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 중세도성과 호한체제

중국 중세도성과 호한체제

박한제 (지은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5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10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50,000원 -10% 2500원 42,500원 >

책 이미지

중국 중세도성과 호한체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 중세도성과 호한체제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사 일반
· ISBN : 9788952120496
· 쪽수 : 736쪽
· 출판일 : 2019-08-05

책 소개

중국의 전통적인 도성 형식에서 유목민족이 중원에 진입하면서 준 영향은 어떤 것인지 밝힌다. 저자는 중국 역사상 출현한 도성 가운데 가장 완성적인 형태를 지녔던 수당 장안성이 호한체제적 성격을 지닌 도성이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진인각(陳寅恪)의 도성론 보정(補正): ‘궁성편북론(宮城偏北論)’과 ‘북문관건론(北門關鍵論)’을 중심으로
서론
Ⅰ. 북위 낙양성과 수당 장안성에 대한 도성구조론
1. ‘궁북시남(宮北市南)’구조의 호족적(胡族的) ‘실행성론(實行性論)’에 대한 진인각의 비판
2. ‘궁북시남(宮北市南)’구조에 대한 진인각의 견해
Ⅱ. 궁성의 편북화(偏北化)와 금원의 기능
1. 북위 평성의 편북구조의 기원
2. 북위 평성에서의 ‘성(城)․원(苑)’체계 출현
3. 수당 장안성 현무문과 금원의 기능
4. 당 낙양성 현무문과 금원의 기능
결론

제2장 북위 낙양사회와 호한체제: 도성구획과 주민분포를 중심으로
서론
Ⅰ. 도성구획
1. 성곽구조와 호한체제
2. 방장제의 포치(布置)와 호한체제
Ⅱ. 주민분포
1. ‘사민이거(四民異居)’책의 배경
2. 주민분포의 실제
결론

제3장 당 장안성 삼원고(三苑考): 전한 상림원(上林苑)의 기능과 비교하여
서론
Ⅰ. 성(城)․원(苑) 분리에서 성(城)․원(苑) 통합체계로
1. 성(城)․원(苑) 분리시대의 원유(苑囿): 상림원형(上林苑型)
2. ‘성원(城苑)’체계의 계보: 삼원형(三苑型)
Ⅱ. 원(苑) 기능의 변화
1. 상림원형 원의 기능
2. ‘성원’체계하 원의 기능
결론 … 177

제4장 유목국가와 성곽: 방장제(坊墻制)의 출현과 그 배경
서론
Ⅰ. ‘무성곽(無城郭)’의 의미와 유목민족의 성(城)
Ⅱ. 남흉노(南匈奴)의 성
1. 남흉노 철불부(鐵弗部)의 대래성(代來城)
2. 혁련하(赫連夏)의 통만성(統萬城)
Ⅲ. 선비(鮮卑)의 성
1. 선비제부(鮮卑諸部)의 각축시대(角逐時代)와 성락성(盛樂城)
2. 북위(北魏) 평성시대(平城時代)의 주민배치와 방장제(坊墻制)
결론

제5장 ‘이’제(‘里’制)와 ‘방’제(‘坊’制): 그 구조와 기능의 이동(異同)에 대한 시탐
문제제기
Ⅰ. ‘방(坊)’의 출현과 그 용어적 의미
Ⅱ. 방(坊)의 형태: ‘방(坊)’제에서의 방장(坊墻)
Ⅲ. 방장제(坊墻制)의 출현․빈번한 축성(築成) 및 대성(大城)축조운동
Ⅳ. 이(里)와 방(坊)의 병립과 그 이동(異同)
Ⅴ. 방장(坊墻)의 장점: 인민관리의 경제성
결론

제6장 오호(五胡) 혁련하국(赫連夏國)의 도성 통만성(統萬城)의 선지(選址)와 그 구조: 일(一) 호족(胡族)국가의 도성경영방식
서론
Ⅰ. 혁련하국의 시말과 국제정세
Ⅱ. 통만성의 지리환경과 선지과정
Ⅲ. 통만성의 구조와 경영방식
결론

제7장 동위-북제시대 업도(鄴都)체제와 도성구조: 입지와 용도, 그 구조적 특징
문제제기
Ⅰ. 업(鄴)으로의 천도문제
Ⅱ. 양도체제하(兩都體制下)의 진양(晉陽)과 업도(鄴都)
1. 양도체제 성립의 배경
2. 양도체제하의 진양
Ⅲ. 신도(新都) 업도(鄴都)의 건설과정과 그 지향
Ⅳ. 업도(鄴都)의 외곽성과 방(坊)
Ⅴ. ‘용병처’로서의 업도 북성(北城)
결론

제8장 당대 육호주(六胡州) 주성(州城)의 건치(建置)와 그 운용: ‘항호(降戶)’안치(安置)와 역사(役使)의 일 유형
서론
Ⅰ. 돌궐항호(突厥降戶) 처리와 육호주의 연혁
1. 돌궐항호 안치과정에서의 육주(六州)와 육호주
2. 기미주(羈縻州)와 육호주
Ⅱ. 육호주 주성의 건치와 방제의 실시
Ⅲ. 양마(養馬)와 소그드인
Ⅳ. 기마병원(騎馬兵源)의 확보와 육호주
결론

제9장 수당 장안성의 시장풍경: 호한문화의 교류와 통합의 현장
서론
Ⅰ. 계획도시 장안성의 주민배치
Ⅱ. 장안성의 시장구조와 그 관리
Ⅲ. 시장의 봉쇄·개방 양존적 구조와 문화통합기능
Ⅳ. 상인문화로 본 호한문화(胡漢文化) 교류·통합의 현장
결론

제10장 대당제국 장안성의 도성구조와 그 계보: 계승(繼承)과 창신(創新)
문제제기
Ⅰ. 초대형 계획도성의 출현
Ⅱ. 수당 장안성의 방장제
1. 방장제 창신인가? 계승인가?
2. ‘창신’의 내용과 그 유래
3. 방장제의 실시와 야금제도의 운용
Ⅲ. 궁성의 편북과 성원체계(城苑體系)의 기능
결론

제11장 수당대 낙양의 도성구조와 그 성격: ‘중세적’ 도성구조의 종언
문제제기
Ⅰ. 배도(陪都) 낙양성의 영건과 그 배경
Ⅱ. 낙양성 영건과정에서의 사민(徙民)
1. 수 양제의 ‘천하부상대고수만가(天下富商大賈數萬家)’ 사민
2. 무측천의 ‘관내칠주호수만가(關內七州戶數萬家)’ 사민
Ⅲ. 낙양성의 건설과 그 구조적 특징
1. 낙양성의 건설과정과 그 규격
2. 낙양성의 구조적 특징과 좌우대칭의 문제
Ⅳ. 경제수도로의 지향
1. 궁·황성과 금원의 편서와 조운
2. 운하와 수거 그리고 시장
3. 궁성과 저량(儲糧)·조운창(漕運倉)
결론

참고문헌
中文摘要
찾아보기

저자소개

박한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5-2012년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현재 명예교수로 있다. 2000-2002년에 한국중국학회 회장, 2005-2007년에 한국동양사학회 회장을 지냈다. 저서로 《중국중세호한체제연구》(1988), 《유라시아 천년을 가다》(공저, 2002), 《아틀라스 중국사》(주편, 2007), 《대당제국과 그 유산 ―호한통합과 다민족국가의 형성》(2015), 《중국 도성 건설과 입지 ―수당 장안성의 출현전야》(2019), 《중국 중세도성과 호한체제》(2019), 《중국중세 호한체제의 사회적 전개》(2019)가 있다. 역서로 《진인각, 최후의 20년》(공역, 2008), 역주서로 《이십이사차기》(전5권, 2009), 답사기행기로 《박한제 교수의 중국 역사기행》(전3권, 2003)이 있으며, 중국 중세 민족 관계 논문이 다수 있다. 제49회 한국출판문화상(번역 부문, 2008), 제3회 서울대학교 학술연구상(2010), 우호동양사학저작상(2017), 대한민국 학술원상(2021)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현무문은 궁성과 곽성의 북문인 동시에 금원의 남문이다. 즉 현무문은 금원의 일부분이고, 금원이 정치사에서 그 승패를 결정짓는 장소였다는 것이 필자의 소견이다.
유목민족이 중원에 진입함에 따라 중국 전통적인 도성구조에 중대한 변혁을 가져다주었다. 즉 금원이 비로소 도성의 구성요소의 하나, 즉 도성의 한 구역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이렇게 됨에 따라 궁성이 도성 전체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 것이다. 그래야 수당 장안성도 ‘선왕지법을 따르는[循先王之法]’ 도성이 될 수가 있는 것이다. ‘선왕지법’의 구체적인 내용은 사실 불명확한 면이 있지만 중국 고래의 ‘중앙궁전’ 원칙을 가리키는 것이 아닌가 한다.


중국 역대 취락사상 독특한 의미를 지니는 이 방장제는 유목 고유의 것은 아니지만 정복 후 새내에서 처한 대량의 유민(사민)의 존재로 인해 생겨난 것이므로 일종의 ‘노매딕 임팩트(Nomadic Impact)’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방장제는 방이라는 독특한 소성이 출현하여 기존의 한족 고유의 이제와 어울러져 시행되었기 때문에 방이라는 실체는 이미 출현했으나 방이라는 이름으로 인정되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실제로 방이 기초행정조직단위의 명칭으로 확립된 것은 수대였고, 이제에서 완전히 분리된 것은 방의 독립된 직책인 방정이 등장한 당대였다고 할 수 있다. 당률에 방정의 직임이 규정되었다. 당대의 방정은 원래 기능인 방 내외의 출입과 방내의 치안에 집중하게 되었던 것이다.
방장제적 통치가 가장 명확하게 드러난 시기가 당대였다. 장안의 주민은 황제가 설정한 가고제도(街鼓制度)에 의해 그 활동의 시간과 장소가 결정되었다. 방문이 열리는 낮에 자유스럽게 방외 활동이 허용되지만 방문이 닫는 가고가 울리고 나면 모두 방내로 들어와야 한다. 이런 주민들의 생활은 율령에 의해 규정된 대로 그 자유와 통제가 행해졌다. 이런 주민들의 생활은 흡사 가축이 우리에 출입하는 것과 유사하다는 지적도 있다.


시장은 시내의 어느 지점보다 많은 사람들을 끌어모은다. 시장은 물론 교역의 장이다. 그러나 여기에 각종 종족, 계층의 사람들이 모여들어 문화교류의 장으로 이용된다. 수당왕조는 세계제국이고, 따라서 세계 각처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이곳 장안으로 몰려들었다. 이들 호와 한으로 대표되는 다양한 종족의 교류의 장은 여러 곳이겠지만 가장 빈번한 교류가 이뤄지는 곳은 역시 시장이었다. 시장 가운데서도 가장 빈번한 교류의 장은 역시 서민시장이었던 서시였다. 그래서 마지막 장에서는 서시를 중심으로 전개된 문화교류의 현장의 모습을 살펴보려 하였다. 서시에는 실크로드를 타고 온 서역들만이 있었던 것이 아니고 그 밖의 각국에서 온 사람들로 북적거렸다. 당 초기 당대인들의 모습을 묘사한 ‘한인은 호인의 모자를, 호인은 한인의 모자를 쓴다’는 글에서 당시 시장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호한문화의 교류 정도를 잘 알 수 있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21310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