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미셸 푸코
· ISBN : 9788955866742
· 쪽수 : 212쪽
· 출판일 : 2021-06-25
책 소개
목차
1장 들어가는 말 · 9
1. 개인적 이력과 판본들 · 11
2. 판본학적 문제 · 20
2장 『임상의학의 탄생』―초판과 개정판의 차이점 · 25
1. 사상적 배경 · 26
2. 방법론적 차이―‘시니피에의 구조적 분석’에서 ‘역사적 담론 분석’으로 · 30
1) 서문 · 30
2) 결론 · 41
3) 요약―시니피에로부터 담론으로 · 44
3장 『임상의학의 탄생』 서문 · 47
임상의학의 탄생 조건들 · 50
1) 공간, 언어작용, 시선 · 50
2) 보기/말하기, 또는 시선/언어작용의 쌍 · 62
3) 구체적 ‘아 프리오리’, 또는 인식론적 장(場) · 76
4) ‘여전히 우리가 속해 있는’ 칸트적 비판의 시대 · 78
5) 주석의 비판―파롤에서 언표와 담론으로, 또는 소쉬르에서 니체로 · 83
6) 역사적·비판적 탐구 · 94
4장 『임상의학의 탄생』 본문 · 99
1. 공간과 분류 · 99
1) 인식론적 단절―진리 놀이들 · 99
2) 근대 의학의 인식론적 단절―세 번의 새로운 공간화 · 103
2. 어떤 정치적 의식 · 120
3. 자유로운 장 · 127
1) 병원 구조에 대한 의문 · 128
2) 의료행위와 교육에 관한 법률 · 130
4. 임상의학의 유구한 역사 · 132
5. 병원의 교훈 · 137
1) 공화력 3년(1894-1895) 3월 14일의 조치들 · 138
2) 공화력 5년과 6년(1896-1898)의 개혁과 토론들 · 139
3) 카바니스의 개입과 공화력 6년(1897-1898)의 개혁 · 140
6. 징후와 사례 · 143
1) 지식의 코드들 · 144
2) 분류의학적 ‘공간’으로부터 임상의학적 ‘시간’으로 · 147
3) 임상의학자의 ‘시선’과 철학자의 ‘반성’이라는 쌍둥이 · 151
4) 카바니스의 원칙들 · 153
7. 보기/알기 · 154
8. 시체를 몇 구 열어 보세요 · 157
1) 표면의 시선 · 158
2) 분류에서 환부로 · 162
3) 죽음과 ‘생기론’ · 165
9. 가시적 비가시성 · 175
1) ‘생명-질병-죽음’의 삼위일체 · 175
2) 병리학적 생명 · 176
3) 보기/읽기의 놀이 · 179
4) 죽음, 진실과 서정 · 181
10. 열병의 위기 · 183
브루세의 혁명―공간적 탐구의 확립 · 183
5장 『임상의학의 탄생』 결론 · 189
6장 나가는 말―말과 사물, 또는 사물의 질서 · 205
참고문헌 · 208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결국 푸코는 고전주의 시대의 폼과 근대의 벨의 차이가 의학적 진보가 아니라, 단지 사물을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일 수도 있음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자연과학의 역사는 ‘자연’ 그 자체의 역사가 아니라, 자연을 바라보는 우리 ‘관념’의 역사이다. 그러나 푸코는 여하한 경우이든 18세기 말-19세기 초에 서양의학의 역사, 보다 정확히는 서양의학 담론의 역사에 거대한 변화가 일어났음을 긍정하고 있다. 의학사의 ‘근대’가 열린 것이다.
비샤를 비롯한 서양 근대 의학자들, 곧 근대 임상의학자들은 바로 이러한 인식의 한계를 ‘인간’의 신체에 대해 설정한 인물들이다. 이 한계 지어진 신체가 ‘개체’이다. 이제 연구의 대상은 무시간적이고 보편적인 지식으로서의 아리스토텔레스적 인간의 신체 일반(무한)이 아니라, 한계 지어진 신체, 곧 개체(유한)이다. 근대 의학이란 이 개체에 대한 임상적 해부에 기초한 의학이다. 이는 달리 말해 원리와 이론이 앞서던 아리스토텔레스, 히포크라테스, 갈레노스 이래의 서양 ‘이론의학’에 대한 임상의학의 독립선언이다.
임상의학의 탄생은 단지 이전 의학에 존재했던 특정 개념의 변화에 의한 것이 아니다. 임상의학의 탄생 조건은 질병에 대한 담론 가능성 자체의 재구성이며, 이는 의학적 경험을 가능케 했던 조건들, 또는 조건들의 배치 구조 자체의 변형이다. 따라서 우리가 탐구해야 할 것은 그러한 변형을 가능케 했던 역사적 조건들에 대한 역사적·비판적인 연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