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간증/영적성장
· ISBN : 9788953148819
· 쪽수 : 108쪽
· 출판일 : 2024-07-17
책 소개
목차
개정판을 내며_ 죽음의 문턱에서 삶을 돌아보다
프롤로그_ 거울 너머의 세계, 죽음 너머의 세계
* 사고
빙판길에 교통사고를 당하다
·“어떤 강한 손이 나를 꼼짝 못하게 해놓고는 꼭 필요한 일종의 굴복 상태로 나를 이끌고 가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 입원
병상에 누워
·“죽음 앞에 서자 나 자신을 전혀 새로운 시각에서 볼 수 있는 눈을 갖게 되었다.”
* 수술
생사의 갈림길에서
·“나를 삶에 집착하게 만드는 것은 사랑이 아니라 해결되지 않은 분노였다.”
* 회복
필멸의 삶을 깨달으며 영원을 보다
·“인생이란 진정으로 다른 사람들을 위해서 죽을 수 있도록 자신을 준비하는 긴 준비의 여정이다.”
맺는말 _ 인생의 깊은 소명을 알다
에필로그_ 죽음을 준비해야 하는 인생들
책속에서
헨리 나우웬의 저작에서 일관되게 나타나는 남다른 매력은 그가 자신을 거울로 내놓는다는 것이다. 그가 자신의 인생 경험을 독자에게 반사경처럼 들어올려 주는 덕분에 우리도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응시하며 더 깊은 차원까지 살필 수 있다. 그 거울을 들여다보며 자신을 새롭게 발견할 수 있다. 연약한 모습만 아니라 숨어 있는 잠재력과 자신의 진정한 숙명까지도 말이다.
이 책에서 나우웬은 자신이 겪은 교통사고 이야기를 들려준다. 폭설로 도로가 빙판으로 변한 어느 음산한 겨울날 아침에 그는 길가에서 차를 얻어 타려다가 지나가던 승합차의 사이드 미러에 치여 중상을 입었다. 그러나 이 책에 나오는 더 중요한 이야기가 있다. 캐나다 토론토의 어느 병원 응급실에서 수술을 기다리는 동안 그는 죽음의 목전에서 자신을 돌아본다. 이 경험에 대한 반추는 회복실에서도 며칠 더 이어진다. 죽음에 직면한 나우웬은 자신이 살아온 일생에서 정말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정리해야 했고, 죽음이 임박했을 수도 있었으므로 남아 있는 짧은 시간도 중요한 일에 써야 했다. 죽음과 협상하는 논리적 과정을 나우웬을 따라 한 걸음씩 통과하는 동안 독자도 어쩔 수 없이 그 속으로 끌려든다. 나우웬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도 자신의 궁극적 가치를 정리해야 하고, 정말 무엇이 중요한지 지금 저울질해서 판단해야 한다. 시간이 다하여 새로운 결단이 불가능해질 때까지 기다려서는 안 된다.
대개 죽음은 우리가 딱히 달가워하는 주제가 아니다. 행여 삶에 죽음의 그림자가 드리워질까 봐 우리는 아예 그 주제를 피하려 한다. 그러나 이번에 개정판으로 선보이는 《거울 너머의 세계》에서 나우웬이 보여 주듯이, 우리 삶은 자신이 죽을 운명임을 인식할수록 오히려 더 풍성해질 수 있다. 매 순간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인생이 짧다는 바로 그 사실이 일깨워 준다. 남아도는 돈을 허비해도 될 정도로 거부인 사람은 우리 중에 별로 없다. 문득 생각해 보면 허송해도 좋을 만큼 세월이 남아도는 사람도 없다. 삶은 우리에게 하루 한 순간씩만 허락된다.
나우웬은 다름 아닌 죽음을 거울삼아 “나는 누구인가?”라는 물음에 마주섰다. 평생 우리는 많은 정체성을 획득한다. “내가 하는 일이 곧 나다. 내 소유가 바로 나다. 나는 어머니다. 나는 아버지다. 나는 외로운 솔로다. 나는 점원이다. 나는 마케팅 분석가다. 나는 예술가다. 나는 실직자다.” 안타깝게도 “나는 아무것도 아니다”라고 말하고 싶은 사람도 아주 많을 것이다.
병상에 누운 나우웬은 이렇게 자답할 수도 있었다. “나는 신학자다. 나는 심리학자다. 나는 예일과 하버드에서 가르쳤다. 책도 많이 썼고 국내외에서 강연도 했다.” 그러나 생의 마지막이라 느껴지던 시간에 그에게 위로가 된 것은 그런 생각이 아니었다. 죽음은 우리가 두르고 있는 겹겹의 피상적 정체성을 벗겨 낸다.
그의 많은 정체성 중에서 생사의 갈림길에 놓인 그에게 위로가 된 것은 무엇일까? 삶의 다른 모든 패를 결국 이긴 그의 자아상은 무엇일까? “나는 누구인가?”라는 물음의 최종 답을 찾고자 일생의 거울을 주시하는 그에게 직접 이런 말씀이 들려온다. (개정판을 내면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