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여성 시

한국 여성 시

(해방 이후부터 전쟁까지)

이병순, 구명숙, 김진희, 엄미옥 (엮은이)
역락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6,100원 -5% 0원
1,900원
34,200원 >
34,200원 -10% 0원
0원
34,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여성 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여성 시 (해방 이후부터 전쟁까지)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88955569025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11-03-30

책 소개

'한국 여성문학 자료집' 1권. '한국 여성문학 자료집'은 '해방과 전쟁, 그리고 여성문학'이라는 주제로 여성작가들의 작품을 수집.정리한 것으로, 전 3권으로 구성되었다. 1권에는 김경희, 김남조, 김일순, 노영란, 노천명, 모윤숙, 손소희, 오란숙, 이경희, 이명자, 이봉순, 이숭자, 이영도, 임옥인, 조애실, 지하련, 최귀동, 최현옥, 함혜련, 홍윤숙 등 총 20명의 시 308편이 수록되었다.

목차

서문:해방과 전쟁기 여성문학의 탐색과 복원 5

김경희
황혼(黃昏) 17

김남조
성숙(星宿) 21|잔상(殘像) 23|남은 말 25|별이 가져온 것 27|만종(晩鐘) 29|별리(別離) 31|어둠 33|꽃 35|고독(孤獨) 36|바다 가는 곳에 37|환호(歡呼) 39|묵주(?珠) 41|기다리는 밤 42|사랑 43|조춘(早春) 44|죄(罪) 47|심화(心火) 49|태양(太陽)의 각문(刻文) 50|합원(合願) 52|목숨 54|다시 한번 너의 목가(牧歌) 내 그리운 요람(搖籃)의 노래를 55|사야(邪夜) 57|낙엽(落葉) 59|월백(月魄) 60|수경(水鏡)의 노래 64|부동(不動)의 좌표(座標) 66|저심(底心) 68

김일순
은희(銀姬)의 노레 73

노영란
어머님 모습 77|무제(無題) 79|서곡(序曲) 81|화려(華麗)한 좌표(座標) 84|맥(脈) 93|조망대(眺望臺) 96|소녀(少女) 97|진주(眞珠)의 주검 98|여인(女人)은 방수포(防水布)를 감았다 99|간헐온천(間歇溫泉) 100|푸른 침묵(沈?) 101|초야(初夜) 102|반지 103|푸른 맥(脈) 104|창조(創造)의 연대(年代) 105|패배(敗北)의 아나키즘 106|절대악보(絶大樂譜) 107|신호(信號)의 임종(臨終) 108|혈구(血球) 109|밤의 악장(樂章) 110|푸른 별의 조국(祖國)으로 111|변막증(辨膜症) 112|열량계(熱量計) 113|자화상(自?像) 114|화려(華麗)한 미명(未明) 115|빛나는 서적(書籍) 117

노천명
오월(五月) 121|형제(兄弟)여 122|약속된날이 잇거니 124|님은 가시밭을 헤치고 127|꼿다발 128|강냉이 130|봄 131|아들의 편지 132|시인(詩人)에게 133|인경의 독백(獨白) 134|님 오시던 날 135|산딸기 136|장미(薔薇)는 꺾이다 137|그믐날 139|신년송(新年頌) 140|적적(寂寂)한 거리 141|나그네 142|유관순 누나 143|한매(寒梅) 144|곡 김구선생(哭 金九先生) 145|사랑방(舍廊房) 147|검정나비 148|혜성(彗星) 149|달빛 150|불덩어리 되어 151|별을 쳐다보며 153|무명전사(無名戰士)의 무덤앞에 154|희망(希望) 157|설중매(雪中梅) 158|아름다운 얘기를 하자 159|그리운 마을 160|어떤 친구에게 161|산염불(山念佛) 162|농가(農家)의 새해 163|송년부(送年賦) 164|북(北)으로 북(北)으로 166|조국(祖國)은 피를 흘린다 168|상이군인(傷痍軍人) 169|이산(離散) 171|기계(機械)소리 172|눈보라 173|그네 174|임진송(壬辰頌) 175|눈이 찾아주는 날 176|마음은 푸른 하늘을 177|별은창(窓)에 178|지옥(地獄) 179|그믐날 180|고함(高喊)을 칠것 같아 181|누가 알아주는 투사(鬪士)냐 182|저승인가 보다 184|철창(鐵窓)의 봄 185|언덕 186|모녀(母女)의 출감(出監) 187|잍해보다 한주일 188|면회(面會) 189|콩 한알은 황소가 한마리 190|유명하다는 것 191|거지가 부러워 192|개 짓는 소리 193|감방 풍경 194|짐승 모양 195|고별(告別) 196|이름없는 여인(女人)되어 198|조춘(早春) 199|아내 200|제야(除夜) 201|고향(故鄕) 202|희(姬)야 돌아가라 204|유월(六月) 206|둘씩 둘씩 207|만추(晩秋) 208|꽃길을 걸어서 209|추풍(秋風)에 부치는 노래 211

모윤숙
삼팔선(三八線)의 밤 215|우리 군대 218|진통 220|옥비녀 221|C선생(先生)께 225|출발 226|등대직이 아가 227|비운(悲運)의 악사(樂師)에게 229|화랑(花郞) 230|색동나라 233|K양(孃)에게 234|국화(菊花) 235|십이월(十二月) 밤 237|갈숲에서 오는소리 239|장미의 말 241|그 음성 243|부전호 246|애기의 창(窓) 247|찾아 가는 길 248|달 없는 밤에도 250|침묵(沈?) 252|포푸라숲 253|야경(夜景) 254|유월(六月)의 밤 255|미풍(微風)의 게명 256|수선(水仙) 258|잠든 눈 259|달 웃는 시내에 260|물가에 앉아 261|촌(村) 가가 262|남빛 새 263|절룸바리 265|라이락숲으로 266|밤 없는 날의 노래 267|어느 여인(女人) 269|오시지 않았는데 271|밤 호수(湖水) 272|어머니 273|즐겨 부르던 내 노래야 274|밀밭에 선 여자 276|단풍 278|사월(四月)노래 279|반딧불 280|송가(頌歌) 283|바침 284|청년(靑年)에주는노래 285|단오로다 창포시절 287|할미꽃 288|홍치마 290|조국(祖國)의 꽃 292|가을소제(小題) 294|영원히 빛나리 조선의 딸 유관순 295|어대로가려는가 297|나도 가야합니다 299|올림픽에보내노라 301|어머니여 일어나자 305|타지마할 307|당신의 수레 310|위안(慰安) 312|갑판 314|하와이 색시들 316|달마지 318|기다리든 그날 320|모쓰코바에서 온 사람들 326|논드렁길 329|수수밭에서 330|깨여진 서울 331|오양간의 하루밤 334|무덤에 나리는 소낙비 335|국회원 방송 336|숨어 오르는 길 337|수수밥 짓기 339|달밤 341|끌려간 사람들 (희복에게) 342|어머니의 기도 345|비밀전쟁 346|서울 나오던 밤 347|경주ㅅ 길 348|수용소의 밤 349|대숲 351|낙동강 물 352|밀항의 밤 353|당신의 신부로 (상이군인 혼인식에서) 354|선봉자(先鋒者) (정일권 중장에게) 355|국군은 죽어서 말한다 357|장행(壯行)의 날 (김활란(金活蘭) 박사(博士)에게) 362|달 365|기다림 366|그대 눈으로 367|모르겠어요 369|동백꽃 370|바닷길 371|송도해변(松島海邊) 372|바닷별 373|밤과함께 374|웰캄 아이젠하워 376|또한번 기원(祈願) 378|매화주(梅花酒) 380|창경원 온실(溫室)에서 382|유혹 385|아씨! 문을열고 나오세요 388

손소희
초원(草原) 391|동경(憧憬) 392|강산(江山)에 붙이는 가을의 노래 393|소하(小河)의 우(憂)수 394

오란숙
구름 397|아침 398|비 오는 밤 400|추일(秋日) 401|촌(村) 정거장(停車場) 402

이경희
널뛰기 405

이명자
조가(弔歌) 409

이봉순
우물 413

이숭자
저녁 417|기원(祈願) 418|빛(光) 419|추사(秋思) 420|화석(化石)으로 되는 날 421|녹음(綠蔭)의 노래 423|불꽃 425|심호(心湖) 427|이향(異鄕) 429|담천(曇天) 431|은행나무 433|나의 등불 435|남해충렬사(南海忠烈祠) 437

이영도
제야(除夜) 441|낙화(落花) 442|춘소(春宵) 443|먼 생각 444|맥령(麥嶺) 445|병고(病孤) 446|먼 등불 447|제승당(制勝堂) 448|세병관(洗兵?) 449|노을 450|삼월(三月) 451|폭포 452|낙화(落花) 453|학원(學園)의 시(詩)-졸업연(卒業宴) 454|학원(學園)의 시(詩)-순행(巡行) 455|학원(學園)의 시(詩)-방학 456|가는 길 457|너 노래 458|무지개 459|등대 460|바다 461|열녀비(烈女碑) 462|무릉(武陵) 463|어디로 가야하리 464|하늘 465|봄 466|고가(古家) 467|빗소리 468|시조삼제(時調三題)-아침 469|시조삼제(時調三題)-신록(新綠) 470|시조삼제(時調三題)-추야(秋夜) 471|화관(花冠) 472

임옥인
오월(五月)과함께 우리 모다 가까히 앉아 475

조애실
제야(除夜) 479|고지(高地)의 장송곡(葬送曲) 481|전적(戰跡) 483

지하련
어느야속한동족(同族)이잇서 487

최귀동
젤뜨루다의 사랑 491

최현옥
편지 495|백도라지 496

함혜련
보리밭 499|만가(輓歌) 500|카-네숑 501|박꽃 502|옛날 504|묘상(描像) 505|피리의 바다 506

홍윤숙
가을 511|낙엽(落葉)의 노래 513|소녀(少女) 515|너의 장도(壯途)에 516|산상(山上)에서 517|황혼(黃昏) 519|백양(白楊)에 부치는 노래 520

해설:해방기 한국 여성 시인론(김재홍) 523

저자소개

이병순 (엮은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현대소설을 전공하여 「해방기 소설에 나타난 이념지향성 연구」로 문학박사학위 취득. 저서로 『해방기 소설 연구』 『여성작가의 문학과 삶』 등이 있다. 2018년 현재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지식융합학부 조교수로 재직중이다.
펼치기
구명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대 명예교수 숙명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동 대학원졸업 독일 프리드리히 나우만Friedich Naumann 재단 장학생 독일 빌레펠트Bielefeld 대학교 어문학부 대학원 박사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부 교수
펼치기
김진희 (엮은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문학박사를 받았다. 1999년 『지구문학』에 「조지훈론」으로 등단하고 1999년 ‘제3회 에피포도문학상’ 평론부분을 수상했다. 숙명여대 리더십 개발원의 연구원 및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과제지원 토대연구’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 한국 여성문학 자료 수집.정리」의 책임연구원으로 참여했다. 2018년 현재 숙명여대 한국어문학부 강사로 있으며 한국어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인문학콘텐츠의 개발연구를 진행 중이다. 박사논문으로 「한국 근대 기행시 연구」(2008)가 있으며, 공저로 『한국 여성문학 자료집』1-6권 등이 있다.
펼치기
엄미옥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74년 출생, 숙명여자대학교 국어국문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강대학교와 숙명여자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고 있으며,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석사학위논문인 '김유정 소설의 욕망과 서술상황 연구'와 박사학위논문인 '한국근대 여학생 담론과 그 소설적 재현 연구'를 비롯하여 '자유부인'에 나타난 의복의 정치학' '한국전쟁기 여성 종군작가 소설연구' '상상된 공감, 소통의 시학 - 「나마스테」에 나타난 법과 인권을 중심으로'등이 있다. 저서로는 '다락방에서 타자를 만나다' '근대 知의 성립'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