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50984175
· 쪽수 : 520쪽
· 출판일 : 2019-11-08
책 소개
목차
| 프롤로그 | 불확실성과 싸우는 2020년 한국경제
PART 1. 2020년 세계경제의 향방은?
▷▷Introduction
1. 불확실성 속의 세계경제, 출구는 있는가?
2. 미국의 경기 침체론, 사실인가 과장인가?
3. 아베노믹스는 정말 일본경제를 구했나?
4. 브렉시트로 인한 혼란에 대비하라
5. 베트남, 중국을 대체하는 글로벌 파트너가 될까?
6. 한국경제, 2020년에는 침체의 끝을 볼 수 있을까?
PART 2. 미중-한일 경제 전쟁의 소용돌이와
한국경제
▷▷Introduction
1. 신냉전이라는 뉴노멀 시대의 세계경제
2. 미중 경제 전쟁과 중국경제 리스크
3. 미중 경제 전쟁에 대처하는 한국의 외줄타기
4. 미중 무역 전쟁, 기술 패권 경쟁의 승자를 가리다
5. 미중 경제 분쟁과 한중 경제 협력
6. 한일 갈등, 극적 타결인가 파국인가?
7. 일본 경제 보복에 대처하는 기술안전망 구축
PART 3. 정부 정책으로 바라보는
2020년 한국경제
▷▷Introduction
1. 소득주도성장과 거시 정책 전망
2. 갈림길의 한국 경제, 혁신성장 정책에 올인할까?
3. 공정경제를 향한 끊임없는 노력과 시도
4. 아직도 갈 길이 먼 고용노동 정책의 미래
5. 정책방향과 국정철학을 보여주는 재정 정책의 방향은?
6. 한국의 복지 정책, 어디로 가고 있나?
7. 한국 사회의 미래를 결정할 키워드, 인구 구조 변화
8. 남북 경제교류의 두 가지 포인트, 비핵화와 개혁개방
PART 4. 금융과 자산 시장 전망:
떨어지는 금리, 커지는 위험
▷▷Introduction
1. 북한의 개혁개방 시나리오
2. 북한경제의 시장화 어디까지 와 있나
3. 한반도 신경제 시대 열리나
4. 남북 경협의 핵심 과제, 에너지 산업
5. 북한경제가 다시 일어서기 위한 조건
PART 5. 2020년 차세대 산업과
한국 기업의 기회
▷▷Introduction
1. 수소 경제, 한국의 미래 산업에 도전하다
2. 국내 반도체 산업은 위기인가?
3. 조용히 밀려오는 인공지능의 쓰나미
4. 2020년 한국 바이오헬스 산업의 재도약
5. 글로벌 흐름에 역행하는 한국의 공유경제
6. 토큰경제 선점을 향한 왕좌의 게임이 시작되다
7. 차세대 에너지 산업의 미래 비전
PART 6. 미래 디지털 사회를 향한 패러다임 전환
▷▷Introduction
1. 새로운 정치 패러다임, 한국정치의 미래를 묻다
2. 디지털 혁신으로 만들어가는 인간 중심 경제
3. 한국 미래 사회 일자리의 비전
4. 블록체인, 분권화된 디지털 금융 시스템
5. 하이터치·하이테크, 대전환 시대의 교육 혁명
6. 데이터와 AI가 주도하는 미래 의료 산업
7. 혼합 현실을 이용한 스마트 시티, 스마트 리빙
| 후주 |
| 저자 소개 |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최근 미중 무역 분쟁으로 인해 베트남은 오히려 다국적 기업의 글로벌 가치사슬 관리 면에서 중국을 대체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대미 수출이 급격히 증가하는 등 그 역할이 확대되고 있는 양상이다. 이러한 추세는 2020년 이후 미중 무역 분쟁이 해결되는 방향에서도 관성 효과로 쉽게 되돌려지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PART 1. 2020년 세계경제의 향방은? I 05 베트남, 중국을 대체하는 글로벌 파트너가 될까?
미국과 중국이 그간 공존할 수 있었던 것은 ‘무역 확대를 통한 중국의 성장이 결국에는 중국의 정치적 자유를 가져올 것’이라는 미국의 신념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그렇기 때문에 미국은 중국의 세계무역기구 가입을 허용했고, 중국을 최종 조립지로 하는 글로벌 가치사슬이 형성되었다. 미국은 그 가치사슬에서 핵심 기술 공급과 최종 소비 시장의 역할을 담당했다. 신냉전의 시작은 그러한 신념 자체가 무너졌음을 의미한다. 기존의 글로벌 가치사슬은 와해될 운명에 처해 있다.
PART 2 미중 -한일 경제 전쟁의 소용돌이와 한국경제 I 01 신냉전이라는 뉴노멀 시대의 세계경제
미중 간 기술 패권 경쟁은 ICT 신기술 분야에 집중되고 있다. 양국 모두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고성능 컴퓨팅(하드웨어) 분야와 인공지능(소프트웨어) 기술에서 세계 최고가 되고자 하고 있다. 화웨이 등 중국 ICT 기업들을 겨냥한 미국의 공세와 이로 인한 기술 분야의 냉전은 단순히 5G, IoT, 빅데이터, 메모리 또는 인공지능으로 통용되는 특정 기술 요소의 따라잡기와 견제에 국한된 것이 아니다.
PART 2 미중 -한일 경제 전쟁의 소용돌이와 한국경제 I 04 미중 무역 전쟁, 기술 패권 경쟁의 승자를 가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