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호모 사케르

호모 사케르

(주권 권력과 벌거벗은 생명)

조르조 아감벤 (지은이), 박진우 (옮긴이)
새물결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100원 -10% 0원
1,450원
24,6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호모 사케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호모 사케르 (주권 권력과 벌거벗은 생명)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88955592320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08-02-15

책 소개

이탈리아 정치 철학자 조르조 아감벤이 모든 정치 현상의 원인인 동시에 모든 철학적 사유의 아포리아로 남아 있는 핵심적인 사실을 ‘호모 사케르’라는 로마 시대의 현상을 화두로 삼아 서구의 철학사와 제1철학을 전복적인 재구성을 시도한 야심작. 새물결에서 펴내는 'What's up' 시리즈 중 하나다.

목차

What's up 총서를 발행하며
옮긴이 서문 - '담론'을 넘어 '생명'으로
서문

01. 주권의 논리
주권의 역설
주권자의 노모스
잠재성과 법
법의 형식
경계 영역

02. 호모사케르
호모 사케르
신성함의 양가성
신성한 생명
'생사여탈권'
주권자의 신체와 신성한 신체
추방력과 늑대
경계 영역

03. 근대 생명정치의 패러다임으로서의 수용소
생명의 정치화
일권과 생명정치
살 가치가 없는 생명
"정치란 달리 말해서 인민의 생명에 일정한 형식을 부여하는 것이다"
VP(인간 모르모트)
죽음을 정치화하기
수용소, 근대성의 '노모스'
경계 영역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조르조 아감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2년 로마에서 태어났다. 시몬 베유의 정치철학에 관한 박사논문을 썼고, 마르틴 하이데거의 토르 세미나(1966, 1968)에 참가했다. 바르부르크연구소(The Warburg Institute)에서 연구했고, 이탈리아 벤야민 전집 편집에 관여했으며, 파리 국제철학학교에서 세미나를 진행하면서 동시대 프랑스 철학자들과 교유했다. 하이데거, 발터 벤야민, 미셸 푸코, 질 들뢰즈 등의 문제틀을 이어받은 동시에 고대 헬라스 철학과 중세 철학에 대한 문헌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차별화된 글쓰기를 보여준다. 1995년부터 2014년까지 장장 20년 동안 『호모 사케르(Homo Sacer)』(1995-2014) 프로젝트를 완성했다. 그 밖에도 『내용 없는 인간(L’uomo senza contenuto)』(1970), 『언어활동과 죽음(Il linguaggio e la morte)』(1982), 『도래하는 공동체(La comunità che viene)』(1990), 『목적 없는 수단(Mezzi senza fine)』(1996), 『열림(L‘aperto)』(2002), 『사유의 능력(La potenza del pensiero』(2005), 『철학이란 무엇인가?(Che cos’è la filosofia?)』(2016), 『창조와 아나키(Creazione e anarchia)』(2017) 등의 저서를 펴냈다.
펼치기
박진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학사 및 석사를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5대학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건국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팬데믹 순간과 ‘뉴노멀’의 문화정치》, 《청년 세대의 분노와 혐오표현의 탄생》, 《미디어 생산연구의 계보 : 연구 전통과 자원의 계승 및 단절》,《집단감성의 계보》(2017, 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는 조르조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 및 《왕국과 영 광》등이 있다.
펼치기
박진우의 다른 책 >

책속에서

신의 폭력에 대한 정의는 그것을 예외 상태와 결부시킬 때 한결 더 쉽게 내려진다. 주권적 폭력은 법과 자연, 외부와 내부, 폭력과 법 사이의 비식별역을 창출해낸다. 그렇지만 주권자란 바로 그것들을 식별 불가능하게 만드는 만큼 또한 그것들을 식별해내는 능력을 보유한 자라고 할 수 있다.-p147 중에서

...우리의 가장 큰 관심사는 근대성의 특징인 새명정치적 지평하에서는 과거 오로지 주권자만이 진입할 수 있던 이 경계 지역 속으로 의사와 과학자들이 진입해 들어오고 있다는 점이다.-p303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