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50988739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20-07-08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왜, 런던인가
1. 사우스 뱅크, 모두를 위한 휴식처이자 아지트
- 성공 후 예상외의 답보
- 공동체를 거쳐 문화예술 활성화로
- 걸으며 즐기는 복합 문화예술지구
- 템스강의 발코니
- 모두를 위한 런던의 휴식처이자 아지트
2. 테이트 모던, 삶과 예술을 품은 문화 기지
- 수변과 산업유산의 잠재력
- 역사를 존중한 건축가
- 터빈 홀, 모든 것을 수용하는 무한의 공간
- 미술, 음악 그리고 휴식이 어우러진 외부 공간
- 일상으로 스며든 현대미술관
3. 밀레니엄 브리지, 런던 남북의 진정한 통합을 향해
- 두 런던의 불편한 동행
- 새로운 밀레니엄을 맞이하며
- 건축, 구조, 조각의 하모니
- 하나로 묶인 세인트 폴 대성당과 테이트 모던
- 21세기 런던의 역동적인 무대
-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위대한 조연
4. 런던시청, 수변 재생의 꽃을 피우다
- 모어 런던
- 새 시대를 여는 가장 시청다운 시청
- 템스강변의 공공공간
- 도시재생의 새로운 이정표
5. 샤드 템스, 런던의 보물로 변한 화물 창고
- 예술가의 아지트로
- 창고 중심 수변 공간의 활성화
- 단일함에 담긴 다양함
- 샤드 템스가 남긴 위대한 유산
6. 파터노스터 광장, 과거와 현재가 어우러진 공공공간
- 고전과 현대의 충돌 그리고 패착
- ‘큰’ 실패가 준 ‘큰’ 교훈
- 조화로움과 공공성
- 시민들을 위한 오아시스
7. 올드 스피탈필즈 마켓, 매력적인 도시형 재래시장
- 가난한 지역에 자리 잡은 재래시장
- 진화하는 도시형 재래시장
- 시장을 넘어 지역의 중심으로
- 현대 도시 속 재래시장의 역할
8. 브런즈윅 센터, 이상적인 도시형 주상복합 공동체
- 미완의 실험
- 본래의 근대건축 비전으로
- 지역 경제를 견인하는 개방성과 편의성
- 도시재생으로 마침내 완성한 주상복합 공동체
9. 런던 브리지역, 기차역이 실어온 활성화의 원동력
- 런던 브리지역의 가능성과 잠재력
- 수직도시와 수평도시의 어우러짐
- 새롭게 태어난 매력적인 거리들
- 지속가능한 발전을 견인하는 구심점
10. 킹스 크로스, 하나씩 맞춰가는 21세기 런던의 퍼즐
- 최고의 역세권을 향해
- 한 장으로 제시한 ‘과정’의 중요성
- 두 개의 역이 연출하는 서막
- 산업유산의 거듭된 화려한 부활
- 콜 드롭스 야드, 런던의 새로운 아지트
- 킹스 크로스의 새로운 심장부
- 21세기의 런던다움을 완성해가는
에필로그 런던은 끊임없이 진화한다
주석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도시는 필연적으로 쇠퇴하기에 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바른 해법을 찾는 것이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드는 핵심이다. 그런 면에서 런던이 거쳐온 치열한 도시재생의 역사와 노력을 들여다보는 것은 소중하다. 이를 통해 우리 도시의 건강한 발전을 위한 지혜와 영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흔히 도시재생을 ‘소외된 공간에 온기를 불어넣는 작업’이라 표현한다. 그렇다면 사우스 뱅크야말로 진정한 의미의 도시재생이라 부를 만하다. (…) 한마디로 사우스 뱅크는 모두를 위한 런던의 휴식처이자 아지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