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에서의 기술에 관한 물음

중국에서의 기술에 관한 물음

(알고리즘 시대 인문학의 새로운 시작 : 코스모테크닉스 시론)

허욱 (지은이), 이철규, 조형준 (옮긴이)
새물결
3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2,400원 -10% 0원
1,800원
30,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에서의 기술에 관한 물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에서의 기술에 관한 물음 (알고리즘 시대 인문학의 새로운 시작 : 코스모테크닉스 시론)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55594171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9-04-16

책 소개

Up to you 총서 3권. 21세기의 디지털 문명 시대, '동양학'을 어떻게 새롭게 시작할 것인가? 동양철학과 서양철학은 어디서 어떻게 근본적으로 다르고, 왜 회통해야 하는가? '동도서기'나 '중체서용'의 논리 속에서 동요해온 동양의 근대를 발본적으로 반성한다.

목차

옮긴이 서문 … 27
서문 … 61

서론 67
1. 프로메테우스 되기 … 74
2. 우주, 우주론, 코스모테크닉스 … 85
3. 테크놀로지적 파열과 형이상학적 통일 … 101
4. 근대(성), 근대화 그리고 기술성 … 106
5. 무엇을 위한 ‘존재론적 전회’인가? … 113
6. 방법에 대한 몇 가지 노트 … 121

1부 중국의 테크놀로지 사상을 찾아서

7. 도와 우주: 도덕 원리 … 129
8. 폭력으로서의 테크네 … 138
9. 조화와 하늘 … 149
10. 도 - 기: 덕 대 자유 … 157
10. 1. 도교에서의 기와 도: 포정해우 … 171
10. 2. 유교에서의 기- 도: 예의 복원 … 179
10. 3. 스토아학파적 코스모테크닉스와 도교적 코스모테크닉스에
대한 논평 … 187
11. 저항으로서의 기- 도: 당대의 고문 운동 … 201
12. 초기 신유교에서의 유물론적 기氣 이론 … 206
13. 명대의 송응성의 기술백과사전에서의 기- 도 … 210
14. 장학성과 도의 역사화 … 220
15. 아편전쟁 후의 기- 도의 파열 … 224
16. 기- 도의 붕괴 … 231
16. 1. 장군매: 과학 그리고 삶의 문제 … 232
16. 2. 중국 본위의 문화 건설 선언과 그에 대한 비판자들 … 235
17. 니덤의 질문 … 238
17. 1. 유기적 사유양식과 자연의 법칙들 … 241
18. 모종삼의 응답 … 246
18. 1. 칸트의 지적 직관에 대한 모종삼의 전유 … 246
18. 2. 모종삼에서 양지의 자기 - 부정 … 257
19. ‘자연 변증법’과 형이상학의 종언 … 264

2부 근대(성)와 기술 - 의식

20. 기하학과 시간 … 273
20. 1. 고대 중국에서의 기하학의 부재 … 275
20. 2. 기하학화와 시간화 … 281
20. 3. 기하학과 우주론적 특수성 … 289
21. 근대(성)와 테크놀로지 - 의식 … 297
22. 근대(성)의 기억 … 305
23. 니힐리즘과 근대 … 317
24. ‘근대 초극’ … 325
25. 포스트모던의 상기 … 346
26. 귀향의 딜레마 … 361
27. 인신세에서의 중화미래주의中華未來主義(1839~2046년) … 369
28. 또 다른 세계사를 위하여 … 381

찾아보기 … 393

저자소개

허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콩대학교 컴퓨터엔지니어링학부에서 인공지능과 함께 분석철학을 공부한 후 영국의 골드스미스에서 스티글러의 지도 아래 본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디지털과 인공지능연구를 중심으로 사변적 실재론이나 객체지향철학 바깥에서 서구철학과 형이상학을 새로운 방향에서 ‘탈구축’ 중인 신진철학 자로 국제적 명망이 높다. 독일 뤼네부르크 로이파나대학교의 ‘참여기술-생태학’ 프로젝트 연구원이며, 같은 대학교 철학연구소에서 가르치고 있다. 또한 중국 항저우에 있는 중국미술학원의 초빙교수이자 시몽동국제연구센 터(인간과학의 집, 파리)의 멤버이기도 하다. 특히 『메타필로소피』, 『현상 학연구』, 『파르헤지아』, 『카이에 시몽동』, 『기술철학연감』 같은 저널에 기술철학 및 매체철학에 관해 논문을 발표해왔다. 지은 책으로 『디지털적 대상의 존재에 대하여』, 『중국에서의 기술에 관한 물음』, 『재귀성과 우연성』 등이 있다. 『‘비물질성’ 이후 30년: 예술, 과학, 이론』의 공동편집을 맡기도 했다. 현재 로테르담 에라스무스대학교 교수로 있다.
펼치기
조형준 ()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 졸업, 동대학원 수료. 대표적인 역서로는 안토니오 그람시의 《그람시와 함께 읽는 문화: 대중문화/언어학/저널리즘》, 움베르토 에코의 《포스트모던인가 새로운 중세인가》, 프랑코 모레티의 《근대의 서사시: 괴테의 “파우스트”에서 마르케스의 “백년의 고독”까지》, 얀 아르튀스-베르트랑의 《하늘에서 본 지구》(공역)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