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디지털적 대상의 존재에 대하여

디지털적 대상의 존재에 대하여

(대상, 관계, 논리 : www부터 인공지능까지)

육휘(허욱) (지은이), 조형준, 이철규, 임완철 (옮긴이)
새물결
4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4,100원 -10% 0원
2,450원
41,6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디지털적 대상의 존재에 대하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디지털적 대상의 존재에 대하여 (대상, 관계, 논리 : www부터 인공지능까지)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55594317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21-10-05

책 소개

지난 20세기말에 서구지성계에 등장한 강력한 지적 조류로 알려진 ‘포스트모더니즘’의 경우 이념적으로 그것이 상징하는 것이 ‘이성의 패배’였다면 다른 한편 ‘현실에서’ 그것이 상징하는 것은 ‘기술의 승리’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역자서문
한국어판 서문

서론 ⎯ 디지털적 대상의 탐구: 개요

대상 57
자연적 대상: 실체와 주체 사이에서/기술적 대상: 실체로부터 ‘환경’으로/디지털78
디지털물리학과 컴퓨터적 형이상학78
정보철학82
디지털적 대상: 물질이 기술시스템과 맺는 관계86
존재94
방법: 크기의 등급94
개체발생: 온톨로지들 대 존재론99
망상화와 수렴103
본서의 구조110

1부 대상117

1장 디지털적 대상의 발생120
디지털적 대상과 그것의 ‘환경’
대상과 데이터의 이중운동125
기술적 대상의 개별화133
GML로부터 HTML로: 기술적 경향으로서의 형태139
질료형상론과 개별화143
XML과 웹온톨로지의 등장150

2장 디지털적 대상과 온톨로지163
디지털적 대상의 기원164
존재-인식론과 제1철학169
온톨로지 그리고 지식의 재현175
후설과 형식적 존재론의 기원179
기계 지향성과 컴퓨터적 온톨로지188
캔트웰 스미스의 대상들의 기원론194
온톨로지에서 기초존재론으로199
하이데거 그리고 닦달의 기원205
대상의 탈착과 세계에의 부착209

2부 관계215
3장 네트워크의 공간217
용재자 대 전재자219
기술적 대상, 기호 그리고 공간224
관계에 대한 하이데거의 해석?230
후설과 소여성-문제233
관계적인 것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딜레마와 중세의 해석들237
아리스토텔레스적 실체-우유성 짝 맺기에 대한 흄의 비판 244
후설의 ‘급진적’ 흄 ‘해석’249
흄의 철학적 관계252
관계의 형식화: 라이프니츠와 러셀260
관계논리와 관계형DB265
관계, URI 그리고 정보검색268
‘환경’과 세계: 윅스퀼과 하이데거에 대해273
기술과 ‘환경’: 르루아-구랑과 스티글러에 관해280

4장 기술시스템의 시간 285
간주체성과 맥락291
맥락과 ‘환경’297
간대상적 관계301
기술진보로서의 간대상성308
‘환경’으로부터 시스템으로312
정보시스템과 웹317
간대상적 관계로서의 시간320
기술시스템 속의 시간324
시계-시간325
논리적 시간329
위상(학)적 시간332
기술진보의 한계 그리고 수렴337

3부 논리(학)345
5장 논리(학)와 대상347
변환적 논리[학]를 향해349
논리학과 존재론355
논리학에서의 대상과 개념359
웹상에서의 의미와 지시364
후설과 논리학비판368
지향적 행위와 초월론적 논리학377
의미, 지시(대상) 그리고 의미지평382
대상과 상상력386
생활세계와 범주적 형태의 결정화391
간대상성으로부터 간주체성으로 그리고 역으로396

6장 논리(학)와 시간403
하이데거의 첫 번째 전회408
하이데거와 위너의 언어 및 시간론413
칸트의 회피와 종합의 본질417
시간적 종합과 형이상학의 기초421
칸트 이후의 네 번째 종합425
종합으로서의 알고리즘429
재귀성과 컴퓨터적 해석학435
3차 예지438
네 번째 종합 이후의 반복444
시스템 이후의 ‘환경’: 기계학을 향해450

감사의 말458
<찾아보기>460

저자소개

허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콩대학교 컴퓨터엔지니어링학부에서 인공지능과 함께 분석철학을 공부한 후 영국의 골드스미스에서 스티글러의 지도 아래 본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디지털과 인공지능연구를 중심으로 사변적 실재론이나 객체지향철학 바깥에서 서구철학과 형이상학을 새로운 방향에서 ‘탈구축’ 중인 신진철학 자로 국제적 명망이 높다. 독일 뤼네부르크 로이파나대학교의 ‘참여기술-생태학’ 프로젝트 연구원이며, 같은 대학교 철학연구소에서 가르치고 있다. 또한 중국 항저우에 있는 중국미술학원의 초빙교수이자 시몽동국제연구센 터(인간과학의 집, 파리)의 멤버이기도 하다. 특히 『메타필로소피』, 『현상 학연구』, 『파르헤지아』, 『카이에 시몽동』, 『기술철학연감』 같은 저널에 기술철학 및 매체철학에 관해 논문을 발표해왔다. 지은 책으로 『디지털적 대상의 존재에 대하여』, 『중국에서의 기술에 관한 물음』, 『재귀성과 우연성』 등이 있다. 『‘비물질성’ 이후 30년: 예술, 과학, 이론』의 공동편집을 맡기도 했다. 현재 로테르담 에라스무스대학교 교수로 있다.
펼치기
조형준 ()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 졸업, 동대학원 수료. 대표적인 역서로는 안토니오 그람시의 《그람시와 함께 읽는 문화: 대중문화/언어학/저널리즘》, 움베르토 에코의 《포스트모던인가 새로운 중세인가》, 프랑코 모레티의 《근대의 서사시: 괴테의 “파우스트”에서 마르케스의 “백년의 고독”까지》, 얀 아르튀스-베르트랑의 《하늘에서 본 지구》(공역)가 있다.
펼치기
이철규 (옮긴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임완철 (옮긴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책속에서

본서는 디지털적 대상을 통해 철학사를 읽는 동시에 철학을 통해 디지털적 대상의 역사를 읽기 위한 노력에서 나온 결과이다. 결국 우리는 컴퓨터화가 철학 못지않게 철학적임을 볼 수 있을 것이다. …… 그동안 디지털미디어에 대한 성찰은 디지털과 정보에 초점을 맞추어왔으며, 최근 점점 더 데이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반면 디지털적 대상이라는 개념은 여전히 해명되어야 할 상태에 있는데, 간단히 말해, 디지털적 대상의 물성物性과 실존론적 지위는 거의 물음의 대상이 되어오지 않았다.


우리는 막상 손에 쥔grip 모바일폰에 대해 얼마나 파악하고grasp, 개념적으로 장악하고begreifen 있을까? 디지털이라면 ‘코딩’, ‘비대면교육’ 등 응용이나 적용만 잘하면 되는 ‘기술문제’ 아닌가? ‘모바일폰’ 같은 최첨단 기기를 ‘디지털적 대상’으로 개념화해 ‘과학의 대상’으로 삼은 다음, 그것의 ‘존재’를 ‘물음’으로 바꾸어 철학적으로 사유하는 본서가 얼마나 야심찬 기획인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역자서문)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