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사랑/결혼
· ISBN : 9788953137172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20-05-04
책 소개
목차
1월. 결혼과 창조: 창세기 1-2장
2월. 결혼과 구속(救贖): 창세기 2-3장, 에베소서 5장
3월. 제7계명: 여러 성구
4월. 간음 예방하기: 창세기 39장 외
5월. 이혼: 여러 성구
6월. 우리는 서로에게 어떤 존재인가: 잠언 외
7월. 어떻게 서로를 섬길 것인가: 신약 성경의 여러 성구
8월. 어떻게 서로 화해할 것인가: 신약 성경의 여러 성구
9월. 그리스도인의 성 혁명 Ⅰ: 고린도전서 6장
10월. 그리스도인의 성 혁명 Ⅱ: 고린도전서 7장
11월. 사랑 노래: 서로를 추구하기: 아가
12월. 사랑 노래: 서로를 발견하기: 아가
리뷰
책속에서
<4월 9일 중에서>
나〔팀〕는 섬김받기를 원하지 않았다. 무언가를 선물로 요구해서 받아 내야 하는 위치에 있고 싶지 않았다. … 나는 섬기고 싶었다. 그래야 내가 상황을 주관한다는 기분이 들기 때문이다. 당시 나는 언제나 높은 도덕적 기준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그런 종류의 섬김은 섬김이 아니라 조작일 뿐이다. 아내에게 나를 섬길 기회를 주지 않음으로써 결과적으로 나는 아내를 섬기지 못했다. 그리고 이 모든 일의 밑바닥에는 내 교만이 자리 잡고 있었다.
―
교만. 언젠가 휴가 때 일이다. 아내(캐시)가 아이들은 자신이 돌볼 테니 친구 데이비드와 함께 서점에 갔다 오라고 했다. 에너지 넘치는 남자아이 셋을 몇 시간 동안 혼자 돌보겠다니 아내로서는 크게 호의를 베푼 것이었지만, 나는 아내를 초주검 만들고 싶지 않다는 핑계로 그 제안을 거절했다. 그러나 나중에 나는 깨달았다. 나는 스스로 가장 큰 희생을 감수하는 사람의 위치에 있기를 좋아한다는 것을 말이다. 교만 때문에 나는 선물을 받아들이지 못했고, 아내가 내게 선물 주는 기쁨을 누리지 못하게 했다. 우리는 상대의 친절에 대해서도 이렇게 내 이기적 동기를 풀어 내기가 얼마나 쉬운지! 회개야말로 삶의 모든 영역의 열쇠이며, 무엇보다도 결혼 영역에서 특히 더 그렇다. 기쁘게 회개하는 것, “내가 또 그랬네”라고 인정하며 회개하는 것이 바로 성숙하고 지혜로운 결혼의 특징이다.
―
욕심 없어 보이는 행동 이면에 어떻게 이기적 동기가 숨어 있을 수 있는지 그 양상들을 생각해 보라. 내 결혼 생활에 그런 사례가 있지는 않은가?
―
함께 붙드는 기도의 끈. 시편 139편 23-24절을 묵상하라. 하나님을 위해, 그리고 내 배우자를 위해 내 마음을 더 잘 알 수 있게 해 달라고 하나님께 구하라.
<5월 10일 중에서>
그 여자의 잘못은 남자의 애정을 통해 자기 가치를 찾으려 한 것이었다. … 그런데 카운슬러는 이런 그녀에게 자신을 긍정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으로 직업을 구해 경력을 쌓고 인격적 독립을 추구할 것을 제안했다. … 그러자 그녀는 말했다. … “업무 분야에서 경력을 쌓고 출세를 좇다가 이번에도 실패하면 연애가 잘 안 되었을 때처럼 또 삶이 황폐해지지 않을까요? 이제는 그러지 않을 겁니다. 그리스도의 의 가운데서 안식할 수 있으니까요. … 그러고 나면 남자나 화려한 경력 앞에서 이렇게 고백할 수 있어요. ‘하나님 앞에서 나를 아름답게 만드는 것은 이런 것들이 아니라 예수님’이라고요.”
―
내가 나에게 하는 말. 자기를 제어하는 한 가지 비결은, 내 감정이 어떤 사건에 반응해서 생겨났다기보다는 그 사건을 보며 내가 나 자신에게 건넨 말 때문에 생겨났음을 깨닫는 것이다. 누군가와 사귀다 이별 통보를 받았을 때 스스로에게 “나는 비호감인가 봐”라고 말한다면, 이때 감정은 슬픔이다. 반면 “자기가 뭐라고 나한테 이러는 거야!”라고 말하면 이때는 슬픔이 아니라 분노가 생겨난다. 자신에게 경건한 혼잣말을 가르치라. 시편 기자는 자기 마음을 향해 이렇게 거듭 말한다. “내 영혼아 여호와를 송축하며 그의 모든 은택을 잊지 말지어다”(시 103:2). 우리 마음을 향해 말하되 하나님의 진리를 말하지 않는다면, 우리 마음은 자꾸 우리를 불러 세워 희망이 없다고 말할 것이다. 하나님의 말씀을 깨닫고 기도로 하나님과 깊이 교제하는 법을 배움으로써, 하나님께서 소중히 여기시는 것을 당신도 소중히 여기라.
―
부부가 함께 기도하는가? 성경 공부 때 얻은 통찰을 배우자와 함께 나누는가? 그렇다면 이유는 무엇이고, 아니라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
함께 붙드는 기도의 끈. 마가복음 1장 35절을 읽고 이 말씀의 정황을 묵상하라. 사역이 절정에 이를 즈음 당대의 거센 요구에 봉착한 예수님께서는 이른 아침 일어나 기도로 시간을 보내셨다. 하나님의 아들께서는 기도 없이 하루를 살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으셨다. 요즘 내 기도 생활이 어떤 상태든, 그것을 놓고 하나님께 기도하라.
<5월 21일>
〔성관계에서 부부의 목표는〕 서로의 취약한 부분을 다 보여 주고, 민낯으로 상대를 즐거워하는 선물을 서로에게 주며, 서로에게 기쁨을 안기는 희열을 경험하는 것이다. … 이는 흔히 … 사랑을 나눌 만한 ‘기분이 아닐’ 때에도 사랑을 나눈다는 의미다. 부부가 상대에게 어떤 강렬한 인상을 남기기 위해서가 아니라 기쁨을 안기기 위해서 성관계를 한다면, 기분은 즉석에서 달라질 수 있다. 행위 자체가 훌륭해 만족감에 푹 잠기게 하는 것이 최고의 섹스가 아니라 기쁨으로 울고 싶게 만드는 것이 최고의 섹스다.
―
섹스와 퍼포먼스. 상대에게 사랑을 전달하는 데는 어떤 식으로든 기술이 필요하다. 우리는 사랑을 말로 표현하려고 온갖 애를 썼지만 어떻게 해도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고 느꼈다. 성적 사랑도 다르지 않다. 성관계를 할 때 우리는 상대에게 쾌감을 주고 싶어 한다. 그런데 쾌감을 주려면 상대의 특별한 기질도 알아야 하고 그 사람의 몸도 잘 알아야 한다. 하지만 현대 문화에서 섹스는 두 사람만 은밀히 아는 익숙함이 아니라 하나의 퍼포먼스로 변모했다. 요즘 사람들은 처음이니까 다소 서툴고 그래서 서로 민망해하다가 점차 함께 성숙하고 함께 배워 갈 수 있다고 기대하지 않는다. 그보다 이들은 상대와 즉각 ‘강렬한 성적 끌림’을 경험할 수 있는지를 알고 싶어 한다. 이들은 당장에 근사한 섹스를 즐길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며, 이는 서로에게 엄청난 부담이 된다. 결혼 언약 밖에서 섹스는 자신의 가장 취약한 부분을 드러내는 순간에도 아무런 불안감 없이 안전하게 머물 수 있는 요람이 되지 못하고 시종 불안한 우연의 만남이 된다.
―
혼전 성 경험에서 익힌 습관은 결혼 언약 안에서 경험하게 될 성을 준비시켜 주지 못한다. 어째서 그럴까?
―
함께 붙드는 기도의 끈. 퍼포먼스로써의 성을 강조하는 우리 시대 문화에서 보호해 주시고, 자기를 주는 행위로써의 성이라는 성경의 시각 위에 설 수 있게 해 달라고 하나님께 구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