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생명과학 > 생명과학
· ISBN : 9788956053790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09-08-24
책 소개
목차
머리말
들어가며 광우병이라는 이름의 공포
1장 양들의 침묵 ― 스크래피
양들의 침묵
스크래피, 스페인 왕실의 음모?
유럽에 확산된 스크래피
수의학의 발전과 스크래피 연구
스크래피는 전염되는가?
2장 크로이츠펠트와 야코프
뇌, 의학연구의 최전선
흔적 없는 암살자
미분류 치매의 처리장
리비아 유태인과 크로이츠펠트야코프병
3장 쿠루와 식인 습관
에덴동산의 어두운 과거
악령 또는 식인 습관의 복수?
4장 실험실로 간 스크래피
실험실 연구
에든버러의 유전학 연구
트로이의 목마
5장 불사조 스크래피
슬로 바이러스 혹은 바이리노?
방사선 생물학과 스크래피
유전학의 중심 가설
스크래피 병원체 구성체 논쟁
6장 첫 번째 노벨상 ― 칼턴 가이듀섹
스크래피와 쿠루 ― 동일한 질병?
침팬지 조지트
전염성 해면상뇌증과 노벨의학상
7장 프리온 ― 감염성 단백질
스탠리 프루지너, 연구에 뛰어들다
감염체 분리와 화학 처리 실험
프리온 : 감염성 단백질
8장 프리온 논쟁(1982~1997)
전쟁의 시작
프리온 유전자의 발견
프리온 단백질과 감염성의 문제
9장 승자는 모든 것을 갖는다 ― 두 번째 노벨의학상
이식 유전자 실험
지킬 박사와 하이드 단백질
미해결 사건 : 프리온
승자는 모든 것을 갖는다
10장 비극의 씨앗 ― 광우병
비극의 씨앗
규제 완화, 경제성 그리고 시장 중심주의
광우병에 대한 영국 정부의 조치
서서히 다가오는 비극의 그림자
11장 공포의 현실화 ― 인간광우병
배회하는 유령
공포의 현실화 : 인간광우병
광우병 공황과 영국 정부의 대응
12장 우리에게 광우병은 무엇인가?
한국의 광우병 파동
사전 예방 원칙
과학적 연구기반 구축
인간광우병 취약성에 대한 논란
유럽연합은 왜 미국산 쇠고기를 수입하지 않는가?
과학의 절대적 객관성에 대한 뜨거운 열망
저자소개
책속에서
스탠리 프루지너의 <사이언스> 논문은 상대적으로 소규모의 스크래피 연구계에 엄청난 파장을 일으켰다. 비록 연구논문에서 프루지너가 프리온이라고 부르자고 제안한 이 병원체에 대해 프루지너는 단순히 단백질로만 이루어진 것은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지만 그의 프리온 이론은 결국 '단백질 단일감염체 이론protein only theory'으로 받아들여졌다. 다시 말해 많은 사람들은 그의 이론을 생명의 기본구성체이며 정보의 원천인 핵산이 없이 단백질로만 그 생명체가 유지되고 재생산될 수 있다는 이론으로 받아들였다.
이미 1988년까지 영국에서 동물사료로 쓰인 육골분은 130만톤이었다. 육골분 생산업체들과 정제공장의 공정 변화는 광우병의 발생원인을 찾는 데 매우 중요하다. 1970년대 초까지 수지는 기름 찌꺼기, 즉 육골분의 원료보다 가치가 더 높았다. 더 많은 수지를 얻어내기 위해서는 좀더 값비싼 용매제를 사용하는 것이 현명한 투자 방법이었다. 이 공정에서 육골분의 재료인 기름찌꺼기를 먼저 빼내기 위해 용매제를 넣어 65도에서 70도의 온도에서 끓인다. 그 다음 단계는 벤젠이나 석유, 헥산 등을 사용하여 두세 시간 동안 가열한다.
1970년에서 1989년까지 영국에서 크로이츠펠트야코프병에 걸려 사망한 사람 중에서 30세 미만의 사람들은 아무도 없었다. 그러나 1990년에서 1994년까 사이에 다섯 건의 크로이츠펠트야코프병 환자들은 모두 30세 미만의 젊은 사람들이었다. 그때까지 영국 정부는 광우병이 인간에게 전이될 수 있다는 사실을 강력하게 부인했다. 하지만 이제는 부인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