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컴퓨터 공학 > 소프트웨어 공학
· ISBN : 9788997170661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1-11-04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따뜻한 디지털 사회를 지향하며
Ⅰ. 세계 환경 변화와 디지털 패권경쟁
1. 디지털 대전환과 글로벌 통상환경의 변화
2. 글로벌 디지털 패권경쟁과 한국
3. 글로벌 플랫폼 패러다임과 혁신 거버넌스
4. 미·중 디지털 대전: 중국 화웨이 훙멍OS의 전략
5. 지폐 없는 사회와 기축통화 패권을 둘러싼 주요 국가의 디지털 전환 전략
6. ‘양면 시장’ 플랫폼에 대한 중국 정부의 ‘양면성’
Ⅱ. 디지털 전환 시대의 혁신과 경쟁
1. 디지털 전환 시대를 이끌 스타트업이란 무엇인가?
2. 디지털 전환과 기업의 대응 역량
3. 플랫폼 경제로의 진화와 새로운 경쟁의 메커니즘
4. 디지털 혁신을 주도하는 스마트 서비스
Ⅲ. 디지털 시대의 노동과 사회의 변화
1. 디지털 전환은 노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나?
2. 디지털 격차와 갈등, 새로운 사회제도의 필요성
3. 디지토피아와 디스토피아의 갈림길
Ⅳ. 인공지능과 양자컴퓨터의 미래
1. 인공지능, 기대와 우려의 갭을 넘어
2. 인공지능 신뢰 확보 경쟁이 시작되다!
3. 인공지능이 가져오는 사회변화와 우리 교육의 과제
4. 인공지능, 멀티플랫폼 그리고 언스케일드 교육대혁명
5. 디지털 전환의 기로에 선 교육, 혁신이 아니면 죽음을
6. 디지털을 넘어 양자시대를 준비하는 양자컴퓨터
Ⅴ. 메타버스와 신기술 패러다임의 변화
1. 메타버스 혁명(Revolution) 시대를 준비하라
2. 콘텐츠, 가상융합경제의 혈액이 되다
3. 글로벌 경쟁 속에서의 국내 OTT 플랫폼 생태계 진화
4. 블록체인이 만드는 새로운 산업
각주
저자소개
책속에서
벤처기업이 국내의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고자 버둥거리다가 이제 갓 해외에서 실적을 내보려고 하니 법인세, 디지털세, 환경세와 같은 통행세가 기다리고 있어 해외사업이 부담스럽다. 가뜩이나 글로벌 불균형 문제로 국제 경제질서에 균열이 생겼는데, 자국 우선과 보호주의 관점으로 국가에서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나서는 모양새가 불균형을 더 가속화하고 심화시키는 것 같아 우려되는 부분이 있다. 정부는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코칭스태프이지, 시장을 주도하는 선수가 아니다. 이 점을 명심해야 한다.
스타트업은 기존 기업보다 뛰어난 디지털 아키텍트 역량을 무기로 산업을 재정의하는 조직이다. 변화하는 디지털 세상에서 한국이 주도권을 잡기 위해서는 디지털 전환을 이끌 새로운 아이디어를 지닌 퍼스트무버 스타트업이 나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스타트업이 글로벌 유니콘으로 성장한다면, 정체된 기존의 내수 기업에 새로운 자극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디지털 전환이 우리나라를 세계 선도 국가로 이끄는 기회로 작용할 것이다.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기술과 크게 달라지고 있는 노동시장의 현실을 고려할 때 전직 지원, 일자리 찾기와 매칭, 실업수당 개선 등 고용서비스의 대폭 개선과 함께, 평생교육과 직업훈련을 포함한 국가의 과감한 투자와 지출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그동안 정규직 등 사용자에게 고용되어 있는 근로자들을 중심으로 적용되었던 고용보험, 산재보험 등 사회보험과 노동규율제도를 ‘노동하는 사람들(Working People 혹은 노동자)’ 모두에게 확장 적용하는 문제를 본격적으로 논의하고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