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류학/고고학 > 민속학
· ISBN : 9791191813067
· 쪽수 : 731쪽
· 출판일 : 2022-09-19
책 소개
목차
서문_음주문화 속에 꽃피운 술과 안주문화
제1장|우리의 술과 안주 문화
Ⅰ. 우리의 술과 안주 문화에 미친 음양사상
1. 상생(相生)과 상극(相剋), 예와 질서
1) 천도(天道)와 상생, 시간
2) 지도(地道)와 상극, 공간
3) 예(禮)와 질서
2. 유학에서의 인간에 대한 사유
3. 예(禮)를 갖춘 상차림과 음식지도(飮食之道)
4. 밥과 국을 중심으로 한 상차림
5. 사람과 신을 화합하게 만드는 매개체, 양의 산물 술과 악
6. 인간의 질서와 직결되는 음의 산물, 의례와 술안주
Ⅱ. 연향 속에서 펼쳐진 끽다문화
Ⅲ. 전개되는 이 책의 내용
제2장|고대의 술과 안주 문화
Ⅰ. 중국
1. 양조(釀造)
2. 동아시아 누룩의 기원
1) 곡물 싹 얼(糵)을 이용해서 만든 술
2) 산국과 병국의 성립
3. 흩임누룩인 산국(撒麴)시대
1) 은왕조(殷王朝)
2) 주왕조(周王朝)의 《주례》와 《의례》
3) 춘추(春秋)시대 시판된 술과 술안주 포
4) 전국(戰國), 진(秦), 한(漢)의 탁주문화
4. 떡누룩인 병국(餠麴)시대
1) 전한(前漢)에서의 병국 전개
2) 《제민요술(齊民要術)》의 술과 안주
3) 《제민요술》이 나오기까지 음식문화적 배경
Ⅱ. 한반도
1. 고대의 술문화
1) 한반도로 전파한 산국과 ‘숟가락으로 떠서 먹는 술’
2) 병국시대가 도래하다
제3장|중세의 술과 안주문화
Ⅰ. 중국
1. 수(隋)와 당(唐)
1) 개요
2) 끽다문화와 당과자, 설탕
3) 술과 안주
2. 북송(北宋)과 남송(南宋)
1) 개요
2) 끽다문화
3) 술과 안주
Ⅱ. 한반도
1. 통일신라시대
1) 사회적 배경
2) 왕실의 음주문화
2. 고려시대
1) 시문(詩文)으로 본 음주문화
2) 백제의 예주(醴酒)와 이화주(梨花酒)
3) 신라의 법주(法酒)를 잇다
4) 포도주와 소주의 등장
5) 《국순전》과 《국선생전》
6) 《박통사》와 《노걸대》를 통해서 본 음주문화
7) 다연(茶宴), 차와 술
제4장|근세의 술과 안주문화
Ⅰ. 원(元)과 《거가필용(居家必用)》
1. 개요
2. 《거가필용》
1) 제품다(諸品茶)
2) 제품탕(諸品湯)
3) 갈수번명 섭리백(渴水番名 攝里白)
4) 숙수류(熟水類)
5) 장수류(漿水類)
6) 법대로 만든 향약(法制香藥)
7) 과식류(果食類)
8) 수장과법(收藏果法)
9) 주국류(酒麴類)
10) 조제초법(造製醋法)
11) 제장류(諸醬類)
12) 제시류(諸豉類)
13) 온조엄장일(溫造醃藏日)
14) 소식(蔬食)
15) 엄장육품(醃藏肉品)
16) 엄장어품(醃藏魚品)
17) 조자품(造鮓品)
18) 소육품(燒肉品)
19) 자육품(煮肉品)
20) 육하주(肉下酒)
21) 육관장홍사품(肉灌腸紅糸品)
22) 육하반품(肉下飯品)
23) 육갱식품(肉羹食品)
24) 회회식품(回回食品)
25) 여진식품(女眞食品)
26) 습면식품(濕麵食品)
27) 건면식품(乾麵食品)
28) 종식품(從食品)
29) 소식류(素食類)
30) 전소유락품(煎酥乳酪品)
31) 조제분품(造諸紛品)
32) 포주잡용(庖廚雜用)
3. 우리의 식탁에서 보여주는 《거가필용》의 흔적
Ⅱ. 조선시대
1. 상차림을 지배한 음양사상
1) 《의례》 〈공식대부례〉와 우리의 상차림
(1) 술은 양, 안주는 음의 법칙을 준수한 〈공식대부례〉 상차림
2. 연향
1) 제향에서 출발한 연향
2) 제향과 연향에서 ‘술마심’이 지니는 의미
3) 조선왕실의 연향
4) 민중의 봉제사와 접빈객
3. 술은 어떻게 만들어 질까
1) 병국 만들기
2) 산국 만들기
3) 술 만들기
4. 술의 전개
1) 고조리서로 본 가양주의 전개
2) 상용약주와 약용약주
3) 속성주, 탁주, 예주
4) 이양주, 가향주
5) 과실주, 소주
5. 〈의궤〉로 본 왕실의 술안주와 주례
1) 개요
2) 작은 다연(茶宴)을 계승한 술상 반과상
3) 일상식과 의례식, 술안주
4) 행주에서의 주례(酒禮)와 예주(醴酒)
6. 풍속화 속의 음주문화
1) 《선묘조제재경수연도(宣廟朝諸宰慶壽宴圖)》
2) 《기사경회첩(耆社慶會帖》 중 〈본소사연도(本所賜宴圖)〉
3) 《수갑계첩(壽甲稧帖》
제5장|나가는 글_술과 술안주, 술마심의 의미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