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문화예술사
· ISBN : 9788955087055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25-02-28
책 소개
목차
추천사 / 4
간행사 / 7
제1장 들어가는 글
Ⅰ 조선 왕실의 〈다연(茶宴)〉 성립 / 17
Ⅱ 〈다연식(茶宴食)〉 / 19
1. 배경 / 19
2. 〈다연식〉과 소선(素膳) / 21
Ⅲ 〈다연의(茶宴儀)〉의 예악관과 《주역(周易)》의 음양관 / 23
1. 예악관(禮樂觀) / 23
2. 《주역》의 음양관(陰陽觀)과 예악관 / 24
Ⅳ 〈다연례(茶宴禮)〉 / 31
1. 《국조오례의》를 통하여 표출한 〈다연의(茶宴儀)〉에서의 위계질서 / 31
2. 〈다연의〉에서 자리 배정과 음다(飮茶) - 다례(茶禮)인가, 다도(茶道)인가 / 34
Ⅴ 조선 왕실의 〈다연〉 / 38
제2장 〈다연〉의 성립과 배경
Ⅰ 불교와 도교의 만남, 선종의 출현 / 43
1. 중국의 초기 불교 전개와 공문(空門) / 43
2. 노장사상의 전개와 좌망(坐忘) / 45
3. 불교와 도교의 만남, 선종의 출현 / 48
Ⅱ 좌망과 해탈을 위한 차[茶]의 출현, 신선 음료 술 / 51
1. 약으로 출발한 《신농본초경》의 〈고채(苦菜)〉 차 / 51
2. 도가(道家)와 불가(佛家)의 〈차〉 / 55
3. 도가의 약이었던 〈술〉 / 57
Ⅲ 〈소선(素膳)〉의 기본은 차와 다과(茶果) / 60
1. 《제민요술(齊民要術)》 〈소식〉 / 60
2. 당(唐), 송(宋)의 〈다연〉과 다과 전개 / 74
3. 백제의 〈소선〉 전개 / 78
4. 통일 신라의 선종 정착과 〈소선〉 / 87
5. 《거가필용(居家必用)》 〈소식〉 / 94
6. 고려 시대의 문헌 자료와 〈소선〉 / 115
Ⅳ 다례(茶禮)와 주례(酒禮)가 결합한 고려 왕실의 〈다연(茶宴)〉 / 124
1. 사회상 / 124
2. 도리천의 세계를 구현한 고려 왕실의 〈다연〉 / 129
제3장 다연식(茶宴食)의 성립 배경
Ⅰ 조엽수림 문화(照葉樹林文化) 속의 한반도 / 139
1. 조엽수림 문화란 / 139
2. 조엽수림 문화 속에서 전개된 주요 식자재 / 142
Ⅱ 조엽수림 문화를 대변하는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 속의 음식 문화 / 192
1. 중국 남조(南朝)의 사회상 / 192
2. 《형초세시기》의 〈팔관재계〉와 〈우란분재〉 / 194
3. 《형초세시기》의 세시 음식 문화 / 201
4.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의 세시 음식 문화 / 206
제4장 조선 왕조의 다연
Ⅰ 연향(宴享) 의례와 의궤(儀軌) / 215
Ⅱ 의궤의 예악관(禮樂觀) / 218
Ⅲ 동일한 흐름 속에서 전개된 왕실의 〈빈례〉와 〈가례〉 상차림 / 220
1. 1609년 《영접도감의궤》 〈빈례〉 상차림 / 220
2. 1630년 《풍정도감의궤》 〈가례〉 상차림 / 236
3. 1744년 《가례도감의궤》 〈가례〉 상차림 / 241
4. 빈례와 가례의 연향 상차림 찬품 비교 / 248
Ⅳ 《국조오례의》 〈빈례(賓禮)〉 / 250
1. 다례의(茶禮儀) / 250
2. 주례의(酒禮儀) / 263
3. 향례의(享禮儀) / 275
4. 연례의(燕禮儀) / 306
Ⅴ 누적된 1,000년의 〈소선(素膳, 素食)〉 문화 / 323
1. 한과(漢果, 과실 · 유밀과 · 떡)의 내용성, 장생불사 / 323
2. 1,000년의 〈소선〉 문화 속에서 발달한 한과 / 326
3. 조선 왕실의 〈소선〉을 결정한 요인 / 331
4. 조선 왕실의 〈소선〉 차림 문화 / 339
5. 고려인들이 선험(先驗)한 《수운잡방(需雲雜方)》의 〈소선〉 / 392
Ⅵ 연향식의 예술성 / 412
1. 예식(藝食)으로서 미(味)와 미(美) / 412
2. 고여 쌓아 담는 찬품은 성(聖)스러움의 표출 / 415
3. 아름답게 장식하여 차린 〈다담(茶啖)〉과 끽다(喫茶) 문화 / 419
4. 〈한과〉는 다양한 내용성(이야기)을 가진 예술 작품 / 426
제5장 나오는 글
Ⅰ 다연(茶宴) / 431
1. 다연식(茶宴食)의 성립 / 431
2. 조선 왕실의 연향은 왜 〈다연〉인가 / 432
Ⅱ 성격이 같은 〈빈례〉와 〈가례〉 상차림 / 436
Ⅲ 〈연상〉의 〈소선(素膳)〉과 상화는 1,000년이 누적된 선종 문화의 산물 / 438
참고문헌 / 441
색인 / 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