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환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5년 대전 출생
단국대학교 사학과 졸업, 문학박사
서화문화연구소 소장
저술
- 한국 목간 자전
- 한국 금석문의 두전
- 한국 목간의 기록문화와 서체
- 울진봉평리신라비
- 한국의 벼루
- 고려 말 조선 초 조맹부체
- 삼족오
- 隷書集成
- 現代千字文
펼치기
이형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에 입학하여 최순우 선생(전 국립중앙박물관장) 문하에서 수학했다. 대만에 유학하여 국립대만대학 대학원 고고인류학연구소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같은 대학원 역사연구소에서 『발해연안 고대문화의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대만 국립고궁박물원과 중앙연구원에서 객원연구원으로 연구활동하였다. 1981년 귀국 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역사연구소 교수와 자료조사실장를 지냈다.
1996년 선문대학교 역사학과 개설과 함께 교수로 옮긴 후 학과장, 고고연구소장, 도서관장, 대학원장을 맡았다. 현재는 선문대학교 석좌교수로 있으면서 동양고고학연구소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활동으로는 ‘발해연안문명론’을 주창, 답사와 연구를 계속하는 한편, 1997년 풍납토성에서 하남위례성 왕궁유적을 발견하였고, 2002년에는 ‘아! 고구려전’의 추진위원장을 맡아 서울 코엑스에서 전시회를 개최하였고, 광개토대왕릉비 연구에도 매진하고 있다.
저서로 『한국 고대문화의 비밀』, 『고조선문화연구』(공저), 『단군과 고조선』(편저), 『광개토대왕릉비 신연구』(공저), 『고구려의 고고문물』(공저), 『서울 풍납토성[백제왕성]실측조사연구』, 『백제의 토성』, 『강화도 고인돌무덤[지석묘] 조사연구』, 『강화도』 등이 있다.
펼치기
허흥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음. 경북대 전임강사를 거쳐 교수를 역임. 이탈리아 나폴리 동양학대학교와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로스앤젤레스 소재에서 강의, 북경대학교 연구교수, 운남성 국제학술회의 한국대표, 중국 서남 민족조사 참여. 인도 델리대학, 몽골독립백주년기념, 카자흐스탄 퀼테킨기념일 학술발표. 두계학술상과 한국출판문화저작상 인문과학부분 수상, 올해의 책, 우수도서 선정 여러 차례.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교수. 2017년 현재 명예교수.
[중요논저]
<高麗科擧制度史硏究>(1981), <高麗社會史硏究>(1981), <高麗佛敎史硏究>(1986), <韓國의 古文書>(1988), <韓國中世佛敎史硏究>(1994), <眞靜國師와 湖山錄>(1995), <高麗로 옮긴 印度의 등불-指空禪賢>(1997), <고려의 문화전통과 사회사상>(2004), <고려의 과거제도>(2005), <한국신령의 고향을 찾아서>(2006), <고려에 남긴 휴휴암의 불빛-몽산덕이>(2008), <고려의 동아시아 시문학-百家衣集>(2009), <동아시아의 차와 남전불교>(2013), <한국의 중세문명과 사회사상>(2013), <당현시범과 백가의집 판독?해제>(2016). 編著로 <韓國金石全文(3冊)>(1984), 수필집 <이상향과 보신탕>(2011). 그 밖에 한국금석학, 묘향산과 보현사, 한국불교문헌학, 고려의 墓制와 石棺, 書誌, 畵佛. 會計學, 詩文學에 관한 논문 234편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