟁의 말로는 상호 완전한 파괴와 제2의 대공항을 촉발할 것인가? 그렇지 않으면 적절한 선에서 서로 봉합될 것인가? 11월 미 중간선거 이후에는 결국 상호 합의하에 미중 분쟁을 봉합하는 시나리오도 생각해볼 수 있다. 하지만 이 시나리오가 미중 간 격렬한 무역전쟁과는 다른 양상으로 다자주의 국제경제 질서에 손상을 입힐 것으로 예상한다. 즉, 양국 간 합의하에 서로의 보호주의적 조치를 눈감아주는 ‘국제 보호주의 카르텔’이 형성될 수 있다.
_ PART 2. 격변하는 세계경제 | 02 미중 무역분쟁 승자는 누구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