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셰익스피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564년 4월 23일 존 셰익스피어와 메리 아든 사이에서 태어났다. 셰익스피어는 아름다운 숲과 계곡으로 둘러싸인 인구 2000명 정도의 작은 마을 스트랫퍼드에서 8남매 중 셋째로 태어났고, 이곳에서 학교를 다녔다. 주로 《성경》과 고전을 통해 읽기와 쓰기를 배웠고 라틴어 격언도 암송하곤 했다. 열한 살에 입학한 문법 학교에서 문법, 논리학, 수사학, 문학 등을 배웠는데, 《성경》과 더불어 오비디우스의 《변신》은 셰익스피어에게 상상력의 원천이 된다. 그리스어도 배웠지만 그리 신통하지는 않았다. 그 때문에 동시대 극작가 벤 존슨은 “라틴어는 신통하지 않고, 그리스어는 더 말할 것이 없다”라고 셰익스피어를 조롱하기도 했다. 그러나 셰익스피어의 타고난 언어 구사 능력, 무대 예술에 대한 천부적인 감각, 다양한 경험, 인간에 대한 심오한 이해는 그를 위대한 극작가로 만들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그는 제대로 교육받지는 못했지만, 자연으로부터 모든 것을 배운 자연의 아들이자 천재였다.
1590년대 초반 셰익스피어가 집필한 《타이터스 앤드로니커스》, 《헨리 6세》, 《리처드 3세》 등이 런던 무대에서 상연되었다. 특히 《헨리 6세》는 공전의 히트를 기록했다. 그에 대해 악의에 찬 비난도 없지 않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그의 작품은 인기를 더해 갔다. 1623년 벤 존슨은 그리스와 로마의 극작가와 견줄 수 있는 사람은 오직 셰익스피어뿐이라고 호평하며, 그는 “어느 한 시대 사람이 아니라, 모든 시대의 사람”이라고 칭찬했다. 1668년 존 드라이든은 셰익스피어를 “가장 크고 포괄적인 영혼”이라고 극찬했다.
셰익스피어는 1590년에서 1613년에 이르기까지 10편의 비극(로마극 포함), 18편의 희극, 10편의 역사극, 그리고 시집 《소네트》를 집필했다. 38편의 희곡 작품들은 상연 연대에 따라 대개 4기로 분류된다.
펼치기
최경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영어영문학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학위 논문 〈연극의 정치학: 셰익스피어의 후기 사극 연구〉를 비롯해 영국 르네상스 시기 희곡 작품에 대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대표 논문으로는 〈근대 초기 직업 작가의 자의식적 글쓰기: 토머스 내쉬의 《피어스 페닐리스》를 중심으로〉, 〈기억과 망각의 정치학: 《헨리 4세》 1부에 나타난 국가 통합의 전략〉, 〈전쟁 드라마 《헨리 5세》에 나타난 계층 갈등과 이데올로기의 균열〉 등이 있다. 셰익스피어와 17세기 영문학 텍스트 단독 번역과 공동 번역에 참여했으며 역서로는 《헨리 5세》(도서출판 동인, 2014), 《네덜란드 매춘부》(지만지드라마, 2019) 등이 있다. 한국 고전르네상스 영문학회와 한국 셰익스피어학회 편집이사를 지냈고 중세근세영문학회의 상임이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영어영문학과에서 강의하고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