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떼스마스크의 悲劇 그와 그들의 戀人

떼스마스크의 悲劇 그와 그들의 戀人

(1950년대 최정희 신문연재소설)

최정희 (지은이), 이병순 (엮은이)
푸른사상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500원 -10% 0원
1,750원
29,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떼스마스크의 悲劇 그와 그들의 戀人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떼스마스크의 悲劇 그와 그들의 戀人 (1950년대 최정희 신문연재소설)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한국소설 > 2000년대 이전 한국소설
· ISBN : 9791130812533
· 쪽수 : 488쪽
· 출판일 : 2018-01-20

책 소개

소설가 최정희가 1950년대 신문에 연재했던 두 편의 장편소설 '떼스마스크의 悲劇'과 '그와 그들의 戀人'이 이병순 교수의 편저로 출간되었다. 두 작품에서 작가 최정희는 자신이 생각하는 올바른 가치관, 주로 여성상에 대한 관점을 피력하고 있다.

목차

떼스마스크의 悲劇
그와 그들의 戀人

작품해설: 1950년대 중반 최정희의 장편소설 연구
최정희 연보
최정희 작품 목록

저자소개

최정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06년 함북 성진군 예동에서 태어났다. 1924년 상경하여 동덕여학교에 편입학, 다시 1925년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에 편입학해서 1928년 졸업했다. 같은 해 서울 중앙보육(中央保育)학교에 입학, 1929년 졸업한 후 경남 함안의 함안유치원 보모로 근무했다. 1930년에는 일본으로 건너가 동경 삼하(三河)유치원 보모로 일하면서, 유치진, 김동원 등이 있던 학생극예술좌(學生劇藝術座)에 참여했다. 1931년 일본에서 귀국, 종합지 ≪삼천리(三千里)≫에 입사했다. 같은 해 <정당한 스파이> 발표, 이후 <명일(明日)의 식대(食代)>(1932), <룸펜의 신경선>(1932) 등을 발표했다. 이 시기 작품들은 경향파 문학의 경향을 보인다. 1934년 프롤레타리아 예술동맹의 강제 해산 및 검거 사건에 연루되어 맹원도 아니면서 유일한 여성 작가로 전북 전주형무소에 수감됐다. 1935년 출옥 후 조선일보사에 입사했다. 1937년 ≪조광≫에 단편소설 <흉가>를 발표, 최정희 본인과 많은 최정희 문학 연구자들은 이 작품을 데뷔작으로 인정하고 있다. 이후 <산제>(1938), <지맥(地脈)>(1939), <인맥(人脈)>(1940), <천맥(天?)>(1941) 등을 발표했다. 이 시기 작품들은 주로 여성 문제를 주제로 하여 사회 비판 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1939년 연출가인 남편 김유영이 사망했다. 김유영과는 1931년 결혼 후, 장남 익조를 얻었다. 김유영 사망 후 시인 김동환과 결혼했다. 1942년에는 <장미의 집>, <야국초(野菊抄)>등의 친일적인 작품을 쓰기도 했다. 1947년 <점례>, <풍류 잡히는 마을>을 발표했다. 1950년 전쟁 중에 남편 김동환이 납북되었다. 1951년 종군작가단에서 종군기자로 활약했다. 1954년에는 서울시 문화위원에 위촉되었다. 1960년 발표한 ≪인간사(人間史)≫에서는 일제 말기에서 4·19혁명에 이르기까지의 격동기를 살아간 지식인의 모습을 비판적으로 그리고 있다. 1969년 한국여류문학인협회장에, 1970년 예술원 회원에 선임되었다. 조연현(趙演鉉) 문학상 운영위원, 한국소설가협회 대표위원으로도 활동했다. 단편집으로는 ≪천맥(天脈)≫(1948), ≪풍류 잡히는 마을≫(1949), ≪바람 속에서≫(1955), ≪찬란한 대낮≫(1976), ≪탑돌이≫(1976) 등이 있다. 장편소설로는 ≪녹색의 문≫(1954), ≪별을 헤는 소녀들≫(1962) 등이 있고, 그 외에 동화집, 수필집 등이 있다. 1958년 장편소설 ≪인생찬가≫로 제8회 서울시문화상을, 1964년 장편소설 ≪인간사≫ 로 제1회 여류문학상을 받았다. 대한민국예술원상(1972), 3·1문화상(1982)을 받았다. 1990년 노환으로 정릉 자택에서 별세했다. 딸인 지원과 채원은 소설가이며, 김지원은 <인맥>에 글을 덧대 최정희 사후 장편소설 ≪소금의 시간≫(1996)을 출간했다.
펼치기
이병순 (엮은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현대소설을 전공하여 「해방기 소설에 나타난 이념지향성 연구」로 문학박사학위 취득. 저서로 『해방기 소설 연구』 『여성작가의 문학과 삶』 등이 있다. 2018년 현재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지식융합학부 조교수로 재직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최정희는 한국 근현대문학사에 뚜렷한 족적을 남긴 대표적인 여성 소설가다. 그녀는 「인맥」, 「지맥」, 「천맥」 등 이른바 삼맥 시리즈와 「풍류 잡히는 마을」, 「정적일순」 등의 작가로, 또 시인 김동환의 아내이자 소설가 김지원과 김채원의 어머니로도 잘 알려져 있다.
이 책은 그런 최정희가 1950년대 일간지에 연재했던 두 편의 장편소설을 묶은 것이다. 그녀의 오래전 두 작품을 세상에 내놓는 이유는 간단하다. 연구자들에게는 그동안 알지 못했거나 구할 수 없었던 작품을 제공해 연구의 토대를 마련해주고자 함이고, 일반 독자들에게는 1950년대 삶의 현실과 최정희 문학의 일면을 경험해볼 수 있는 기회를 주기 위해서이다. 그러기 위해 소설의 원문 역시 당대 신문에 연재된 표기 그대로 살려 썼고, 작품 뒤에는 이 두 소설에 대해 쓴 내 논문을 첨부했다.
- 책머리에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