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융합학문, 어디로 가고 있나?

융합학문, 어디로 가고 있나?

김광웅 (엮은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8,000원 -10% 1400원 23,800원 >

책 이미지

융합학문, 어디로 가고 있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융합학문, 어디로 가고 있나?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문 비평
· ISBN : 9788952112293
· 쪽수 : 454쪽
· 출판일 : 2012-01-20

책 소개

서울대학교에서 주관한 '미래 대학 콜로키엄'의 두 번째 이야기로 철학, 수학, 인문학, 의학, 음악, 물리학, 사회과학 등 각 분야의 최고 전문가 10명의 지성이 4년 동안 발표했던 내용 중 융합학문에 관한 부분을 정리하여 수록한 책이다. 지금 이 시대의 화두로 떠오른 '융합학문'이 과연 어떤 것인가를 개념 정의부터 출발하여 각 시대별 학문의 경향을 살펴본 후 각 분야에 적용된 사례를 하나씩 열거하며 설명하였다.

목차

머리말 _ 5

I. 철학과 학제적 연구: 통섭 개념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토대로 삼아 이남인
1. 철학에 대한 윌슨의 비판적 견해 ●20
2. 철학이란 무엇인가? ●23
3. 철학과 학제적 연구 ●34
4. 철학과 학제적 연구의 활성화를 위하여 ●48

II. 수학의 변신 이야기: 수학에서 보는 융·복합 민경찬
1. 들어가는 말 ●55
2. 수학적 정신과 학문의 융합 ●58
3. 수학의 언어적 기능과 학문융합 ●62
4. 수학 이론과 학문융합 ●68
5. 수학과 미래 학문융합 ●72
6. 나가는 말 ●74

III. 생문학(生文學): 지속가능한 인문학을 향하여 장대익
1. 들어가는 말: 왜 생문학(生文學)인가? ●81
2. 진화인문학 ●84
3. 신경인문학 ●124
4. 맺는 말: 생문학의 의의 ●139

IV. 조선 성리학과 다른 사상의 융합 시도 이덕일
1. 들어가는 말 ●157
2. 성리학과 불교 ●159
3. 성리학과 양명학 ●1694. 서학과 성리학 ●190
5. 나가는 말 ●198

V. 뇌, 융합의 총화 : 정신현상, 뇌의 기능으로 환원 가능한가? 권준수
1. 들어가며: 브레인 아트, 문화/예술의 대상으로서의 뇌과학 ●205
2. 뇌와 정신의 역사: 일원론과 이원론 ●208
3. 뇌의 구조와 기능 ●215
4. 융합과학으로서의 뇌과학 ●220
5. 정신, 뇌 융합 연구의 예시로서의 정신과학: 강박증 ●232
6. 맺는 말: 융합의 시대, 뇌의 시대 ●239

VI. 프리모 시스템의 융합과학적 연구 소광섭?김연화
1. 프리모 시스템 소개 ●249
2. 과학 분야 간의 융합 ●254
3. 동서양 사상의 융합 ●263

VII. 융합의 리듬: 시간(Chronos), 리드미쪼메논(Rhythmizomenon), 리듬모포이아(Rhymopoiia) 김춘미
1. 들어가며 ●271
2. 융합의 핵심에 있는 리듬 ●273
3. 언어의 리듬 ●284
4. 리듬과 리드미쪼메논 ●286
5. 리드미쪼메논의 갈래와 시간 나뉨의 체계 ●288
6. 리드모포이아, 복합·비복합·혼합적 시간 ●291
7. 리듬의 분류방법 ●2938. 자연의 리듬에 동참한다는 것: 연대기와 달력들의 리듬 ●299
9. 역사의 리듬에 동참한다는 것 ●301
10. 최대속도의 삶과 우리의 시간관 ●303
11. 현대예술이 전하는 우리의 현재 ●306
12. 인공지능의 시대, 합성의 시대에 리듬은 그래도 희망이다 ●307

VIII. 성공하는 융합, 실패하는 융합 홍성욱
1. 융합과 경계 ●313
2. 융합과“생각의 탄생” ●316
3. 전문화와 잡종화를 통한 융합 ●321
4. 학제 간 협력 연구를 통한 융합 ●324
5. NBIC 컨버전스convergence와 융합 ●331
6. 기술의 융합 ●335
7. 통섭consilience ●339
8. 맺는 말: 융합과 가치의 문제 ●341

IX. 사회과학, 잠에서 깨어날 때다 : 융합과학으로서의 사회과학 김광웅
1. 들어가며 ●351
2. 문제를 좀 더 보자 ●356
3. 문제가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360
4. 어떻게 해야 하는가? ●379
5. 부록: 과학문화융합포럼 기조연설문(2008년에 했던 한 생각) 393

X. 사회과학의 재구성: 융합의 시각에서 김광웅
1. 사회과학 뒤돌아보기 ●406
2. 이해의 틀, 설명의 틀 다시 보기 ●410
3. 사회과학은 인지과학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가? ●419
4. 융합을 향한 사회과학의 내적·외적 관계 재검토 ●425
5. 21세기 미래 사회과학 새 편제 ●427

찾아보기 _ 445

저자소개

김광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저자는 법학, 행정학, 정치학 등을 공부했으나 가르친 것은 방법론 과 리더십까지 다양했다. 방법론을 가르치기 위해 통계학, 과학철학, 과학사 등을 공부하여 지식의 지평을 넓히면서 융합적 사고를 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 대학 교수직을 정년퇴임한 후 ‘미래대 학 콜로키엄’을 주도하면서 융합학문의 길을 탐색했는데 21세기 리더는 융합적 사고로 창조적이어야 한다는 시대의 요구에 맞추려는 의도 때문이었다. 저자가 리더십, 그중에서도 정치 리더십에 집중한 이유는 젊었을 때 국회에서 일한 적이 있고, 의회 발전에 관련된 연구단체를 이끈 경험 이 있으며, 정당에서도 과객으로 일한 적이 있어 생소한 분야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특히 대통령을 포함한 톱 리더들의 행태를 행정부나 청와대 주변에서 관찰할 기회가 있어 이 부분에 관해 남들만큼 주장 을 펼 수 있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고, 마침 21세기 여성의 시대를 맞아 리더십에 관한 생각의 일단을 이 책에 담았다. 여성 리더에 대 한 세상의 부정적 시선이 많지만, 저자가 여성에 대한 편견이 남들보다 적은 것은 어렸을 적 어머니의 영향 때문이 아닐까 싶다. 편·저서로는 『서울대 리더십 강의』 『창조! 리더십』 『통의동 일기』 『우리는 미래에 무엇을 공부할 것인가』 『융합학문, 어디로 가고 있나?』 『국가의 미래』 『열린정부 국정운영 새틀 짜기』 『작은 정부 큰 국민』 『한국 민주주의의 미래』 『한국의 관료제 연구』 『방법론 강의』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둘째, 인문학뿐 아니라 사회과학, 자연과학 및 기술, 의학 등 모든 가능한 학문 분야와 관련해 그의 토대, 즉 근원에 대한 철학적 성찰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수리철학, 자연철학, 역사철학, 종교철학, 문학철학, 언어철학, 심리철학, 사회철학, 정치철학, 경제철학, 경영철학, 법철학, 행정철학, 환경철학, 체육철학, 기술철학, 의료철학, 간호철학 등 다양한 유형의 철학이 등장하였다. 그리고 최근에 새로 개척된 새로운 학문 분야에 대해서도 그에 대해 철학적으로 성찰하면서 새로운 철학의 분야가 개척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예로는 나노철학, 뇌과학의 철학 등을 들 수 있다. 더 나아가 앞으로 새로운 학문 분야가 개척되면 그것을 철학적으로 성찰하면서 다시 새로운 철학의 분야가 탄생할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철학이 근본적으로 학제적 연구를 생명으로 하는 학문임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수학이 독립된 학문으로서 다른 학문들과 대등하게 융합하여 새로운 세계를 만들어 가는 일은 지난 20세기에 들어서면서 크게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융합은 수학 이론이 19세기 말에 칸토어가 집합론을 도입함에 따라 엄청난 속도로 크게 발전되어 감에 따라 최근에 이르러 융합적인 영역이 다양한 모습으로 확대되고 있다.


역사적으로, 그리고 개념적으로, 학문 간의 상호침투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결론이 난다. 하나는 충돌이고, 다른 하나는 분리이며, 마지막 하나는 보충이다. 예컨대 철학은 진화론과 만나 충돌을 경험한다. 기존 인식론과 존재론이 모두 진화론에 큰 타격을 받기 때문이다. 물론 진화심리학의 경우에도 기존 심리학의 내용에 대한 반론이 일부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인간의 합리성과 추론, 그리고 감정과 사회인지에 대한 진화심리학적 연구는 기존에 다윈 없이 진행되던 심리학을 더욱 풍부하게 보충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2134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